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32431/kace.2018.21.6.002

Development of Software Course Model and Verification of its Effects to Foster Creative Competency of University Students  

Oh, Mi Ja (건국대학교 대학교육혁신원)
Kim, Mi Ryang (성균관대학교 컴퓨터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v.21, no.6, 2018 , pp. 15-2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software education has effects on improving creative competency. To this end, the study designed software education lessons to strengthen creative competency for 15 weeks and developed assessment tools. Based on the designed lessons, the 15-week lessons were provided for university students, including a pre-test in the first week and a post-test in the 15th week. The resul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the lessons, with the mean value of creative competency 0.31 point higher and p-value of 0.002 in the post-test than in the pre-test. The sub-factors of creative competency, including flexibility, originality, openness, and creative implementing skill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p-value all lower than 0.05.
Keywords
Software Education; Competency-Based Software Education Model; Creative Competency; University Studen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송윤숙, 이경화(2012). 창의성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성과 인지적 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2), 73-88.
2 Urban, K. K., & Jellen, H. G. (1996). Test for Creative Thinking-Drawing Production(TCP-DP). Lisse:Swets and Zeitlinger.
3 Shallcross, D. J. (1981). Teaching creative behaviour: how to teach creativity to children of all ages.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4 박지현(2004). 80년대 표준설계 초등학교의 환경 친화적 리모델링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5 양혜진(2017). 창의역량 증진을 위한 대학 강의실 모델 개발:교육환경 분석 및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박사논문, 성균관대학교.
6 김미숙, 최상덕, 차성현, 조선미, 하유미 (2012). 창의역량 측정지표 및 도구 개발연구. 한국교육개발원
7 이경화, 유경훈(2012). 초.중등 학생용 집단통합 창의성 검사개발 및 표준화. 교육심리연구. 26(1), 1-15.
8 Griffin, P. (2011). The Assessment and Teaching of 21st Century Skills Project. Education World Forum, 10-12 January 2011, London.
9 서미옥(2009). 창의성 강좌가 교육대학원생의 창의적 인성과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교육학회. 17(3), 1-25.
10 이경화, 유경훈(2010). 창의성과 문제해결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적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영재와 영재교육. 9(3), 5-20.
11 김명숙, 고장완(2014). 대학생의 학습참여가 지각된 창의성역량에 미치는 영향. 영재와 영재교육. 13(1), 83-106.
12 박선형, 이경화(2014). 대학생의 창의성 및 창의적 리더십 비교를 통한 대학 창의성교육 강화 방안. 영재와 영재교육. 13(3), 59-83.
13 Wing, J. M. (2011). Computational Thinking. CSTA Workshop. 4 March
14 CSTA&ISTE(2011). Operational Defini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for K-12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www.iste.org/docs/ct-documents/computational-thinking-operational-definition-flyer.pdf
15 Martin, M. M., & Robin, R. B. (1994). Development of a communication flexibility scale. Southern Communication Journal, 59, 171-178.   DOI
16 김종혜 외(2008). 정보 교과 교육과정의 "문제해결방법과 절차" 영역 목표 및 내용 세목화.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1(1), 33-46.
17 윤선희, 김영식(2011). 정보과학 창의성의 구성 요소 탐색.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4(1), 45-54.
18 지은림, 주언희 (2012). 창의적 인재 역량 측정을 위한 구인 탐색 및 척도 개발. 교육평가연구. 25(1), 69-94.
19 홍숙지 (2005). 개인 유연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20 하주현(2000). 창의적 인성 검사 개발. 교육심리연구. 14(2), 187-210.
21 교육부 사이트, www.moe.go.kr/
22 WEF(World Economic Forum,2016). Retrieved from https://www.weforum.org/reports/the-global-competitiveness-report-2016-2017-1
23 소경희(2007). 학교교육의 맥락에서 본 '역량'(competency)의 의미와 교육 과정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25(3), 1-21.
24 유현숙, 임후남, 최정윤, 여승수, 서영인, 신현석, 고장완(2010). 한국 대학생의 학습과정 분석 연구[I]. 한국교육개발원.
25 이정민, 박현경, 최형신(2018). 로봇 할용 SW교육이 초등학생의 컴퓨팅 사고력, 창의석, 학업흥미, 협업능력에 미치는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1), 9-21.   DOI
26 Parry, S. B.(1996). The quest for competencies: Competency studies can help you make HR decision. but the results are only as good as the study. Training, 33, 48-56.
27 박경재, 이수정(2010). 두리틀과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비교 연구, 정보교육학회. 14(4), 619-626.
28 유인환, 김태환(2006). MINDSTORMS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학습이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컴퓨터교육학회. 9(1), 1-11.
29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 1-14.   DOI
30 윤필현(2008). 역량기반 인적자원관리 (CBHRM)체제의 실무적용에 관한 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31 김보리(2017). 역량기반 SW교육 모델 설계 및 적용.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32 OECD (2005). The Definition and Selection of Key competencies: Executive Summary. Paris: OECD.
33 Griffin, P. (2011). The Assessment and Teaching of 21st Century Skills Project. Education World Forum, 10-12 January 2011, London.
34 최상덕 외(2011). 21세기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의 미래 전략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35 계보경, 김현진, 서희전, 정종원, 이은환(2011). 미래학교 체제 도입을 위한 future school 2030 모델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36 Amabile, T. M. (1988). "A model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0(1), 123-167.
37 Tierney, P., Farmer, S. M., & Graen, G. B.(1999). "An Examination of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ity: The Relevance of Traits and Relationships". Personnel Psychology, 52(3), 591-620.   DOI
38 이현숙, 박세진, 이창묵, 김혜림, 안영은 (2015). KU 핵심역량 진단도구 문항 개발. 서울: 건국대학교.
39 Boden, M. A. (1991). The Creative Mind: Myths and Mechanisms. New York, NY, US: Basic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