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2755/kjchs.2021.54.4.192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Kiln Site of Production of the Buncheong Ware Excavated from the Placenta Chamber (Taesil) in Seongju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ng (1418-1450) in the Joseon Dynasty  

AHN, Sejin (Dept. of Archeology and Art History, Korea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v.54, no.4, 2021 , pp. 192-21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Seongju, Gyengsangbuk-do, the Placenta Chamber (胎室, Taesil) of 18 sons and a son of the crown prince of King Sejong(世宗大王) is located in one place. Taesil refers to the place where the umbilical cord and placenta, which are separated when the baby is born, are placed in a jar made of pottery and stone box and then buried on the ground. The placenta chamber in Seongju has the Buncheong ware (粉靑沙器) cover buried on the ground to protect the baby's placenta. These covers are all hemispherical, with a diameter of more the 20cm. The decorations were made using black and white inlaid techniques only on the outside. The Buncheong ware cover with this shape and pattern has been confirmed only in the placenta chamber in Seongju. This study targets 6 of the Buncheong ware cover whose owners were identified, when and where they were prepared, what the stylistic features and meanings are, and where it was produc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s a result of reviewing the production background and procurement system of this bowl, it was inferred that it was sourced from Jangheunggo (長興庫) at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between 1436 and 1439, when the event to bury the placenta of royal members in the ground was the most active. Second, it analyzed the unique features of this cover, such as the shape, pattern, and baked traces. The shape and pattern were compared to the ritual objects contained in the Sejong Silok Oryeui (『世宗實錄』 「五禮」, Five Rites of King Sejong Chronicle) and the lid of the royal placenta jar made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Thir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baking method was based on the shape and location of the traces remaining outside the cover. Finally, the following data were used to estimate the production site: the relationship with the 'Jagiso (磁器所, ceramic workshop) registered in the Sejong Silok Jiriji (『世宗實錄』 「地理志」, Geographical Appendix of King Sejong Chronicle); various records of contribution and dedication about the Buncheong ware made here; and the Buncheong ware and related tools excavated from the kiln site in the area. The place where the Buncheong ware cover was produced is estimated to be the most likely production site for the kiln site in Chunghyo-dong Kiln Site, located in Jeolla-do province by synthesizing the data above.
Keywords
King Sejong; Placenta Chamber; Buncheong ware; Jangheunggo; Chunghyo-dong Kiln Sit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안세진, 2018, 「「세종실록」 「지리지」 자기소 품정의 목적과 품등의 개념」, 「도예연구」 제27호,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pp.273~298.
2 대동문화재연구원, 2016, 「상주 상판리 분청사기 가마터 1」.
3 백은경, 2018,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조선 왕실 태항아리」, 「조선 왕실 아기씨의 탄생 : 나라의 복을 담은 태항아리」, 국립고궁박물관, p.287.
4 심현용, 2015a, 「星州 禪石山 胎室의 造成과 胎室 構造의 特徵」, 「영남학」 27호, pp.132~135.
5 양윤미, 2015, 「성주 世宗大王子 胎室 봉안 安胎用 陶磁器의 양상과 제작 시기 연구」, 「영남학」 27호, pp.145~179.
6 윤용이, 2000, 「朝鮮時代 백자 태항아리의 成立과 變遷」, 「東岳美術史學」 창간호, 동악미술사학회, pp.55~62.
7 장동철, 2013, 「「世宗實錄地理志」 磁器所 品等 基準 硏究 - 慶尙道를 중심으로」, 「문물연구」 제24호,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pp.67~96.
8 상주박물관, 2018, 「상주 상판리 자기 가마 6 유적」.
9 국립문화재연구소, 1999, 「西三陵胎室」.
10 장동철, 2008, 「尙州 大杓里 窯址 陶磁片 硏究」, 「미술사학연구」 제257호, 한국미술사학회, pp.5~29.
11 국립문화재연구소, 2008, 「조선 왕실의 태봉」.
12 대동문화재연구원, 2012b, 「高靈 星山 沙鳧洞 陶窯址 - 高靈 '星山 沙鳧洞 陶窯址' 築臺 補修工事 敷地 內 遺蹟 發掘調査報告書」.
13 박경자, 2011, 「朝鮮 15世紀 磁器所의 성격」, 「미술사학연구」 제270호, 한국미술사학회, pp.97~124.
14 박경자, 2017, 「상주 상판리 자기 가마와 「世宗實錄」 「지리지」 上品 磁器所」, 「상주 상판리 유적의 도자사적 의의」, 상주박물관, pp.67~83.
15 상주박물관, 2015, 「상주 상판리 자기 가마 1 유적」.
16 상주박물관, 2016, 「상주 상판리 자기 요지 VI 학술발굴조사 약보고서」.
17 성현주, 2018, 「경상 지역 분청사기 가마터 조사 현황과 성격」, 「아시아 도자문화 연구」 창간호, 국립광주박물관, pp.125~184.
18 오영인, 2019, 「15세기 초반 경상도 상주목 일대 화기(花器)의 감조(監造) 배경과 견양(見樣)으로서의 의미」, 「문화재」 52권 3호, pp.112~129.   DOI
19 심현용, 2005, 「星州 世宗大王子 胎室 硏究」, 「博物館年報」 第2號, 江陵大學校 博物館, pp.53~71.
20 심현용, 2015b, 「朝鮮時代 胎室에 관한 考古學的 硏究」,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윤석인, 2010, 「朝鮮 王室 胎항아리 變遷 硏究」, 「古文化」 제75집, 한국대학교박물관협회, pp.67~70.
22 강경숙, 1964, 「李朝白磁胎壺」,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제5권 제8호, 한국미술사학회, pp.11~14.
23 「太宗實錄」
24 강수연, 2002, 「朝鮮時代 白瓷 胎缸에 관한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世宗實錄」 「五禮」
26 「世宗實錄」 「地理志」
27 강경숙, 1994, 「「世宗實錄」 地理志 磁器所.陶器所 硏究 - 忠淸道를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 제202호, 한국미술사학회, pp.5~95.
28 강경숙, 1997, 「「世宗實錄」 「地理志」 기록에 있는 磁器所 陶片의 특징 -경기도와 충청도 5곳 가마터를 중심으로」, 「고고미술사론」 제5호, 충북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pp.39~89.
29 林泉, 1962, 「光州 忠孝洞 高麗 陶窯址 調査」,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제3권 제8호, 한국미술사학회, pp.279~280.
30 「世宗實錄」
31 강경숙, 2003, 「15세기 경기도 광주 백자의 성립과 발전」, 「미술사학연구」 제237호, 한국미술사학회, pp.75~101.
32 강경숙, 2012, 「한국도자사」, 예경, pp.356~357.
33 김영원, 1995, 「世宗 연간의 陶磁에 관한 考察」, 「미술자료」 55, 국립중앙박물관, pp.77~79.
34 전북문화재연구원.(주)오케이, 2008, 「完州 花心里 遺蹟 : 완주 오케이골프장 조성 부지 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35 이홍직, 1969, 「朝鮮 前期의 白磁 胎缸」, 「古文化」 통권5.6호, 한국대학박물관협회, pp.81~84.
36 국립문화재연구소, 2006, 「조선 왕실의 안태와 태실 관련 의궤」, 민속원.
37 국립고궁박물관, 2018, 「조선 왕실 아기씨 탄생」.
38 국립중앙박물관, 1992, 「光州 忠孝洞 窯址 -粉靑沙器.白磁 가마 퇴적층 조사-」.
39 김윤정, 2008, 「高麗末.朝鮮初 王室用 磁器의 제작 체계 연구」, 「미술사학연구」 제260호, 한국미술사학회, pp.35~66.
40 김해영, 2014, 「「世宗大王胎室石欄干修改儀軌」에 대하여」, 「古文書硏究」 45, 한국고문서학회, pp.55~56.
41 대동문화재연구원, 2012a, 「高靈 沙鳧里 窯址 - 高靈 88올림픽 高速道路 擴張 區間 (第14工區) 內 遺蹟 試1.發掘調査報告書 (第II區域)」.
42 국립광주박물관, 2013, 「무등산 분청사기」.
43 김지영, 2016, 「18세기 후반 정조대 '元子'의 탄생과 胎室의 조성 -「胎封謄錄」과 「元子阿只氏安泰謄錄」을 중심으로-」, 「장서각」 제35집, 한국학중앙연구원, pp.126~138.
44 강제훈, 2015, 「조선 초기 국가 의례 정비의 지향과 원칙 - 길례, 흉례의 상호 영향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68,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45 국립문화재연구소, 2007, 「국역 안태등록」, 민속원.
46 국립광주박물관.광주직할시, 1993, 「무등산 충효동 가마터」.
47 김지영, 2014, 「조선시대 출산과 왕실의 '장태의례(藏胎儀禮)' -문화적 실천 양상과 그 의미-」, 「역사와 세계」 45호, 효원사학회, pp.63~65.
48 김호, 2003, 「조선 왕실의 藏胎 儀式과 관련 儀軌」, 「한국학보」 29권 2호, 일지사, pp.164, 167~176, 179~1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