Browse > Article

A Classification System of Amenity / Disamenity Elements in Rural Villages  

Lim, Chang-Su (Dept. of Biosystem and Agricultural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i, Soo-Myung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im, Young-Joo (Dep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v.12, no.4, 2006 , pp. 89-9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Usually, amenity elements coexist with disamenity elements in rural village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and group discussion of participant research staffs in this study, a tentative classification system of amenity and disamenity elements was pro-posed with 4-tier hierachial order; for amenity, 3-7-29-76(numbers of the high, medium to low categories and elements) and 3-6-16-32 for disamenity. finally, through case studies of 4 sample villages representing the flat-plan, upland, seashore and periurban rural areas, the applicability of this classification system was verified.
Keywords
Rural amenity; Disamenity; Classification system;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농림부, 2002, 생태 . 문화자원의 효율적 보전 및 이용을 위한 농촌마을계획기술 연구
2 부산직할시, 1994, 부산시어메니티 자료집
3 한경수, 1999, 농촌마을 수준의 지역자원 평가시스템 개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농촌진흥청, 2004, 주민참여계획모델에 의한 농촌어메니티 자원발굴 및 설계기술 현장적용 연구
5 최수명, 황한철, 한경수, 김영주, 1997, 농촌계획지원용 지역자원평가시스템 구축(I) -자원평가 구성요소의 목표체계 구축-, 농촌계획 3(1) : 54-67
6 박창석, 전영옥, 조영국, 2002, 농촌어메니티에 기초한 농촌자원 중요도 평가 및 순위적 관계분석, 국토계획 37(6) : 21-35
7 임형백, 2001, 어메니티의 개념, 기원과 역사, 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지 8(2) : 191-199
8 권용대, 홍종숙, 2003, 농촌 어메니티자원을 활용한 그린투어리즘의 경제성 분석, 농촌계획 9(3) : 17-23
9 최수명, 2002, 농촌어메니티 자원화 방안, 농촌어베니티 보전 및 관광 자원화 방안 심포지엄 자료 : 5-28
10 OECD, 1999, Cultivating Rural Amenities - An Economic Development Perspective, Paris
11 농촌진흥청, 2005, 농촌의 다원적 기능 향상을 위한 어메니티 보전 및 자원관리시스템 개발
12 김승환, 변문기, 1991, 쾌적한 도시 환경의 창출을 위한 도시 어메니티 구조의 해석에 관한 연구, 한국경관학회지 18(4) : 101-115
13 건설교통부, 2001, 도시쾌적성 확보를 위한 어메니티플랜 수립에 관한 연구
14 김대식, 권용대, 최수명, 임창수, 2005, 농촌관광기반의 지속가능한 마을정비 유형의 설정, 농촌계획 11(1) : 45-53   과학기술학회마을
15 김영주, 최수명, 2005, 주민의식과 입지특성에 따른 농촌마을 환경영향시설의 정비방향, 농촌계획 11(4) : 99-108   과학기술학회마을
16 황한철, 김정식, 2003, 어메니티 실천사례분석과 농촌어메니티 계획과제, 한경대학교 논문집, 제35집 : 57-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