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qualitative case study of computer programming and unfolding creative processes: focusing on NetLogo-based computational thinking  

Jun, Young-Cook (순천대학교 컴퓨터교육과)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v.18, no.3, 2015 , pp. 1-1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gifted student's characteristics such as NetLogo programming patterns, attitudes, his/her interest in problems solving. Based on transcripts and coding video frames, we explored the meaningful scenes to come up with thinking patterns, NetLogo programming patterns, attitudes, behaviors on tasks such as drawing regular starlike shapes. This case study contrasts with two other students revealing their unique characteristics both in computational thinking patterns and coding activities. The participant reveals his own ways of finding a clue and elaborating it further for coming up with concise NetLogo coding. This paper provides cross-case discussion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on how to improve gifted education in terms of problem solving in creative ways.
Keywords
Computational thinking; NetLogo programming; Qualitative case stud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수환, 한선관, 김현철 (2010). Computational Literacy 교육에서 프로그래밍 능력과 학습자 특성에 관한 연구 -학습스타일과 다중지능을 중심으로-.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3(2), 15-23.
2 김수환, 한선관, 김현철 (2011). 프로그래밍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보학습자들의 행동 및 사고과정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4(1), 13-21.
3 김진영, 박홍준, 전영국 (2011). PBL 기반의 NetLogo를 이용한 교육용 콘텐츠 저작이 예비중등교사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공학교육연구, 14(4), 29-38.
4 장정숙, 전영국, 윤지현 (2013). 하노이 탑 프로그래밍 경험에서 나타나는 정보과학적 사고 패턴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6(4), 33-45.
5 최숙영 (2011). 21st Century Skills와 Computational Thinking 관점에서의 '정보' 교육과정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14(6), 19-29.
6 이혜주 (1994). 영재와 일반아동의 문제해결 과정 비교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석사 논문.
7 김종훈, 김종진, 정원희 (2005). 프로그램 요소를 이용한 창의성 신장 교재 개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8(5), 17-30.
8 이현석, 이수정 (2009). 초등학생의 프로그래밍 능력과 특기적성간의 관계 분석-로고 언어 활용 사례.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2(3), 23-30.
9 전영국, 김진영, 김정섭, 조인성, 허영현(2006). 머리가 좋아지는 LOGO 프로그래밍. 서울: 교우사.
10 윤지현 (2004). 비디오 분석기법을 이용한 정보과학 영재 학생의 질적 사례 연구.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1 주수희 (2006).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한 정보과학 영재의 질적 사례 연구.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류희찬, 장인옥 (2010). LOGO를 이용한 프로젝트 학습에서 나타난 초등 수학영재 학생들의 전략적 사고.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20(4), 459-476.
13 김미숙, 이재호 (2005). 정보과학 영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선발도구 및 교수학습자료 개발.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2005-52.
14 이은석 (2013). LOGO에서 별다각형 그리기를 활용한 초등수학영재교육 학습 지도 자료 개발.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이점순 (2008). LOGO 프로그램밍 언어가 초등학생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Abelson, H. & diSessa, A. (1988). Turtle Geometry. Cambridge: The MIT Press.
17 Harvey, B. (1985). Computer Science Logo Style: Symbolic Computing. Cambridge: The MIT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