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박경배(2009). 여대생 짐볼 밀기 동작 시 골반 자세와 공의 크기 변화에 따른 운동역학분석. 석사학위청구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
2 |
박정호(2013). 윗몸일으키기 운동 시 싯업보드의 각도 변화에 따른 근육 활동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위원회.
|
3 |
이가람(2009). 8주간의 짐볼 운동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여학생들의 신체조성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 제 55회 석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
4 |
이주립, 박은영(2001).윗몸일으키기 자세에 따른 근전도 분석.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체육과학대학 체육학과.
|
5 |
이희숙 (2006). 짐볼 운동프로그램이 여성 노인의 건강 체력과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
6 |
조해진(2017), 스쿼트시 무릎 정렬 상태와 무릎위치에 따른 하지와 체간 근활성도 비교, 석사학위논문,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7 |
주현규(2005). Swiss ball 운동이 비만아동의 건강 관련 체력과 혈청지질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신라대학교 대학원.
|
8 |
황병준, 김종우(2011). 요부안정화운동이 여성 노인의 요부 및 다리근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
|
9 |
Akuthota, V. and Nadler, SF(2004). Core strengthening.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5, 86-92.
|
10 |
C.M. Dean, and R.B. Shepherd(1998). Task-related training improves performance of seated reaching tasks after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1997, Stroke, 28 pp. 722-728
|
11 |
John R. Hodges, Jon S. Simons, Kim S. Graham(2002). Perceptual and semantic contributions to episodic memory: evidence from semantic dementia and Alzheimer's disease, 2002,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47 197-213
DOI
|
12 |
Karatas M, Cetin N, Bayramoglu M, Dilek A. (2004). Trunk muscle strength in relation to balance and functional disability in unihemispheric stroke patients
|
13 |
Konard P, Schmitz K, Danner A(2001).Neuromuscular evaluation of trunk traning exercise. J Athl Train. 36(2): 109-118
|
14 |
Palmitier RA(1991). An KN, Scott SG et al. kinetic chain exercise in knee rehabilitation. Sports Medicine. 199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