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230/KOSCAS.2014.37.335

Analysis of the Problem of College Entrance System in Webtoon : in ,  

Seo, Jeong-Haeng (부산대학교 불어불문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v., no., 2014 , pp. 335-36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An infatuation with webtoons is facilitated by the ultra-rapid internet infrastructures and the highest ratio of penetration of smartphones in the world. Recently, the webtoon has been the focus of a new cultural content and its development has been noticed both and home and abroad. This study aims to find the new role of webtoon as a socio-cultural communication media. The webtoon reflects the reality as it is and shows directly and minutely the social problems, even although the other media make it glorified or reduced. We observe the role of webtoon as a new communication media content that can make the place for social discussion within several generations and social stratums, in which the producer and the consumer can communicate directly and immediately. Two webtoons( and ) have been selected for a textual analysis. In two webtoons, we analyse the method of representation of the social problem in the technique of expression and storytelling. This helps us maintain that the webtoon deserves as the socio-cultural communication media and the social problems represented in webtoon must have been evaluated more valuable in a new perspective.
Keywords
webtoon; vertical scroll; communication media; problem of college entrance system;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현구, 강풀 장편만화 스토리텔링의 경쟁력, 인문콘텐츠 제10호, 인문콘텐츠학회, 2007, pp.235-261.
2 김규인, 이병철, 이준아, 손홍찬, 김민선, 웹툰 내용 유형에 따른 페이지 넘김 방식에 대한 연구, 한국 HCI 학회 학술대회, 2014, pp. 627-630.
3 김용현, 웹툰에서의 몰입(Flow)을 위한 인터랙션 분석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5권 4호,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09, pp.74-84.
4 김지연, 오영재, 웹툰에 있어서 서사구조에 따른 공간활용에 대한 비교분석:국내외 웹툰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제10권 3호, 한국영상학회, 2012, pp.127-142.
5 고은나래, 김효용, 스마트 미디어시대에 있어서 웹툰의 발전과 앱툰에 관한 연구, 한국애니메이션학회 추계학술대회, 2012, 12호, pp.47-50.
6 서채환, 함재민, 웹툰에서의 공간 표현의 수직적 확장에 대한 연구: 강도하의 <로맨스 킬러>, <큐브릭>을 중심으로,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20호,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10, pp. 63-74.   과학기술학회마을
7 윤혜영, 강도하 웹툰 <세브리깡> 스토리텔링 전략, 애니메이션연구 제6권 3호, 통권14호,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0, pp.41-67.
8 이승연, 박지훈, 웹툰이 재현하는 청년문제와 재현방식,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제23호, 한국소통학회, 2014, pp.209-242.
9 이용욱, 디지털서사체의 미학적 구조,4: 웹툰의 아이러니 서사전략, 비평문학 제34호, 한국비평문학회, 2009, pp.213-233.
10 정규하, 윤기헌, 웹툰에 나타난 새로운 표현형식에 관한 연구, 만화애니메이션연구 통권 제17호,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9, pp. 5-19.   과학기술학회마을
11 한상정, 강풀의 <조명가게>에 나타난 서사적 특성 분석, 대중서사연구 28호, 대중서사학회, 2012, pp.363-386.
12 한창완, 홍난지, 웹툰의 영화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연구: 웹툰 <이끼>의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2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11, pp. 186-194.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13 임혜선, "강풀의 웹툰 <순정만화> 스토리텔링 연구", 단국대학교 문예창작학과 문예콘텐츠전공 석사학위논문 (2012)
14 정다운, "웹툰 <로맨스킬러> 스토리텔링 전략 분석",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석사학위논문 (2011)
15 최유남, "웹툰 연출의 영화적 기법 연구", 부산대학교 디자인학과 석사학위논문 (2012)
16 DAUM 웹툰, http://webtoon.daum.net/, 2014. 10. 5.
17 http://www.rfi.fr/mfi/20140620-webtoons-revolution-bandes-dessinees-internet-coree-sud/#./?&_suid=141234932860506031100757551981, "Les , revolution des bandes dessinees sur lenet", 2014. 10. 5.
18 NAVER 웹툰, http://comic.naver.com/webtoon/weekday.nhn, 2014. 10. 5.
19 http://sports.chosun.com/news/ntype.htm?id=201406230100256020017197&servicedate=20140623, "네이버 웹툰 10년, 네이버-창작자 함께 웃는 웹툰 생태계 구축", 2014. 10. 5.
20 http://www.fnnews.com/news/201407131707254118, "마니아층 두꺼운 웹툰, 플랫폼산업 블루칩으로", 2014. 10. 5.
21 http://www.business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3747, "네이버 웹툰, 세계 만화시장도 석권할까", 2014. 10. 5.
22 http://news.donga.com/3/all/20140606/64068450/1, "오- 웹툰 코리아, 2014. 10. 5.
23 http://www.sisapress.com/news/articleView.html?idxno=52107, "만화의 대세는 이제 '병맛'이다", 2014. 10. 5.
24 http://enews24.interest.me/news/article.asp?nsID=582480, "흥행순으로 보는 '웹툰을 품은 영화' BEST 7", 2014. 12. 5.
25 http://www.fnnews.com/news/201410161637214192, "웹툰 전성시대!...드라마와 영화로 새롭게 탄생", 2014. 12. 5.
26 http://www.metroseoul.co.kr/news/newsview?newscd=2014120300016, "'미생', '식객' 상품 팔아요...유통업계, 캐릭터 상품 주목", 2014. 12. 5.
27 장상용, 감성으로 승부하는 용감한 이야기꾼: 강풀, 기획회의 통권339호,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2013, pp.34-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