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230/KOSCAS.2016.42.001

Animation and Horror - Ghost story, Madness, and Cannibalism  

Cho, Mi-Ra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Publication Information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v., no., 2016 , pp. 1-2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fear' in animation has a couple of problems to apply the criteria for identical genre as in movie or literature. First, the mutilation and destruction of one's body and the appearance of monsters and ghosts are not a normal way of expression and could not apply to one genre. Second, the cause of fear comes from the subject of fear which is a reality that is something 'unrealistic' and 'special' and is approachable. This is all possible in a three dimensional world, but animation is not founded on realism. According to this logic, the horror genre in animation or the esthetic experience of animation is not possible. However, many of the powerful images you can see from the horror genre are all created from animation. Therefore, many writers are drawn to the horror in animation and tried to express in many different ways. This study will include the general idea of fear which drives the audience to the felling of fear and terror but we will mainly focus on the three types of fear - ghost story, cannibalism, and madness - and discover the meaning of fear used in animation. Through this process, we anticipate that fear in animation is not just for pure amusement, but will be able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fear philosophically even if the hidden side of reality is terrifying.
Keywords
Animation; Horror; Ghost story; Madness; cannibalism;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오현숙, 미셀 푸코의 광기론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학위논문), 2003.
2 이윤석, 진주현, 영화에서 나타나는 비가시적 공포 요소의 카니발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한국콘텐츠학회, Vol,11, No.3, 2011.p,190-200.   DOI
3 장정일, "폭력이 순화돼 왔다는 게 사실일까", 한겨레신문, 2015, 01, 29.
4 조미라, 애니메이션의 변신 모티프 연구,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통권 제11호, 2007, p.153-168.
5 한석현, 애도의 실제와 윤리; 롤랑 바르트의 <애도일기>와 <밝은방>, 서울대학교 대학원(학위논문), 2012.
6 홍주리, 현대공포영화의 서사성 연구- 타자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학위논문), 2008.
7 David Punter, "The Literature of Terror", The Gothic Tradition, Longman, Vol.1, 1996.
8 <어나더>(Another, 2012)
9 <학교괴담>(学校怪談, 2001)
10 <망상대리인>(妄想代理人, 2004)
11 <모노노케>(物の怪, 2007),
12 <괴-아야카시(怪-あやかし,2007)
13 <동경 구울>(東京喰種, 2014)
14 <아수라>(Asura, 2012)
15 게오르그 루카치, 반성완, 심희섭 역, 영혼과 형식, 심설당, 1988.
16 노베르트 엘리아스, 김수정 역, 죽어가는 자의 고독, 문학동네, 2011.
17 다카하시 도시오, 김재원 外 역, 호러국가 일본, 도서출판 b, 2012.
18 로빈 우드, 이순진 역, 베트남에서 레이건까지-헐리우드 영화읽기: 성의 정치학, 시각과 언어, 1995.
19 리처드 커니, 이지영 역, 이방인, 신, 괴물, 개마고원, 2010.
20 모린 퍼니스, 한창완 外역, 움직임의 미학, 한울출판사, 2001.
21 미셸 푸코, 이규현 역, 광기의 역사, 나남, 2015.
22 장 루이 뢰트라, 김경은, 오일환 역, 영화의 환상성, 동문선, 2002.
23 박전열, 임찬수 外역, 현대일본의 요괴문화론, 제이앤씨, 2014.
24 스튜어트 보이틸라, 김경식 역, 영화와 신화, 을유문화사, 2005.
25 왕은철, 애도예찬, 현대문학, 2012.
26 제프리 노웰- 스미스, 인순호 外역, 옥스퍼드 세계영화사, 열린책들, 2005.
27 조미라, 애니메이션, 이 미지의 것, 한국학술정보, 2014.
28 지그문트 바우만, 함규진 역, 유동하는 공포, 산책자, 2009.
29 폴 웰스, 손희정 역, 호러 영화,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30 필립 아리에스, 죽음 앞의 인간, 고선일 역, 새물결, 2007.
31 H.P 러브크래프트, 홍인수 역, 공포문학의 매혹, 북스피어, 2005.
32 Th. W.아도르노, M. 호르크하이머, 김유동 역, 계몽의 변증법, 문학과 지성사, 2009.
33 김성현, 카니발리즘-욕망과 비판의 메타포, 카프카 연구, 한국카프카학회, 제26집, 2011, p.281-304.
34 김시무, 공포영화의 이론과 실제, 현대영화연구,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Vol.5, 2008, p.5-32.
35 김형주, 로만폴란스키 영화에 나타난 불안과 공포의 미학,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한국콘텐츠학회, Vol.12. No.3, 2012, p.134-142.
36 박일아, 몸 혹은 괴물- 영화에서의 육체성: 내면화를 통해 장르 개념을 탈피한 새로운 유형의 뱀파 이어 영화들- <뱀파이어와의 인터뷰>이후를 중심으로, 현대영화연구,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Vol.15, 2013.p.31-56.
37 신지은, 공포의 매혹: 기괴한 것으로서의 타자성에 대하여, 문화와 사회, 11권, 2011, p.153-191.
38 안의진, 관객은 허구에 불과한 공포영화의 괴물을 왜 무서워하는가, 미디어, 젠더 &문화,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제26호, 2013.6.p.4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