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32431/kace.2019.22.2.006

A Study of Guidelines Development on Digital Textbook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pplying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Cha, Hyunjin (단국대학교 교양교육대학)
Son, Jiyoung (대전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v.22, no.2, 2019 , pp. 51-6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has adopted an educational policy about digital textbooks at K-12 schools since 2018, in order to provide students with individualized learning contents and activities. However, digital textbooks has been yet prepared and delivered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inclusive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guidelines on digital textbook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pplying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recognizing the requirements for the digital textbooks which can be utilized in the K-12 inclusive classrooms for diverse students. In this respect, guidelines on digital textbooks were developed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cases. The first draft of guidelines were reviewed with two rounds of the delphi methods with special teachers. In addition, scenarios were developed, representing the rich educational contexts with digital textbooks applying the guidelines in a practical way for students with 4 types of disabilities.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educational policies and environments related to the digital textbook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Keywords
Students with disabilities;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Digital textbook; Guideline development; Delphi method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교육부 (2016). 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초.중등학교 디지털교과서 국.검정 구분 고시. Retrieved from https://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94&boardSeq=64153&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30&s=moe&m=0503&opType=N
2 이정은 (2011). 중등장애학생의 교수통합을 위한 보편적 학습 설계(UDL) 지침을 적용한 교과별 e교과서 설계 원리 개발 연구. 학습장애연구. 8(2). 1-29.
3 김용욱.김남진 (2007). 특수교육 디지털교과서 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 특수교육연구. 14(2), 259-285.   DOI
4 강성구.고재성.임경원 (2017) 학습모듈 설계 기반의 특수교육 디지털교과서 개발을 위한 교과서 학습활동에 대한 학습모듈 유형 및 적합성 분석.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10(2), 1-19.
5 김영걸 (2009). 특수교육용 디지털교과서 개발방향과 과제. 지적장애연구. 11(2), 227-249.
6 CAST (2008).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guidelines version 1.0. Wakefield. MA: Author.
7 김용욱.김남진.함미자 (2003). 발달장애 학교에서의 전자도서 활용실태 및 개선방안. 특수교육학연구. 38(2), 275-295.
8 이희광 (2011). 스캐폴딩 전략에 기반한 디지털교과서 활용 수업이 읽기장애학생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 청구논문. 대구대학교 대학원.
9 김용욱.박영준.김창수 (2011). 시각장애인용 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한 교수-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VDT 증후군 자각증상에 미치는 영향. 시각장애연구. 27(1), 1-24
10 박수홍.안성우.정주영.서유경 (2008). 저시력 학생을 위한 전자교과서의 장애유형별 요구사양 도출. 시각장애연구. 24(2), 81-104.
11 이국정.이상수 (2014). 보편적학습설계 원리에 기초한 특수교육용 e교과서 설계 원리 개발. 특수교육학연구. 48(4), 317-336.
12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1). 디지털교과서 콘텐츠 개발방법. RM-2011-28
13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14).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디지털교과서 활용 가이드. 교육자료GM 2014-2.
14 임정훈.임병노.김세리 (2008). "활동" 중심의 디지털교과서 활용 교수.학습 방법 탐색.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4(4), 27-52.
15 이경윤 (2014). 사회과 디지털교과서 분석 - 자기 조절 학습 전략의 관점에서. 시민교육연구. 46(2), 229-262.
16 차현진.계보경.정광훈 (2017). 디지털교과서가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 및 문제해결 역량에 미치는 효과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2), 13-15.   DOI
17 성지현.조영환.조규태.허선영.양선환 (2017). 학습자 중심 교육에서 디지털교과서의 역할 탐색. 교육정보미디어연구. 23(4), 831-859.
18 Rose, D. H., and Meyer, A. (2002). Teaching every student in the digital age: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 손지영 (2011). 장애학생을 위한 학습 설계의 적용에 대한 온라인 학습 콘텐츠의 분석 연구.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0(4), 39-63.
20 육주혜.김성남.금미숙.고등영 (2009). 특수교육 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장애유형별 전문가 요구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48(2), 139-157.
21 CAST (2018). Universal design for learning guidelines version 2.2. Wakefield. MA: Author.
22 장상현 (2010). UDL 가이드라인에 따른 디지털교과서 접근성 향상 방안 연구.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3(3), 65-75.
23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9). 특수교육용 디지털교과서 접근성 설계.평가 지침 개발 연구. 연구보고 KR 2009-1
24 한국정보화진흥원 (2009). 이러닝 콘텐츠 접근성 개선 추진 전략. NIA VII-RER-09032.
25 한국전파연구원, 2015,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2.1 버전
26 손지영 (2016). 보편적학습설계를 적용한 디지털 텍스트 설계 방안의 구안. 한국초등교육연구. 27(1), 441-463.
27 Helmer, O (1967). Analysis of the future: The delphi method. The Rand Corporation.
28 Rosson, M. B., & Carroll, J. M. (2002). Scenario-based design, In J. Jacko & A. Sears (Eds.). The Human-Computer Interaction Handbook: Fundamentals, Evolving Technologies and Emerging Applications (pp. 1032-1050), USA,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9 Preece, J., Rogers, Y., & Helen, S. (2007). Interaction Design: beyond human-computer interaction (2nd ed.). USA, NJ: John Wiley & 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