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Effect of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to Improve the Convergence Capability of Secondary Mathematics-Science Gifted Students  

Kim, Jihyun (춘천교동초등학교)
Kim, Taeyoung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v.19, no.2, 2016 , pp. 87-9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Our study is composed of Arduino robot assembly, board connecting and collaborative programming learning, and it is to evaluate their effect on improving secondary mathematics-science gifted students' convergence capability. Research results show that interpersonal skills, information-scientific creativity and integrative thinking disposition are improved. Further,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elements of each thinking element, persistence and imagination for solving problems, interest of scientific information, openness, sense of adventure, a logical attitude, communication, productive skepticism and so on are extracted as important factors in convergence learning. Thus, as the result of our study, we know that gifted students conducted various thinking activities in their learning process to solve the problem, and it can be seen that convergence competencies are also improved significantly.
Keywords
Secondary Gifted Student; Physical Computing; Convergence Education; Computational Thinking; Convergence Capabil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Irene L. et. al. (2011). Computational thinking for youth in practice. ACM Inroads, 2(1) , 32-37.
2 김지현.김태영(2015). CT기반 융합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9(1), 69-72.
3 신동희(2014). 창조경제와 융합. 커뮤니케이션북스
4 최재천 외(2014). 창의융합콘서트. 서울:웅진씽크빅(주).
5 백윤수 외(2012).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6 송인섭 외(2011). 한국 영재교육의 방향 모색. 영재와 영재교육, 10(3), 75-95.
7 양인선(2015). 융합형 영재의 역량모델 개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8 Kim, J., & Kim, T.(2015).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student's performance in elementary CT-gifted e-learning education. EDULEARN15 Proceedings, 4517-4524.
9 김정효(2012). 미술과 중심의 융합인재교육 (STEAM)이 미술과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2(8).
10 이석주(2009). 정보영재와 수학영재의 특성 및 통합운영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공주교육대학교.
11 최현종(2013). 계산적 사고 교육을 위한 중학교의 학습요소 추출과 정보 교과서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6(6). 45-54.
12 http://csta.acm.org/Curriculum/sub/Curr-Files/CT-ExamplesTable.pdf
13 Barr, V. & Stephenson, C. (2011). Bringing computational thinking to K-12: What is involved and what is the role of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community?. ACM Inroads, 2(1), 48-54.   DOI
14 채진욱(2011). 아두이노 for 인터랙티브 뮤직. 서울:인사이트.
15 이형득, 문선모(1980). 인간관계훈련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연구. 경상대 연구집, 19호, 195-203.
16 강충열 외(2010). 초등학생 통합적 사고성향 척도의 개발 및 구인타당도 검증. 사고개발, 6(1), 106-124.
17 진영학(2012). 정보과학 창의적 성향 검사 도구 개발.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8 성태제(2013). SPSS/AMOS를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 서울:학지사(주).
19 http://itp.nyu.edu/physcomp
20 한국경제신문특별취재팀(2013). 융합형 인재의 조건. 한국경제신문사.
21 https://en.wikipedia.org/wiki/Physical_computing
22 심규헌.이상욱.서태원(2014). 아두이노를 활용한 STEAM 커리큘럼 설계, 적용 및 효과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4), 23-32.
23 김찬웅(2014). 초등학교 정보과학 연관 교과에 아두이노를 이용한 피지컬 컴퓨팅의 적용방안.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24 오주형 외(2014). 아두이노 기반 실험 교육이 갖는 피지컬 컴퓨팅의 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8(1), 101-104.
25 조준희 외(2014). 온실효과 실험에서 피지컬컴퓨팅 기반 스팀 교육의 효과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8(1), 111-115.
26 사이먼 몽크(2013). 스케치로 시작하는 아두이노 프로그래밍. 경기:제이펍(주).
27 김성필(2015). 따라하다 보면 아두이노 배우기(3판). 서울:복두출판사.
28 송태옥(2015). 소프트웨어교육의 목적과 방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9(2), 23-26.
29 http://www.software.kr
30 김경연 외(2014). 아두이노 완전정복. 서울: 복두출판사
31 Wing, J. M.(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49(3), 33-35.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