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effect of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in College liberal arts course : Focusing on Analysis of Students' Perception Change  

Lim, Yun-Jin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v.44, no.1, 2019 , pp. 141-16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necessity of opening a lecture 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by confirming the effect of the lecture 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in the college students. For the study, IP program was developed for the course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supplemented it with expert review. The developed course program was applied to 39 students for 15 week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lecture, the survey was performed. And analysis method for the concept change analysis and the keyword form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the analysis, SPSS 24, UCINET and Netdraw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cture 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positively changed the value, necessity, and percep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to the students. Second, the students of the lecture 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responded that the lecture on the intellectual property should be increased. Third, through the lecture on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students formed basic concept about intellectual property centered on key word. The intellectual property lecture program developed and applied in this study is difficult to apply to all university situations, but it is expected to be referenced i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related lectures and to be derived in various forms.
Keywords
Intellectual Property; Intellectual Property Literacy; Lecture Opening; Teacher College; Change of Percep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교육부(2015).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0].
2 국가법령정보센터[웹사이트]. (2019.1.4.).URL http://law.go.kr/LSW/main.html
3 권혁성(2000). 특허와 공학교육/대학의 산업재산권 교육 현황 및 활성화 방안. 공학교육동향, 7(3), 6-13.
4 김성일(2010). 제조 실습과 발명 교육의 연계를 통한 발명품 제작 사례연구.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0(1), 147-164.
5 김영재(2011). 해외 및 국내대학의 지식재산학부 교육 커리큘럼의 비교. 아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준호, 홍진환(2008). 공과대학원의 지식재산 교육에 관한 국제 비교 연구. 공학교육연구, 11(1), 99-113.
7 김지인(2017). 학습윤리 교육 내용에 대한 연구, 디자인전공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18(6). 133-149.
8 문대영(2016). 교육대학교 실과 심화과정의 기술영역 운영 현황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9(3), 61-76.
9 박경선, 임윤진(2018). 2015 개정 '지식재산일반' 교원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35(3), 339-371.   DOI
10 박양미(2016). IP(Intellectual Property) 디자인전공 대학생의 인지도 분석. 기초조형학연구, 17(1). 195-205.
11 박윤희, 정태화, 변숙영, 박동열, 하홍준(2006). 지식기반사회에서 지식재산권 교육의 활성화 방안 탐색. 직업교육연구, 25(1), 43-70.
12 박윤희, 정태화, 변숙영, 박동열, 하홍준(2006). 지식기반사회에서 지식재산권 교육의 활성화 방안 탐색. 직업교육연구, 25(1), 43-70.
13 박충수(2000). 특허와 공학교육/미국 대학에서의 지적재산권 교육-공과대학과 연관 지어서. 공학교육동향, 7(3), 28-30.
14 배선아(2016). 교대 발명교육이 초등 예비교사의 기술적 사고성향 및 발명 태도에 미치는 영향. 실과교육연구, 22(2), 201-216.
15 백윤수, 이준환, 김은태, 오경주, 박정선, 정지범(2006). 대학 신입생 공학설계과목을 통한 창의성 교육의 성과. 공학교육연구, 9(2), 5-20.
16 이시원(2013). 초등 예비교사의 발명 아이디어 자기 평가 사례 분석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6(4), 217-232.
17 윤명한(2012). 디자인분야의 캡스톤디자인 적용사례 및 성과 고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2), 111-118.   DOI
18 이상현, 이찬주, 이병욱(2015). 중등단계 직업교육에서의 발명.지식재산 교육내용에 대한 담당 교사의 교육요구도 우선 순위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0(2), 155-174.
19 이세진(2010). 실용적인 대학 특허 교육의 필요성. 공학교육동향, 17(4), 34-35.
20 정차호(2010). 지식재산강국 실현을 위한 이공계 대학생 대상 '발명.특허'교육의 확대방안. 과학기술정책, 181, 3-10.
21 조재신, 송요순(2016). IP(지식재산권) 교육 저변확대를 위한 교과운영모델 방안. 한국디지털 콘텐츠학회 논문지, 17(5), 329-338.
22 최유현(2005). 지식재산권 고등교육의 발전 방안: SWOT 분석에 기초하여. 지재권 고등교육 현황과 발전방안. 제24회 지식재산권 연구 포럼 자료.
23 최유현(2016). 예비 기술교사들의 2015 개정 기술 교육과정 내용요소에 대한 중요도 및 수행도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6(1), 56-76.
24 최유현, 김진수, 김성일, 권혁수, 임윤진(2016). 고등학교 지식재산일반 교과목 지도를 위한 예비기술교사 교육과정의 진단과 과제. 한국발명진흥회 연구보고자료 미간행.
25 송현순(2016). 초등 교원양성대학교 실과 심화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실과교육연구, 22(1), 171-187.
26 황재효(2005). 지식기반사회에서의 대학 발명특허교육에 관한 연구. 지적재산권, 8, 23-38.
27 최유현, 임윤진, 이은상, 이동원(2013). 발명체험 교육기부활동이 예비기술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8(2), 156-175.
28 특허청(2018). 제4차 산업혁명 시대를 대비하는 대학의 지식재산 교육 확산 컨퍼런스 개최. 특허청 보도자료. 2018년 5월 11일.
29 한정무(2005). 대학의 연구개발과 특허교육의 활성화. 발명특허, 32(4), 한국발명진흥회. 49-51.
30 Collins, A.M. and Loftus, E.F., (1975). A spreading activation theory of semantic processing. Psychological Review, 82, 407-428.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