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2755/kjchs.2022.55.4.38

Review in terms of the earthen wall stamped technique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SHIN Heekweon (Dept. of Korean History, University of Seoul)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v.55, no.4, 2022 , pp. 38-5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this article, I have summarized and reviewed the concepts and terms surrounding the stamped construction technique, focusing on earthen walls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This is because confusion is caused by defining the nature of the earthen walls by using various concepts and terms for each researcher regarding the substanc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earthen walls. The stamped earth method is a representative ancient civil engineering or construction technique in which a frame is made of plates to form a fortress wall, a fence, and the base of a building, and then soil or sand is poured into it layer by layer and then stamped with a bat to make it solid. Therefore, in order to prove that the earthen wall was built by the stamped earth method, evidence such as a narrow plate, a column for fixing it, long horizontal and vertical wood pieces to support the narrow plate, and traces of pounding the soil must be detected. However, in Korea, there are very few cases where such evidence has been fully excavated, so it is necessary to agree on how strictly the standards for the stamped earth method will be applied. The terms related to the stamped technique mobiliz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earthen walls were explained with actual examples by dividing the terms related to the concept into terms related to the principle and unit of the stamped plate, and the specific stamped technology. In particular, in Pungnabtoseong Earthen wall, a variety of typical and diverse methods of building the ancient stamped earthen wall were identified so that decisive data could be secured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and techniques of the stamped earthen wall. In the future,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stamped technique will be possible only when more evidence related to it is found in relics other than Pungnabtoseong Earthen wall.
Keywords
Three Kingdoms period; earthen wall; stamped technique; concept; term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서정일, 2021, 「안성 도기동산성의 조사 성과와 과제」, 「안성 도기동산성의 보존과 활용」, 안성 도기동산성 종합정비계획 수립용역 학술대회.
2 신희권, 2008, 「中韓 古代 築城方法 比較 硏究」, 「湖西考古學」 18, 호서고고학회.
3 신희권, 2013, 「제6장. 해외 성곽의 조사와 보존 1.중국의 성곽조사」, 「성곽조사방법론」, (사)한국문화재조사기관협회.
4 신희권, 2014a, 「판축토성(版築土城) 축조기법(築造技法)의 이해(理解)」, 「文化財」 47(1), 국립문화재연구소.
5 신희권, 2014b, 「삼국시대 토축 구조물의 부엽법(敷葉法) 연구」, 「白山學報」 98, 白山學會.
6 심광주, 2010, 「漢城百濟의 '烝土築城'에 대한 硏究」, 「鄕土서울」 76, 서울特別市史編纂委員會.
7 심정보, 2003, 「風納洞 百濟土城의 築造技法에 대한 考察」, 「서울 風納洞 百濟王城硏究國際學術세미나」, 東洋考古學硏究所.
8 심정보, 2013, 「제1장. 성곽문화재 조사의 현재와 미래」, 「성곽조사방법론」, (사)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9 양숙자 외 2021, 「2021년 풍납토성 서성벽 복원지구 조사성과」, 「풍납토성 축성기술의 비밀을 풀다」, 국립강화문화재연구소.
10 윤무병, 1992, 「金堤 碧骨堤 發掘報告」, 「百濟考古學硏究」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1 윤무병, 1998, 「碧骨堤의 堤防과 水門」, 金堤, 碧骨堤水利民俗遺物展示館 開館紀念 國際學術討論會 發表論文集.
12 이건용, 2020, 「영암 성틀봉 토성의 재검토」, 「축조수법과 축조배경으로 본 토성」, 한국성곽학회 2020년도 추계학술대회.
13 이보경, 2011, 「울산 약사동 제방유적」, 「고대 동북아시아의 水利와 祭祀」, 대한문화유산연구센터楊鴻勛, 2001, 「殷商的方國宮廷建築」, 「宮殿考古通論」, 紫禁城出版社.
14 이혁희, 2013, 「한성백제기 토성의 축조기법과 그 의미」, 「韓國考古學報」 89, 한국고고학회.
15 전북문화재연구원, 2013, 「김제 벽골제(사적 제111호) 중심거(2차) 문화재 학술발굴조사자문회의 자료」.
16 중원문화재연구원, 2012, 「江華 玉林里 遺蹟 I 본문.도면, II 사진.부록」.
17 최종규, 2005, 「鳳凰土城의 特徵에 대한 摸索」, 「鳳凰土城」, (社)慶南考古學硏究所.
18 최종규, 2007, 「風納土城의 築造技法」, 「風納土城 500년 백제왕도의 비젼과 과제」, 풍납토성 발굴 10주년 기념 제16회 문화재연구 국제학술대회.
19 충남대학교박물관, 1984, 「木川土城」.
20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00, 「百濟泗沘羅城」.
21 한신대학교박물관.화성문화원, 2010, 「華城 吉城里土城 I」.
22 工樂善通, 1995, 「古代築堤における敷葉工法」, 文化財論叢 II (奈良國立文化財硏究所創立40周年記念論文集).
23 九州歷史資料館, 1994, 「大宰府史跡 平成5年度發掘調査槪報」.
24 小山田宏一, 2011, 「고대 일본의 보(堰)의 구조와 '부엽공법(敷葉工法)' -야요이 수리기술과 조성리유적 보의 비교-」, 「고대 동북아시아의 水利와 祭祀」, 대한 문화유산연구센터.
25 楊鴻勛, 2001, 「殷商的方國宮廷建築」, 「宮殿考古通論」, 紫禁城出版社.
26 殷滌非, 1960, 「安徽省壽縣安豊塘發現漢代閘壩工程遺址」, 「文物」 1960-1. 
27 국립문화재연구소, 2002, 「風納土城 II」.
28 경기도박물관, 2012, 「소근산성 -학술 발굴조사 보고서-」.
29 고용규, 2013, 「제4장. 발굴조사 I.1.2. 성벽-토성」, 「성곽조사방법론」, (사)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30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1, 「함안 성산산성 발굴조사 보고서 IV」.
31 국립문화재연구소, 2011, 「韓國考古學專門事典 城郭.烽燧篇」.
32 권오영, 2010, 「고대 성토구조물의 축조기술과 의림지」, 「의림지의 역사적 가치와 활용 방안」, 의림지 학술대회.
33 권오영, 2011, 「고대 성토구조물의 성토방식과 재료에 대한 시론」, 「漢江考古」 5, (재)한강문화재연구원.
34 김봉근, 2022, 「중국 고대 판축기술의 변천양상」, 「성곽을 통해 본 고대 토목기술의 발전과 전개」, 2022 백제왕도핵심유적 학술대회, 문화재청 백제왕도 핵심유적보존.관리사업추진단.
35 김용민, 1997, 「扶蘇山城의 城壁築造技法 및 變遷에 대한 考察」, 「韓國上古史學報」 26, 韓國上古史學會.
36 김진만, 2012, 「함안 성산산성 축조기법의 토목공학적 연구」, 「함안 성산산성 고대환경 복원연구 결과보고서」,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37 단국대학교 매장문화재연구소, 2006, 「이천 설봉산성 4.5.6차 발굴조사 보고서」.
38 박한재, 2000, 「五胡 赫連夏國의 都城 統萬城의 選址와 그 構造 - 胡族國家의 都城造營方式」, 「東洋史學硏究」 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