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3rd grade teachers in charge in middle school affecting their students'decision to enter specialized high school - around the Daejon metropolitan area  

Kim, Dasol (Daejeon Samirae Middle School)
Choi, Wonsik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v.45, no.1, 2020 , pp. 84-10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During the period of rapid industrial growth, specialized high schools were important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trained specialists and technicians. But now, specialized high schools turned into high schools where the low-ranking students who were pushed out of the competition for admission due to a decline in the education population, changes mostly in labor demand in the labor market, and discrimination against skilled worker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middle school 3rd grade teachers in charge of the middle school can provide early career guidance, so that they can decide to go to the specialized high school according to their aptitude and talent rather than their grad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 of middle school 3rd grade teachers, and the rate of decision to enter specialized high school. In 2018, The middle school 3rd grade teachers in charge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When 3rd grade teachers in charge are the male teachers 21.01%(M=.2101) of their students go to specialized high schools. When they are teachers who have not graduated from college of education(M=.2110), with doctoral degree(M=0.3064), of their students go to specialized hight schools.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high school teachers (β1 = .245, p = .000) and high school graduates (β2 = .149, p = .027). The regression equation derived from this is y = -0.56 + 0.037 * β1 + 0.025 * β2 10.1% (R2 = 0.101).
Keywords
Specialized high school; teacher in charge; advance decision; career guidanc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선영(1996). 아이덴티티(Identity) 발달수준과 진로미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 권지영(2014). 인문계 고등학교 담임교사 기피요인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3 김우영, 신희경(2005). 우리나라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결정 동기에 관한 연구 : 개인, 가정, 학교의 역할. 직업능력개발연구, 8(2), 47-83.
4 김장현(2014). 중학교 3학년 학생의 고등학교 선택에 대한 인식:D중학교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5 대전광역시교육청(2018). 2018 대전교육통계연보: 대전교육2019-119.
6 박몽진(2004). 공업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변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7 박은혜(2012). 마이스터고와 특성화고 학생들의 직업가치관과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 전기.전자.통신 전공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8 양선주, 김소연, 이규녀(2014). 대전광역시 특성화고 학생들의 인식에 터한 진로 상담 운영실태와 요구조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9(1), 85-101.
9 유금연(2009). 중학교 교사의 특성에 따른 교직헌신의 수준 분석 연구 : 경기도 수원 교육청소속 교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0 이명훈(2015). 특성화고 1학년 학생들의 진로결정과 관련 변인.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5(1), 68-86.
11 이명훈(2016).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로결정과 관련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6(2), 149-166.
12 정재완(2006). 일반계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진로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여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3 조윤신(2003). 중학교 담임교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학생들의 기대와 요구에 관한 조사연구 : 포항 시내 중학교를 대상으로.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4 최병덕(2017). 중학생의 특성화고 진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5 최민지(2011). 중학교 가정과 교사의 가정교과 진로교육 관심 단계와 실행 수준 및 실태 : CBAM 모형에 기초하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6 최은영(2011). 대학생의 진로결정유형 요인 분석.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7 한혜정(2003). 중학교 교사의 자기존중감과 직무만족도가 진로교육 태도 및 지도실태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8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19 Holland, J. L., & Holland, J. E. (1977). Vocational indecision: More evidence and specul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24(5), pp. 404-414.   DOI
20 Walsh, W. B., & Osipow, S. H. (Eds.). (1988). Contemporary topics in vocational psychology. Career decision making. Hillsdale, NJ, U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1 이성도(2002). 청소년 진로의사결정 성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