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n analysis of test items from the viewpoint of the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Lee, Seok-Hyeon (Soha High School)
Han, Gil-Jun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Dankook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v.25, no.2, 2012 , pp. 97-11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area of knowledge required for constructing test items by comparing the consulting contents with the area of MKT(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This paper collects the consulting results by the consulting group of A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from 2007 to 2009, and analyzes and categorizes the results. The knowledge for constructing test items are known by the analysis on the consulting contents. Training and consulting for teachers are necessary to enable them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se categori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test items.
Keywords
test items; MKT;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봉규, 박성혜, 새로운 교육평가, 태영출판사, 서울, 2010.
2 강현석, 교과교육학의 새로운 패러다임-교과학의 이론과 실제-, 아카데미프레스, 서울, 2006.
3 경기도교육청, 2008학년도 고등학교 학업성취도평가 사전 연수자료, 경기도교육청, 2008.
4 교육인적자원부 (2007), 수학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 서울, 2007.
5 김대현, 김석우,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학지사, 서울, 2008.
6 김동환, 복소수 지도를 위한 수학 지식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7 김석우, 교육평가의 이해, 학지사, 서울, 2009.
8 김수동, 김선희, 수학과 수업에서 평가를 잘 하려면,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연구자료 ORM2005-51-4, 2005.
9 김우상, 9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중 수리.탐구영역 (I)의 평가문항 분석에 관한 연구, 인하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10 남해룡, 대학수학능력시험(수리탐구 I)에 대한 평가문항 분석 : 200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중심으로, 경상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1 문영수, 총괄평가 문항 제작에 따른 내용과 편집상의 문제점 및 단원별 평가 내용에 관한 연구 : '수학 10-가' 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2 박경미, 수학교육평가 : 수학교육평가 이론 정립을 위한 한 시도, 교과교육평가의 이론과 실제, 백순근, 원미사, 서울. pp. 117-149, 2003.
13 박선제,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수리 영역 (나)형 문항 분석 및 출제 경향에 관한 연구 : 2005-2007 : 7차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경상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4 성태제, 현대교육평가, 학지사, 서울, 2002.
15 신범영, 바람직한 수학 평가 문항의 제작에 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6 이경은, 수업 실제에 나타나는 교사의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에 관한 사례연구-중학교 도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7 이인제, 신현용, 수학과 교사의 학생 평가 전문성 신장 모형과 기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연구보고 RRE-2004-5-6, 2004.
18 조승제, 교육과정과 평가의 쟁점-삶과 앎-, 교육과학사, 서울, 2007.
19 조초롱, PCK(내용교수법)을 바탕으로 한 수학과 평가의 모형 개발,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0 최우정, 제 7차 교육과정의 학습목표에 비추어 본 중학교 수학과 평가 문항 분석,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21 한다롱, 내용 교수 지식을 통한 중학교 평가문항 분석 : 중학교 2학년 과정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2 홍순창, 수리.탐구영역 (I)의 평가문항 분석에 관한 연구 :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중심으로, 韓國敎員大 大學院 석사학위논문, 1994.
23 홍영미, 현행 중학교 수학과 9-나 단계 지필평가 문항분석, 계명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4 황정규, 학교 학습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서울, 2002.
25 Deborah Loewenberg Ball, Mark Hoover Thames, and Geoffrey Phelps,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 What makes it special?,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9(5) (2008), pp. 389-407.   DOI
26 Heather C. Hill, Deborah Loewenberg Ball, and Stephen G. Schilling, Unpack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Conceptualizing and Measuring Teachers' Topic-Specific Knowledge of Student,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9(4) (2008), pp. 372-400.
27 Lee S. Shulman,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 (1987), pp. 1-22.
28 M.David Miller, Robert L.Linn, and Norman E. Gronlund, Measurement and Assesment in Teaching, 10th ed. Merrill, New Jersey, USA. 2009.
29 NCTM.,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989.
30 Randolph A. Philipp, Rebecca Ambrose, Lisa L. C. Lamb, Judith T. Sowder, Bonnie P. Schappelle, Larry Sowder, Eva Thanheiser, and Jennifer Chauvot, Effects of Early Field Experiences on the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and Beliefs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 An Experimental Study,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8(5) (2007), pp. 438-476.
31 Ruhama Even, Subject-Matter Knowledge 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rospective Secondary Teachers and the Function Concept,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4(2) (1993), pp. 94-116.   DOI   Scienc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