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230/KOSCAS.2016.44.307

A Study on Participatory Culture of Korean Webtoon Focused on User-Generated Images -  

Kim, Juna (이화여자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영상미디어전공)
Kim, Su-Jin (이화여자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영상콘텐츠전공)
Publication Information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v., no., 2016 , pp. 307-33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Webtoon is the most popular cultural contents representing contemporary Korea. This study explores the cultural aspects of participatory culture surrounding Webtoon, and reveals the cultural implications of webtoon in contemporary Korea. Particularly, this study notes that the engagement of the participatory culture is formed from the user-generated images and analyzes the reproduction patterns of them. Chapter 2 analyzes the mimicking process of user-generated images based on the 'meme' concept. Especially based on the variation degree of text or image, the user-generated images could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of 'completely variant', 'partly variant', and 'completely same'. Users use these images as one of the fun factor by transplanting them into daily messenger conversation. Chapter 3 reveals the cultural meaning which is derived from the process of user-generated images crea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notes that most of the user-generated images are mimicking the main character of the original webtoon, and analyzes the underlying desire of the mass based on the literary theory of Northrop Frye. The main readers of webtoon are petit-bourgeois living in Korean metropolitan, and the user-generated images also reflects the daily lives of these ordinary people. User-generated images of webtoon are imitating the original contents in a way of replicating or mutating the images or texts. Also, they are consumed and enjoyed as an amusing code among users. Especially by mimicking the appearance of the main character in a self-reflective way, they appeal to day-to-day sympathy of users. In that user-generated images reveal the desire of the public living in contemporary Korea, this study examines the cultural implication of webtoon.
Keywords
webtoon; participatory culture; user-generated image; self-reflective; mimic; sympath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홍난지, 웹툰의 희극성에 관한 연구: 개그웹툰과 일상툰의 희극적 서사구조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공연.영상.애니메이션학과 박사학위논문(2014, 8).
2 김수철, 강정수, 케이팝에서의 트랜스미디어 전략에 대한 고찰: 강남스타일 사례를 중심으로, 언론정보연구, 제50권 제1호(2013), pp.84-120.
3 김수환, 웹툰에 나타난 세대의 감성구조 : 잉여에서 병맛까지, 탈경계인문학, 제4권 제2호(2011), pp.101-123.
4 김유나, 한국 웹툰의 아이러니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33호(2013), pp.469-502.
5 목혜정, 웹툰의 사운드 표현에 관한 연구,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통권제36호(2014), pp.469-491.
6 서정행, 웹툰에서 재현하는 입시문제: <공부하기 좋은 날>, <입시명문사립 정글고등학교>를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통권 제37호(2014), pp.335-360.
7 서채환, 함재민, 웹툰에서의 공간 표현의 수직적 확장에 대한 연구: 강도하의 <로맨스 킬러>, <큐브릭>을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 션 연구, 통권제20호(2010), pp.63-74.
8 이지연, 김승인, 웹툰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경험 연구: 네이버, 다음, 레진코믹스를 중심으로, 디지털디자인학연구, 제15권 제3호(2015), pp.759-768.
9 정보라, 김성철, 뮤직비디오 패러디 제작 및 공유에 대한 유튜브 이용자들의 지속적인 행동의도와 그 영향요인,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30권 4호(2013), pp.131-167.
10 한창완, 웹툰 플랫폼의 산업적 진화와 세계화 전략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제11권 제3호(2015), pp.137-150.
11 한혜원, 김유나, 한국 웹소설의 멀티모드성 연구, 대중서사연구, 제21권 제1호(2015), pp.263-292.
12 허수정, 죽음의 세계를 통해 현재를 보다: 작가 주호민의 웹툰 <신과함께: 저승편> 비평, 글로벌문화콘텐츠, 통권제7호(2011), pp.275-283.
13 헨리 젠킨스, 정현진 역, 팬, 블로거, 게이머, 비즈앤비즈, 2008.
14 황선태, 유재연, 웹툰 팬카페의 2차 창작 활동 연구, 애니메이션연구, 제11권 제1호(2015), pp.262-282.
15 한국콘텐츠진흥원, "웹툰 산업의 경제적 특성", 웹툰 산업 현황 및 실태조사, 2015.6, pp.29-30.
16 한진주, "'짤방'의 한방", 아시아경제, 2016년 2월 23일,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6022213353921107.
17 Fiske, John, Television Culture: Popular Pleasures and Politics, Routeledge, 1987.
18 Jenkins, Henry, Textual Poachers, Routledge, 2013.
19 Murray, Janet H., Hamlet on the Holodeck: the future of narrative in cyberspace, MIT Press, 1998.
20 Stephenson, William, The Play Theory of Communication, Transaction, 1988.
21 가브리엘 타르드, 이상률 역, 모방의 법칙, 문예출판사, 2012.
22 김명석, 인터넷 소설, 새로운 이야기의 탄생, 책세상, 2009.
23 김왕배, 도시 공간 생활세계, 한울, 2010.
24 노드롭 프라이, 임철규 역, 비평의 해부, 한길사, 2000.
25 류철균, 한혜원 외,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이해,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5.
26 리처드 도킨스, 홍영남, 이상임 역, 이기적 유전자, 을유문화사, 2010.
27 린다 허천, 김상구 역, 패러디 이론, 문예출판사, 1992.
28 수잔 블랙모어, 김명남 역, 밈, 바다출판사, 2010.
29 스콧 맥클라우드, 김낙호 역, 만화의 이해, 비즈앤비즈, 2008.
30 신명직, 모던뽀이, 경성을 거닐다: 만문만화로 보는 현대의 얼굴, 현실문화연구, 2003.
31 알렉스 벤틀리, 마크 얼스 외, 전제아 옮김, 모방사회, 교보문고, 2015.
32 앙리 르페브르, 박정자 역, 현대세계의 일상성, 세계일보, 1990.
33 김유나, 한국 일상툰의 풍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디지털미디어학부 석사학위논문(2014, 2).
34 김나래, 잉여로운 산물: '짤방'의 생산 원리와 특징을 반영한 그래픽 디자인,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