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Research on the Job Analysis of the Principal of Vocation High School using DACUM Method  

Hyun, Su (Korea Career Vocationai education Reaserch Insutitute)
Publication Information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v.44, no.1, 2019 , pp. 114-14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a principal's job at a Vocational High School using DACUM Task Analysis Method.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are to set the order after deriving the duties and tasks of the principal., then to verify as the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each task, and also to indicate whether it is an essential capability to have in the early stages of one's duty. Finally, based on the job analysis results, a DACUM chart was developed by the principal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The DACUM Task Analysis Workshop was attended by one DACUM analyst with LEVEL - 1 license, seven DACUM members with more than four years experience, one secretary and two administrative assistants for a two-day perio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Vocational High School Principal is defined as a school administrator who operate the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of in the specialized and customized high schools of industrial demand development and the job area. The analysis derived 11 duties and 95 tasks of the Principal. Second, the importance, difficulties, and frequency of each task were divided respectively into high (A), moderate (B), and low (C), and the consensus of the experts was made to determine whether the core capabilities are acquired early on the job. Thir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 DACUM Task Analysis chart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principals was presented. In addition, while engaged on the job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principal, a list of 49 general knowledge and abilities, 16 tools, Integrated data and fixtures are required. Along with 28 attitudes 33 future pro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principal was presented.
Keywords
Vocational High School; DACUM; Principal at Vocational High School; Job Analysi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교육과학기술부(2008). 한국형마이스터고운영계획(2008.7.8.)
2 교육부(2018).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8-150호(2018.4.19.)
3 교육부(2018). 초.중등교육법 시행령(대통령령 제29203호 일부개정 2018. 10. 02.)
4 교육부(2018). 하이파이브(http://hifive.go.kr) 학교통계 (검색일 2018.10.12.)
5 김동연 외(2013). DACUM법에 의한 마이스터고의 태양전지과 교육과정 개발. 교원교육, 29(3), 237-254.
6 김병찬(2010). 교장의 직무수행과정에 대한 질적 분석 연구. 교육연구, 18(2), 185-222.
7 김이경 외(2005). 교원의 직무수행 실태분석 및 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8 김이경 외(2006). 학교장의 리더십 개선방안연구. 연구보고서 RR2006-14. 한국교육개발원.
9 김종욱, 김지원, 김진수(2016). 특성화고 산학 일체형 도제교육을 위한 금형제작원의 DACUM 직무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1(1), 81-93.
10 김종욱, 김진수(2018). DACUM기법을 활용한 특성화고 산학협력부장의 직무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3(1), 76-93.
11 김주연(2014). DACUM기법을 활용한 피부미용사의 직무분석. 한국미용학회지, 20(4), 607-618.
12 박영순(2011). 교장의 경영능력 평가 준거 개발.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3 김판욱(2005). DACUM 핸드북. 충남대학교 공업교육연구소.
14 남상현(1998). 중등학교장의 관리행태 분석.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5 남호정(2007). 학교행정가의 직무수행능력 증진의 관점에서 본 교장 자격연수에 대한 인식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6 박영호(2011). 학교장의 리더십 역량모델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7 박종흡, 성호진, 신동원(2005). 고등학교 교장의 직무수행에 관한 분석. 창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人文論叢, 12, 63-87.
18 신상명(1999). 교장의 학교경영능력: 초등학교 사례 비교연구. 한국교육, 26(2), 307-335.
19 손경수 외(2005). 교원연수 체제 개선 후속 조치 정책 연구 : 교원 자격연수 표준 교육과정 개발. 교육인적자원부.
20 신동원(2006). 교장의 직무수행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신상명(2007). 학교변화에 따른 교장의 역할변화와 임용방식. 학교경영, 20(11), 14-17
22 심재호(2003). 중등학교 컴퓨터 교사의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3 양일모(2011). DACUM기법의 직무분석을 이용한 심리행동적응지도사의 직무규명.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24 윤동열, 조세형, 배을규(2011). 국내직무분석 연구에서 DACUM 활용현황과 비판. 교육문화연구, 17(3), 87-115.   DOI
25 이창훈 외(2015). DACUM기법을 활용한 기계금속교사의 직무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40(2), 130-154   DOI
26 장수용 (2010). 직무분석활용기법. 서울: SBC전략기업컨설팅.
27 정광호(1998). 학교장의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 : 중학교 교장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8 정수현(2010). 초등학교장의 직무수행실태에 관한 질적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9 정태범(2000). 학교경영론. 서울: 교육과학사.
30 정일화(2007). 교장의 직무표준개발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31 조대연 외(2010). 학교장의 직무 역량에 대한 요구분석. 서울특별시교육정보연구원.
32 현수, 김진수(2013).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장의 직무수행에 관한 교장의 인식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6(2), 27-47.
33 조정임(2000). 학교장 직무의 변천 과정에 관한 연구 : 교육 법제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34 황금숙 외(2008). 직무분석을 통한 공공도서관 사서직무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9(2), 407-427
35 허원회, 신광철(2018). 4차 산업혁명과 융합 교육의 방향 연구.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 논문지, 8(12), 63-70.
36 하상근, 김용욱(2009). 특수학교장의 직무수행능력 기준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10(1), 275-299.
37 한흥진(2003). DACUM Method를 활용한 상업교사연구프로그램개발. 상업교육연구, 6, 49-81.
38 Blanding, W.(1991). Customer service operations: The complete guide. New York: Amacom.
39 Gibb, S.(2008).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cess, practices and perspectives (2nd ed.). New York: Palgrave Macmillan.
40 Jones, J. J., &Walters, D. L. (1994). Human resource management in education. Lancaster, PA: Technomic Publishing Co.
41 King, S. L. (1999). The DACUM Process and its usefulness in Task analysis for Instructional Developers. (Published to the World Wide Web: http://www.2.mtroyal.ca/-sking).
42 Norton, R. E. (1997). DACUM Handbook, Columbus: Center on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ment, College of Education. The Ohio State University.
43 Norton, R. E., & Moser, J. (2008) DACUM Handbook(3rd ed.). Columbus, OH: Center on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ment, The Ohio State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