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4275/KSLIS.2011.45.2.185

Construction of Folksonomy Tag Framework Using Bibliographic Record  

Lee, Seung-Min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v.45, no.2, 2011 , pp. 185-20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the current information environment, many approaches have been adopted to represent and organize information resources. Among these approaches, folksonomy using tags is now being used in knowledge representation and organization. Although it may be an efficient approach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approaches,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 assigning tags such as ambiguity, inconsistency, and polysemy that limit efficient information organization. This research proposes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control of semantics of tags through linking up with bibliographic records in order to maximize the efficiency and minimize the limitations of folksonomy tags.
Keywords
Folksonomy; Tag; Tagging; Tag Cloud; Bibliographic Record;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9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구중억, 이응봉. 2006. Open API 기반 OPAC 2.0 서비스 구현 및 유용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2): 315-332.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ScienceOn
2 김동숙, 정연경. 2010. 저작관련 요소분석을 통한 폭소노미 태그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LibraryThing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27(1): 41-60.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3 노지현. 2009. 도서관 목록에서 폭소노미 적용의 의미와 한계.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4): 381-400.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4 박미성. 2008. Web 2.0 기술적용 사이트 분석을 통한 도서관 정보 시스템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1): 139-168.   과학기술학회마을
5 유시내. 2007. 기록 검색 서비스 개선을 위한 폭소노미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5: 58-59.
6 이성숙. 2008. 대학도서관 폭소노미 태그의 형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463-480.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7 Golder, S. A. & Huberman, B. A. 2006. "Usage patterns of collaborative tagging systems."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32(2): 198-208.   DOI
8 Marlow, C., Naaman M., Boyd, D., & Davis, M. 2006. "HT06, tagging paper, taxonomy, Flickr, academic article, toread." Proceedings of Hypertext 2006. New York: ACM Press.
9 Mathes, A. 2004. "Folksonomies: Cooperative classification and communication through shared metadata." [online]. [cited 2011.2.11]. .
10 Peters, Isabella. 2009. Folksonomies: Indexing and Retrieval in Web 2.0. [Berlin]: Walter de Gruyter.
11 Specia, L., & Motta, E. 2007. "Integrating folksonomies with the semantic web." The Semantic Web: Research and Applications, LNCS 4519: 624-639. [online]. [cited 2011.1.20]. .   DOI
12 조재인. 2008. 도서관 정보 수요자를 위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2): 169-186.   과학기술학회마을
13 이성숙, 정서영. 2009. 국내 도서관 폭소노미 태그의 일반적 패턴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0(1): 137-150.   과학기술학회마을
14 이지연. 2007. 라이브러리 2.0과 도서관 서비스 발전 방향.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KR 2007-11.
15 이재윤, 황혜경. 2006. 이용자 생성 메타데이터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연구, 37(3): 1-24.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16 조재인. 2008. 학술정보서비스의 폭소노미 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95-112.   과학기술학회마을   DOI
17 Damme, V. C., Hepp, M., & Siorpaces, K. 2007. "FolksOntology: An integrated approach for turning folksonomies into ontologies." ESWC 2007 "Bridging the Gap between Semantic Web and Web 2.0" Workshop.
18 정은증. 2007. 미국 인터넷 사용자들의 Tag(태그) 이용 현황: 인터넷 사용자들의 혁명적인 정보 분류법. 정보통신정책, 19(3): 44-51.
19 최진원. 2008. 키워드 태그를 활용한 영화 서사의 연관성 계산 및 시각화 어플리케이션. 석사학위논문, 한국과학기술원 문화기술대학원.
20 Allen, Matthew. 2008. Web 2.0: An argument against convergence. First Monday, 13(33). [online]. [cited 2011.2.14]. .
21 Fichter, D. 2006. "Intranet applications for tagging and folksonomies." Online, 30(3): 43-45.   DOI
22 Echarte, Francisco, Astrain, Jose Javier, Cordoba, Alberto, & Villandangos, Jesus. 2007. "Ontology of folksonomy: A new modeling method." Proceedings of Semantic Authoring, Annotation and Knowledge Markup(SAA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