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2755/kjchs.2021.54.3.168

Four Heavenly Kings Statues of Hoeamsa in the Early Joseon Dynasty: Seen Through Clay-Fragments Excavated From the Yangju Hoeamsa Site  

SHIM, Yeoungshin (Dept. of History, Soongsi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v.54, no.3, 2021 , pp. 168-19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shape, iconography, and creation date of the Four Buddhist Heavenly Kings (Sacheonwang 四天王) enshrined in the Heavenly Kings' Gate (Cheonwangmun 天王門) of Hoeamsa in Yangju, Gyeonggi Province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First, small fragments of clay decoration excavated from a fourth-platform gate site of the Hoeamsa Temple Site in Yangju Gyeonggi Province were analyzed and compared to other Four Heavenly Kings enshrined in the (Cheonwangmun gates)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addition, the size and shape of the gate were compared to other Cheonwangmun gates constructed during the Joseon Dynasty. Results revealed that the excavated fragments were part of the armor of Sacheonwang, and the clay-standing statues enshrined in the fourth-platform gate of Hoeamsa Temple would be proportional in size to those of Beopjusa Temple in Boeum, South Chungcheong Province. The flame-type pieces, which decorated the Heavenly King's crown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 rectangular-type pieces were not found in artifacts from the Goryeo Dynasty. Therefore, the Sacheonwang sculptures of the Hoeamsa Temple were likely made in the late 15th centur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 detailed iconography of the Sacheonwang of Hoeamsa is presumedly based on the Buddhist paintings and illustrations of Buddhist scriptures (Gyeongbyeonsangdo 經變相圖)from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During the late Goryeo Dynasty and early Joseon Dynasty, Traditional iconography from Goryeo and new iconography from Ming coexisted. However, in the late 15th century, the Sacheonwang statue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had many different elements from those of the Goryeo Dynasty and were similar to those enshrined in Cheonwangmun Gate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Four Heavenly Kings of Hoeamsa Temple, believed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late 15th century, has historical significance in the following points. They were the first Joseon Sacheonwang statues example enshrined in the Cheonwangmun gate. In addition, they were established as a new tradition that influenced the iconography of the Four Heavenly Kings during the Joseon Dynasty.
Keywords
Four Heavenly Kings Statues of Hoeamsa; Joseon Dynasty; Queen Jeonghui; Tibet; Ming Imperial Engraving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한정호.박은경, 2010, 「사천왕상 배치 형식의 변화 원리와 조선시대 사천왕 명칭」, 「美術史論壇」 30, pp.273~302.
2 許興植, 1997, 「第3章 檜巖寺」, 「高麗로 옮긴 印度의 등불」, 一潮閣, pp.194~245.
3 郑艺鸿, 2019, 「明十三陵石刻武将服饰研究」, 「艺术设计研究」 2019.1, p.57.
4 翁連溪 李洪波 主編, 「中國佛敎版畫全集」 第五卷/第六卷/第七卷, 中國書店. 2014.
5 https://www.dpm.org.cn/collection/paint/231042.html
6 https://www.heritage.go.kr
7 https://www.museum.go.kr
8 박가영.남윤자.조우현, 2003, 「조선시대의 갑주(甲胄)」, 「한국복식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9 https://archive.asia.si.edu/publications/goryeo/ko/object.php?q=MFAB-11.6142
10 李承禧, 2008, 「高麗末 朝鮮初 四天王 圖像 硏究」, 「미술사연구」 22, pp.117~150.
11 권보경, 2013, 「고려시대 보살상의 圓筒形 寶冠의 源流와 전개」, 「동악미술사학」 15, pp.59~86.
12 「唐六典」
13 「東國輿地勝覽」
14 「東文選」
15 「圓證國師塔碑」
16 강호선, 2017, 「기록으로 본 회암사의 건축」, 「회암사의 건축」(회암사지박물관 연구총서 V), 양주회암사지박물관, pp.169~170.
17 경기도박물관.경기문화재연구원, 2009, 「檜巖寺 III : 5.6단지 발굴조사 보고서 - 유물 도면.사진」, 경기도박물관.경기문화재연구원.
18 경기문화재연구원, 2013a, 「檜巖寺 IV : 1~4단지 발굴조사 보고서 - 본문」(京畿文化財硏究院 學術調査報告 第146冊), 경기문화재연구원.양주시.경기도.
19 경기문화재연구원, 2013b, 「檜巖寺 IV : 1~4단지 발굴조사 보고서 - 사진」(京畿文化財硏究院 學術調査報告 第146冊), 경기문화재연구원.양주시.경기도.
20 고경 감수, 김희태.최인선.양기수 역주, 2001, 「역주 보림사 중창기」, 장흥문화원.
21 高裕燮, 1993, 「韓國 塔婆의 硏究」(고유섭 전집 1), 通文館.
22 김경미, 2015, 「조선 전기 석가설법도의 사천왕 도상 배치 형식 고찰」, 「문화재」 48, pp.4~23.
23 김민규, 2021, 「회암사지 석조문화재의 역사와 의미」, 「회암사의 조각 : 전통의 계승과 새로운 전통의 시작」(「양주시립회암사지박물관 연구총서 IX」 발간 학술대회 자료집), pp.98~101.
24 국립중앙박물관, 2010, 「고려불화대전」.
25 김정희, 2015, 「조선 전반기 회암사의 왕실 후원자와 왕실 발원 미술」, 「회암사와 왕실문화」(회암사지박물관 연구총서 II), 양주회암사지박물관, pp.30~67.
26 김철웅, 1997, 「고려말 회암사의 중건과 그 배경」, 「史學志」 30-1, pp.167~191.
27 김홍식, 2013, 「양주 檜巖寺 터의 史蹟과 殿閣 配置의 복원적 연구」, 「檜巖寺 IV : 1~4단지 발굴조사 보고서 - 본문」(京畿文化財硏究院 學術調査報告 第146冊), 경기문화재연구원.양주시.경기도.
28 남창근.김태영, 2012, 「백제계 및 신라계 가구식 기단과 계단의 시기별 변화 특성」, 「건축역사연구」 21, pp.112~116.
29 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2011, 「북한의 전통사찰 10 - 강원도」, 도서출판 양사재.
30 동국대학교 박물관, 2014, 「刻卽佛心」.
31 문화재청, 2003, 「楞伽寺 大雄殿 實測調査報告書」.
32 문화재청, 2011, 「김천 직지사 대웅전 정밀실측조사보고서 (상)」
33 박도화, 2002, 「15세기 후반기 王室 發願 版畫 -貞熹大王大妃 發願文을 중심으로-」, 「강좌미술사」 19, 한국불교미술사학회, p.159.
34 이종수, 2016, 「조선시대 회암사의 역사와 위상」, 「회암사와 불교사」(회암사지박물관 연구총서 IV), 양주회암사지박물관, p.5.
35 심영신, 2018, 「통도사 금강계단 석조신장입상의 조형과 편년」, 「불교미술사학」 25, pp.7~37.
36 염중섭, 2014, 「檜巖寺 修造 名分의 변화와 종교적 해법의 유사 구조 -慈藏의 영향을 중심으로-」, 「건축역사연구」 95, pp.35~46.
37 이경미, 2015, 「조선 초기 회암사의 왕실 불사에 따른 건축 변화의 양상」, 「회암사와 왕실문화」(회암사지박물관 연구총서 II), 양주회암사지박물관, pp.137~138.
38 임영애, 2010, 「조선시대 사천왕상 존명의 변화」, 「미술사학연구」 265, pp.73~104.   DOI
39 임영애, 2018, 「천왕문의 등장 : 사천왕상의 봉안 위치와 역할」, 「신라문화」 52, pp.45~70.
40 정여원, 2020, 「朝鮮時代 天王門 形成 過程」,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정연상, 2015, 「회암사지 건축물의 바닥 구조에 관한 연구」, 「회암사의 건축」(회암사지박물관 연구총서 V), 양주회암사지박물관, pp.208~240.
42 정은우, 2016, 「조선 후기 대형 소조사천왕상의 구조와 제작 기법 연구」, 「불교미술사학」 22, pp.131~161.
43 오세덕, 2019, 「양주 회암사지 유구 분석을 통해 본 시기성과 조선시대 사찰에 미친 영향」, 「불교미술사학」 28, pp.110~114.
44 한국미술연구소, 1996, 「高麗時代의 佛畫」, 시공사.
45 한정호.김지현, 2017, 「통도사 금강계단의 변천과 浮彫像의 도상 고찰」, 「신라문화」 50, pp.213~244.
46 한지만, 2017, 「고려시대 선종 사원과 회암사」, 「한국건축역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7 조혜미, 2019, 「「諸佛世尊如來菩薩尊者名稱歌曲」 變相 版畵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 한지만.이상해, 2018, 「회암사의 연혁과 정청.방장지에 관한 복원적 연구」, 「건축역사연구」 제17권 제6호, p.50.
49 호암미술관, 1995, 「대고려국보전」.
50 홍병화, 2016, 「14세기 원 건축의 영향과 고려의 수용」, 「건축역사연구」 제25권 제2호, pp.11~12.
51 김자현, 2015, 「15세기 王室 發願 변상 판화와 새로운 도상의 유입」, 「동악미술사학」 17, pp.7~43.
52 魯明信, 1994, 「朝鮮 後期 四天王像에 대한 考察」, 「미술사학연구」 202, pp.97~126.
53 김연미, 2021, 「회암사 보광전에 봉안되었던 불상에 대한 추정」, 「회암사의 조각 : 전통의 계승과 새로운 전통의 시작」(「양주시립회암사지박물관 연구총서 IX」 발간 학술대회 자료집), pp.115-135.
54 김정희, 2007, 「孝寧大君과 朝鮮 初期 佛敎 美術 -後援者를 통해 본 朝鮮 初期 王室의 佛事-」, 「美術史論壇」 25, pp.142~144.
55 김홍식, 1991, 「양주 회암사지의 전각 배치에 대한 연구 - 목은 이색의 천보산 회암사수조기를 중심으로」, 「문화재」 24, p.115.
56 류성룡, 2012, 「17세기 사천왕상 天王門의 건축 형식 展開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제21권 제5호, pp.69~82.   DOI
57 영산문화재연구소.불갑사, 2012, 「四天王像 - 불갑사 사천왕상 보수」, pp.66~109.
58 車周煥, 2001, 「寺刹 建築의 內部 바닥 마감에 關한 硏究 - 礎石, 기둥, 引枋의 結構를 中心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9 文賢順, 2001, 「朝鮮 前期의 새로운 佛敎 圖像 - 泉隱寺 舊藏 金銅佛龕의 銅版 浮彫와 佛坐像을 중심으로」, 「미술사연구」 15, pp.203~209.
60 박은경, 2011, 「일본 소재 조선 전기 釋迦說法圖 연구」, 「석당논총」 50, pp.261~310.
61 이대암, 2007, 「조선시대 라마계 천왕문의 수용 및 전개에 대하여 - 천왕문의 배치와 사천왕 배열에 관한 문제」, 「건축역사연구」 55, pp.47~65.
62 임영애, 2005, 「순천 송광사 사천왕상의 방위 문제와 조성 시기」, 「서지학연구」 30, pp.73~95.
63 張忠植, 1979, 「韓國 石造戒壇考」, 「佛敎美術」 4, pp.104~139.
64 정은우, 2012, 「불갑사 목조사천왕상 연구」, 「四天王像 - 불갑사 사천왕상 보수」, 영산문화재연구소.불갑사 편, pp.238~2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