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Effects of PSA programming learning 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ogical thinking ability : In the case of High School Students  

Kim, Hyung-Chul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컴퓨터교육과)
Ko, Young-Min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컴퓨터교육과)
Kim, Hanil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컴퓨터교육과)
Kim, Cheolmin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컴퓨터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v.18, no.5, 2015 , pp. 1-1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recent domestic and international curriculum it is emphasized that students should acquire 'problem solving' competence as a member of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and various programming educational methods of improving problem solving competence have been studied. Bu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programming problems in related research and traditional programming courses. Most methods of solving problems are focused on acquiring specific languages rather than enhancing problem solving ability. In this research, we developed a suitable programming problems and curriculum for fostering problem solving competence and designed and developed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based on PSA(Problem Solving Activities). Furthermore, we obtained meaningful results of improving learner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ogical thinking ability by operating curriculum with developed contents as learning material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reference model or basic teaching materials for developing and operating the programming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r curriculum to enhance problem solving competence.
Keywords
PSA; Programming; Problem solving ability; Logical thinking abil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6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경훈․강오한․김영식․김윤영․서인순․안성진․정순영․최현종 (2012).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증진을 위한 창의적 문제 해결력 기반의 정보 교육 정책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12-7.
2 김경훈․김성백․김성식․김현철․박지현․서인순․안성진․최재혁․최현종․김일환 (2011). 2011 정보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개발. 교육과학기술부 2011년 교육과정 시안개발 수탁과제 답신보고 CRC 2011-9.
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연구 - 증보편. 연구보고 CRC 2013-13.
4 미래창조과학부․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5). 소프트웨어중심사회. http://www.software.kr
5 미래창조과학부 (2015). 미래이야기. http://www.msip.go.kr/webzine/posts.do?postIdx=91
6 교육부 교육과정정책과 (2015). 소프트웨어교육 운영 지침. 교육부.
7 미래창조과학부 (2015). K-ICT 전략. http://www.msip.go.kr
8 교육과학기술부 (2011). 고등학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4].
9 심진숙 (2004). 문제해결학습이론과 그 실제. 석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10 유중현․김종혜 (2008). 문제 해결과정에서의 정보과학적 사고 능력에 대한 개념적 고찰. 정보창의교육논문지, 2(2), 15-24.
11 백영균․우인상(1994). LOGO 프로그래밍 수업 방법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교육공학연구, 9(1), 73-90.
12 이은경․이영준 (2007). 로봇 프로그래밍 학습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0(6), 19-27.
13 백선련․송정범․박정호․이태욱 (2008).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을 위한 놀이 중심 알고리즘 교재 개발 및 적용.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1(1), 85-95.
14 조성환․송정범․김성식․이경화 (2008). CPS에 기반한 스크래치 EPL이 문제해결력과 프로그래밍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2(1), 77-88.
15 송정범․조성환․이태욱 (2008). 메타인지 전략을 활용한 게임 프로그래밍 학습이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교원교육, 24(4), 432-447.
16 허미선 (2009). 정보교육에서의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설계 방안 연구. 석사학위 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17 최서경․김영식 (2012). 앵커드 수업을 통한 알고리즘 학습이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5(3), 1-10.
18 안형진․마대성 (2013). 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초등학교 Scratch 교육과정 개발. 한국정보교육학회 논문지, 17(3), 317-327.
19 신갑천 (2010). 스크래치를 활용한 로봇 프로그래밍 학습이 논리적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 논문,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 채재호․배영권․유인환 (2008). 로봇프로그래밍 학습이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교원교육, 24(2), 361-376.
21 배학진․이은경․이영준 (2009). 문제 중심학습을 적용한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수학습 모형.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2(3), 11-22.
22 권대용 (2013). 텐지블 프로그래밍 도구를 활용한 논리적 사고력기반의 초등 로봇 과제 개발 및 적용.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6(4), 13-21.
23 이미경․손원숙․노언경 (2007). OECD/PISA 평가틀 및 공개 문항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7-25.
24 임시혁 (2011). 통계검증의 실제적 유의성과 검증력 분석의 고찰. 교육논총, 48(1), 267-281.
25 Roadranka, V. & Yeany, R. H, & Russell H. & Padilla, M. J. (1983).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GALT). A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Dallas, Texas.
26 이재분․현주․류덕엽 (2002). 초․중학생의 지적․정의적 발달수준 분석연구(III).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2-4-1.
27 이재분․현주․류덕엽 (2002). 초․중학생의 지적․정의적 발달수준 분석연구(III).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2-4-2.
28 윤일규․김종혜․이원규 (2010). 정보 교과의 문제해결과정에서의 논리적 사고력 구성요소에 대한 조작적 정의.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3(2), 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