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22755/kjchs.2021.54.2.170

The Change of Management Methods on Iksan and the rearrangement of Sabi by Baekje  

KIM, Nakjung (Dept. of Archaeological anthropology, Jeonbuk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v.54, no.2, 2021 , pp. 170-19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this article, I examine the transformation of the Iksan Royal Palace into a temple. And it was considered to mean a change in the way Iksan was managed by Baekje. The Iksan Royal Palace was converted into a temple between the establishment of Mireuksa Temple and Stone Pagoda. As a result,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Iksan was not achieved, and Iksan was transformed into a temple-centered city. In connection with this, the need to re-establishment the urban system in Sabi was increased, as it suffered a great flood in the Muwang era. As a result, the scope of the royal palace was expanded, the secondary palace was built, and the urban district was expanded throughout the capital city. It is presumed that King Mu gave a divine nature to Iksan and discriminated against Sabi. Accordingly, it is believed that the King Mu or King Uija stopped developing the city in Iksan and focused on the rearrangement of Sabi.
Keywords
Baekje; Iksan; Archaeological Site in Wanggung-ri, Iksan; Sabi; King Mu;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전용호, 2015, 「익산 왕궁리 유적의 사찰 운영에 대한 재검토 - 왕궁탑 하부 유구를 중심으로」, 「歷史學硏究」 제60집, 호남사학회.
2 박원지, 2012, 「백제 사비기 기와의 유통체계」, 「백제 사비기 기와 연구 IV」,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3 백제고도문화재단, 2019, 「부여 화지산 유적(사적 제425호) 6차 발굴(정밀)조사 약보고서」.
4 성현화.김문옥, 2020, 「부여 화지산 유적 -2018년도 5차 발굴조사-」, 백제고도문화재단.
5 宋祥圭, 1976, 「王宮坪 城에 對한 硏究 - 金馬의 百濟 末期 王都 可能性의 諸問題」, 「百濟硏究」 제7집,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6 심상육, 2018, 「사비도성의 개발 계획과 활용」, 「토지 활용과 경관의 고고학」(제42회 한국고고학 전국대회), 한국고고학회.
7 심상육, 2020, 「발굴자료를 통해 본 사비도성의 변천과 경관」, 「백제문화」제62집,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8 울산발전연구원 문화재센터, 2020, 「부여 쌍북리 56번지 유적 -부여 사비한옥마을 조성부지 내 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9 이병호, 2018, 「익산 미륵사지 출토 백제 수막새의 기초적 검토」, 「백제학보」 제24호, 백제학회.
10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1996, 「彌勒寺 遺蹟發掘報告書 II」.
11 이신효, 2006, 「익산 백제 왕궁 출토 사찰명 기와의 고찰」, 「호남고고학보」 제23집, 호남고고학회.
12 심상육.이명호.이미현.김선옥.정은지, 2014, 「사비 왕궁지구 유적」, 백제고도문화재단.
13 심상육.이화영.박종현.김문옥, 2019, 「부여 석목리 143-16번지 유적」, 부여고도문화재단.
14 이병호, 2011, 「유적으로 본 백제 무왕과 그의 시대」, 「서동의 꿈, 미륵의 통일 百濟 武王」, 국립부여박물관.
15 李浩炯.丘冀鍾, 2006, 「扶餘 陵山里 東羅城 內.外部 百濟 遺蹟」, 忠淸文化材硏究院.
16 전용호, 2017, 「익산 제석사지 출토 수막새에 대한 일고찰 -익산 왕궁리 유적 및 미륵사지 출토 수막새와 비교를 중심으로-」, 「歷史學硏究」 제68집, 호남사학회.
17 洪潤植, 2003, 「文獻資料를 통해서 본 百濟 武王의 遷都 史實」, 「益山의 先史와 古代文化」, 마한.백제문화연구소.
18 藤澤一夫, 1977, 「百濟 別都 益山 王宮里 廢寺 卽大官寺考」, 「馬韓百濟文化」 제2집,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19 조경철, 2015, 「백제불교사 연구」, 지식산업사.
20 전용호, 2010, 「益山 王宮里 遺蹟 - 宮城에서 寺刹로의 變化相에 對한 硏究」, 「韓國의 都城」, 국립경주.부여.가야문화재연구소.
21 김낙중, 2017, 「백제 고고학 연구에서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유물의 의미」, 「백제문화」 제57집,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2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09a, 「부여 관북리 백제 유적 III」.
23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12, 「백제 사비기 기와 연구IV」
24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19, 「제석사지 폐기 유적 발굴조사보고서 III」.
25 노중국, 1988, 「百濟政治史硏究」, 一潮閣.
26 宋日基, 2005, 「京都 靑蓮院藏 「觀世音應驗期」 所收 百濟 記事의 檢討 - 특히 '金剛波若經'의 別稱 問題를 중심으로」, 「書誌學硏究」 제30집.
27 南浩鉉, 2016, 「三國時代 木造建築物의 移建 可能性 檢討 -扶餘 官北里 遺蹟과 益山 王宮里 遺蹟의 事例를 中心으로-」, 「중서부지역 고고학연구」, 진인진.
28 姜種元, 2007, 「백제 말기 政治狀況과 익산 王宮城」, 「馬韓.百濟文化」 제17집,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29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彌勒寺址 石塔 기단부 발굴조사보고서」.
30 扶餘文化財硏究所, 1992, 「王宮里 遺蹟 發掘 中間報告」.
31 심상육.이명호, 2018, 「부여 화지산 유적 -2015~2016년도 2.3차 발굴조사-」, 백제고도문화재단.
32 金庚澤, 2012, 「泗沘都城의 排水體系 變遷에 대한 試論的 考察」, 「韓國上古史學報」 77, 韓國上古史學會.
33 이병호, 2007, 「사비 도성의 구조와 축조 과정」, 「백제의 건축과 토목」(백제문화사대계 연구총서 15,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34 박순발, 2009, 「東아시아 都城史에서 본 益山 王宮里 遺蹟」, 「익산 왕궁리 유적 - 발굴 20주년 성과와 의의」,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엮음, 주류성.
35 박순발, 2019, 「백제의 익산 경영」, 「익산 쌍릉-대왕릉 출토 인골 종합학술연구보고서」,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36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08, 「王宮里 VI」.
37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09b, 「부여 관북리 백제 유적 IV」.
38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11, 「帝釋寺址 발굴조사보고서 I」.
39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13a, 「백제 사비기 기와 연구 V」.
40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13b, 「帝釋寺址 발굴조사보고서 II」.
41 노중국, 1999, 「百濟 武王과 知命法師」, 「韓國史硏究」 107, 한국사연구회.
42 김낙중, 2012, 「百濟 泗沘期의 都城과 王宮 -최근의 발굴조사 성과를 중심으로-」, 「백제와 주변 세계」, 진인진.
43 김선기.조상미, 2006, 「익산 왕궁리 전와 요지(제석사 폐기장) 시굴조사보고서」, 원광대학교박물관.
44 김성남.김영.최유정, 2014, 「부여 쌍북리 154-10번지 사비(泗沘) 공방구(工房區) 유적」, 백제고도문화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