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6862/jkpts.2018.09.25.2.55

Comparison of Lower Limb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Different Gait Pattern and Speed on the Treadmill  

Choi, Seok-Hwa (Choi Seok Hwa Body Balance)
Chun, Hye-Lim (Dept. of Physical Therapy, Graduate School, Sahmyook University)
Lee, Cu-Rie (Dept. of Physical Therapy, Gimcheo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 v.25, no.2, 2018 , pp. 55-6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s to compare muscle activation of leg muscles with forward and backward gait and treadmill speed. Method: The experimenter is a healthy ten male and female. They practice walking on the treadmill for 2 minutes and then walk 2km/h and 4km/h in front and back for 3 minutes. Muscle activities were recorded from the lower limb muscles (rectus femoris [RF], biceps femoris [BF], gastrucnemius [GCM]). Results: According to the study, lower extremity muscles have higher backward gait than forward gait. Conclusion: Muscle activity at the speed indicated that the muscular activity of the lower limbs was 4.0km/h, which is higher than 2.0km/h.
Keywords
forward; backward; gait; speed; treadmill;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형규 외(2012). 타원형 기구 보행, 트레드밀 보행 및 지면보행이 하지 근육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1(1), 253-266.
2 김병곤 외(2009). 트레드밀 전.후방 보행에서 경사도와 속도에 따른 넙다리네갈래근 테이핑적용시 근 활성도 비교.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15(2), 50-62.
3 김은정(2009). 트레드밀과 불안정면에서의 보행훈련이 편마비 환자의 보행과 근활성도 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학위논문(석사)
4 김은영 외(2010). 전.후방보행 방법과 트레드밀 각도 변화에 따른 넙다리곧은근과 앞정강이근의 활성 비교.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16(2), 76-81.
5 김지연(2010). 경사도와 속도에 따른 트레드밀 보행의 운동 역학적 분석.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학위논문(박사).
6 류호열(2009). 경사진 트레드밀 후방보행 훈련이 하지 근력과 근피로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학위논문(석사).
7 류호열 외(2010). 트레드밀 전.후방보행 훈련이 탈진적 운동 수행 전과 후의 하지 근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스포츠의학회지, 28(1), 37-43.
8 문곤성(2004). 보행 속도 변화에 따른 하지의 운동 역학적 분석과 근활동의 근전도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학위논문(박사).
9 박성훈(2017). 트레드밀 속도 변화 방법에 따른 뇌 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 및 폐 기능 변화. 대전대학교일반대학원 학위논문(석사).
10 박주완 외(2010). 경사진 트레드밀에서 후방보행운동을 통한 넙다리네갈래근 강화와 요통의 관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8(1), 47-55.
11 박치복(2016). 속도가 다른 트레드밀 훈련이 다리 근두께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7(12), 363-370.
12 배성수(2015). 고유수용성 신경촉진법에서 CPG를 이용한 뇌손상자 보행훈련 전략.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7(1), 13-24
13 한동기(2002). 근력훈련이 다운증후군 아동 및 청소년의 등속성 근력과 보행 형태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4 한상완(2005). 경사진 트레드밀에서 전방 걷기와 후방 걷기동안 넙다리네갈래 근 활도성비교: 표면 근전도 분석.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12(1), 63-70.
15 Bruce H. Dobkin(2004). Neurobiology of Rehabilitaion, Ann N Y Acad Sci. 1038(1), 148-170.   DOI
16 Dobkin, B.H. (2004). Strategies for stroke rehabilitation. Neurology, 3, 528-3, 536.
17 Eilam D, Adijes M, Vilensky J. (1995). Uphill locomotion in mole rats: a possible advantage of backward locomotion, Physiology & behavior, 58(3), 483-489.   DOI
18 Flynn T. W, Soutas-Little R. W. (1995). Patellofemoral joint compressive forces in forward and backward running. Journal of orthopaedic and sports physical therapy, 21(5), 277-282.   DOI
19 Hogrel, J. Y. (2005). Clinical applications of surface electromyography in neuromuscular disorders. Neurophysiologie Clinique, 35(2-3), 59-71.   DOI
20 Kramer J. F. & Reid D. C. (1991). Backward walking: a cinematogrphic and eletromyographic pilot study. Physiother Cn, 33, 77-86.
21 Lee, S.J., Hidler, J. (2008). Biomechanics of overground vs. treadmill walking in healthy individuals.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04(3), 747-755.   DOI
22 Mackie J.W., Dean T.E. (1984). Running backward training effects on upper leg musculature and ligamentous instability of injured knees.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16(2), 151.
23 Patla: AA. (1995). Framework for understanding mobility problem in the elderly Mosby.
24 Threlkeld AJ, Horn TS, Wojtowitez GM, Rooney JG, Shapiro R. (1989). Kinematics, ground reaction force, and muscle balance produced by backward running. J Orthop sports Phys Ther, 11(2), 56-62.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