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230/KOSCAS.2015.40.243

A Study on AN-DONG Traditional Main Character Creative Processing Project in Content Development - with 'Mother Wonlee' Film Main Character  

Cho, Hyun-Kyung (동아 방송 예술 대학교 디지털영상디자인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v., no., 2015 , pp. 243-26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Being a symbolic image to let traditional 'mother wonlee' contents characters known widely, need to be made in a way that can deliver the powerful message of korea An-dong traditional local contents and the value of regent story. As for the contents character develope methods and the scope of the study, an theoretical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factor plus fiction field surveys, and the legend story and then an effect of character marketing on global contents with original identity. 'mother wonlee' pre-production plaining have been analysis with creative described based on the ancients features and the classification of ancient original characters, and the situation and the concept of An-dong local place. as a results this thesis is show up how to make up a main character develop processing and make a features design processing of the characters who different age and a scenes. as a conclusion is drawing about a 'Wonlee' and 'Eungtea' both main Character plaining processing and graphics; traditional face, all clothes, body proportion, etc. Also we trade to traditional patten with character planing. it will be a high value industry which facilitates a variety of industries in conjunction with marketing traditional source characters in global. Recognizing the value of traditional story main character design and graphics marketing and utilizing the value through various media will create infinite value, enabling the global marketing.
Keywords
traditional Contents; 'Mother Wonhe' Character Design; Main Design Processing; Plan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임영주 저, 조선시대의 무늬비단[紋緞] 대원사, 한국의 문양, 한국의 전통문양 2012.
2 유지은 저, Hi 캐릭터, Hello 마케팅: 마케팅 경쟁력을 백배 높여주는 캐릭터의 힘, 미래의 창, 2004.
3 유진룡 외, 엔터테인먼트산업의 이해, 넥서스BIZ, 2009
4 황춘필, 지방자치단체 캐릭터 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디자인학 전공 석사 학위논문, 2002.
5 고봉희, 지역축제 캐릭터의 차별화 전략에 관한 연구:2004년 문화관광 축제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시각디자인 전공 석사학위 논문, 2004.
6 오혜승, 지방자치단체 캐릭터 조형요소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광역시, 도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시각디자인 전공 석사학위 논문, 2010.
7 윤승혁, 국내 캐릭터 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안 연구, 단국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8 조용근, 3차원 입체영상에서 시지각(時知覺) 요인의 상관관계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만화애니메이션연구 (19) pp.161-181, 2010.06
9 안인희, 조선시대 혼인의례와 혼례복에 관한 스토리텔링 원천자료 분석 한국의상디자인학회,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6(1), 2014.2, p.139-151
10 이은주, 장자백 <춘향가>에 묘사된 조선후기 남자복식에 관한 고찰 한복문화학회, 한복문화 16(2), 2013.8, 17-34
11 홍선옥, 활옷의 상징성을 반영한 현대혼례복디자인 한국의상디자인학회,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10(2), 2008.9, p.117-124
12 서은혜, 김경희, 한국과 중국의 화장 문화 비교 연구 : 조선시대 미인도를 중심으로 한국니트디자인학회, 한국니트디자인학회 학술대회, 2009.5, p.16-18
13 유관선, 지역이미지 형성을 위한 캐릭터 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강원대, 1999.
14 http://blog.naver.com/kimkiwonnn?Redirect=Log&logNo=220389618254원아엄마이야기 2015.07.27.
15 http://andongart.go.kr/Package 안동지방 아트의 홈페이지 검색어, 공연 전시 안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