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Exploring the Factors Affecting Knowledge Sharing in SNS based Learning Community  

Ko, Eunji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Lee, Jeongmin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v.18, no.5, 2015 , pp. 35-4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redicting the factors affecting knowledge sharing behavior in SNS based learning community. Besides, participative motivation, openness to diversity, and knowledge sharing intention were included as predictors for this study.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 of knowledge sharing intention between participative motivation, openness to diversity and knowledge sharing behavior. 81 people in SNS based learning commun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Baron & Kenny's(1986) mediation analysis. Results from this study, knowledge sharing intention and activity-oriented motivation predicted knowledge sharing behavior. In addition, knowledge sharing intention mediated among activity-oriented motivation, openness to diversity and knowledge sharing behavior.
Keywords
SNS; Learning community; Participative motivation; Openness to diversity; Knowledge sharing intention; Knowledge sharing behavior;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최지은, 이두희 (2013). SNS에서의 지식공유의 동기요인과 결과요인에 관한 연구. 마케팅관리연구. 18(4), 29-44.
2 Jadin, T., Timo, G., & Bernad, B. (2013), Personality Traits and Knowledge Sharing in Online Communiti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9(1), 210-216.   DOI
3 Hendriks, P. H. J.(1999). Why share knowledge? The influence of ICT on the motivation for knowledge sharing. Knowledge and Process Management, 6(2), 91-100.   DOI
4 김나영, 강정은 (2011). 여성 평생교육참가자의 참여 동기, 기관의 지원, 만족도, 학습성과 간의 관계 규명.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12), 958-968.   DOI
5 Houle, C. O. (1961). The inquiring mine: A study of the adult who continues to learn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 in Press.
6 Antonio, A. L., Chang, M. J., Hakuta, K., Kenny, D. A., Levi, S., & Milem, J. F. (2004). Effects of racial diversity on complex thinking in college students. Psychological Science, 15(8), 507-510.   DOI
7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 50, 179-211.   DOI
8 강인애, 임병노, 박정영 (2012). '스마트 러닝'의 개념화와 교수학습전략 탐색: 대학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교육방법연구. 24(2), 283-303.
9 이기형, 이영주 (2012). 넷과 SNS를 통한 감성적 참여와 공유.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엄 및 세미나. 6, 369-397.
10 이종연 (2012). 대학에서 SNS을 활용한 학습 커뮤니케이션 사례연구. 사회과학연구. 25(1), 93-123.
11 문병석, 이건창, 조창현, 강신장 (2007). 온라인 커뮤니티 사이트에 대한 신뢰가 해당 커뮤니티 내에서 이뤄지는 포럼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4(1), 227-250.   DOI
12 Wasko, M. M, and Faraj, S. (2005). Why Should I Share? Examining Knowledge Contribution in Electronic Networks of Practice. MIS Quarterly, 29(1), 1-23.   DOI
13 이문봉, 김은정 (2005).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개인의 참여 동기와 사회적 영향 요인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 정보시스템연구. 14(2), 191-214.
14 Gurin, P., Dey, E. L., Hurtado, S., & Gurin, G. (2002). Diversity and higher education: Theory and impact on educational outcomes. Harvard Educational Review, 72(3), 330-365.   DOI
15 Pascarella. E. T., Edison. M., Nora. A., Hagedorn. L. S., & Terenzini. P. T. (1996). Influences on student's openness to diversity and challenge in the first year of college. Journal of Higher Education, 67(2), 147-195.
16 전선영 (2013). 성인학습자의 학습자특성과 교육기관특성이 평생교육 참여성과에 미치는 영향 : 참여동기 및 학습만족수준의 매개효과.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부산.
17 이효선 (2014). 대학생의 다양성 수용도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협동학습역량과 폐 기학습역량의 매개효과.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서울.
18 김문주, 윤정구(2009). 팀 다양성과 팀 공유 멘탈모형의 상호작용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2, 857-881.
19 박기우 (2001). 조직 내 개인의 지식공유행위에 관한 결정요인 연구: 합리적 행위이론관점.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한국과학기술원 테크노 경영대학원, 대전.
20 현영섭, 조대연 (2009) 학습동아리의 사회적 연결망과 지식공유의 관계: 관계밀도, 집중화, 지식공유간의 비선형 모델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15(3), 180-212.
21 김유경, & 구승회. (2011).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지식공유행동의 영향요인이 지식공유행동과 온라인 커뮤니티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논집. 19(2), 1-19.
22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DOI
23 박창동, 이희수 (2011). 성인학습자의 공식적 CoP 참여동기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17(3), 83-107.
24 김문주, 윤정구 (2009). 팀 다양성과 팀 공유 멘탈모형의 상호작용이 팀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인사조직학회. 2, 857-881.
25 Podsakoff, P. M., & Organ, D. W. (1986). Self-reports in organizational research: Problems and prospects. Journal of management, 12(4), 531-544.   DOI
26 Coates, H. (2006). Student engagement in campus-based and online education. New York: Routledge.
27 김인희, 김현철 (2012). 소셜 러닝 기반 동료 평가가 학습 향상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5(2), 19-28.
28 권명순, 간진숙, 김진환 (2014).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활용 수업에서의 교육적 효과 고찰.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7(6), 135-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