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Perception of Academic Difficul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echnology subject and their Influences Variables.  

Lim, Yun-Jin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Yang, Hyeon-Won (Yeo-su Gubong Middle school)
Publication Information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v.42, no.2, 2017 , pp. 89-10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academic difficul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influences variables in technology subjec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whole country. A total of 420 students were selected considering the grade and area for the survey. The data were collected by mail and analyzed using SPSS 22.0K.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academic difficultie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technology subject were recognized as normal. Second,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it as a lack of experience (opportunity) in the technology domain as a cause of academic difficulties. Third, In the learning process, the female students were more difficult to understand the related terms and theories than the male students. In the problem solving activities, the female students were more difficult than the male students in identifying problems, designing solutions, selecting solutions, modeling, testing solutions, and correcting improvements. Fourth, the academic difficulty in learning technology lesson was difficult in terms of terminology, theory, and practice activities in the order of Second, Third, and 1st grade. Fifth, lack of understanding knowledge, confusion of contents knowledge, lack of technical interest, shortage of class hours, lack of understanding of evaluation criteria were all influenced by the difficulty of technical subject learning. Sixth, the academic difficulty influencing the problem solving process was explained by understanding comprehension, content knowledge confusion, technical interest, class time, understanding of evaluation criteria.
Keywords
Middle School Student; Technology Subject; Learning; Problem Solving; Academic difficulty; Reas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지선(2015). 물리학습에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에 대한 메타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교육과학기술부(2011).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저자.
3 권혁수, 모주순(2014). 중등학교 기술 수업과 기술 교사에 대한 대학 신입생의 인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9(2), 37-57.
4 금은정(2010). 중학생들의 기술교과 실습에 대한 인식이 기술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기열(2016). 중학생의 성격유형에 따른 기술적 사고성향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8(2), 135-152.
6 김미현(2006). 부산 지역 중학교 2학년 학생의 기술교과에 대한 흥미 파악.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설란(2005). 중학교 기술․ 가정 교과 내용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조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영주(2012). 과학실험수업 중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이 겪는 모둠학습에서의 어려움 분석.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영찬(2003).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기술.가정 교과에 대한 중학생들의 태도 연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인경(1991). 남.녀 중학생의 기술.가정 통합교과 내용에 관한 인식도 차이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창일, 이춘분(2008). 학생들이 증명학습에서 겪는 어려움. 한국수학사학회지, 21(3). 143-156.
12 김혜원(2008). 중학교 기술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경향과 개선방향.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남승권(2013).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의 기술적 사고성향 비교 연구. 실과교육연구, 19(1), 229-248.
14 문승태, 박행모(2007). 기술.가정 교과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0(2), 155-176.
15 박상미(2007). 중학생의 기술.가정 교과의 학습에 대한 인식.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박상준(2008). 실과(기술,가정) 교과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배선아(2011). 기술기반 STEAM 교육이 중학생의 기술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6(2), 47-64.
18 서지현(2005). 기하 증명의 학습에서 중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에 관하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송일민, 최유현(2001). 중학생들의 기술 수업에 대한 인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 98-110.
20 송지선(2006). 중학생의 기술.가정 통합교과 운영에 관한 인식.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신부용(2002). 중.고등학생의 제7차 기술.가정 교과 내용에 대한 인식.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기영, 이용진, 이상혁(2010). 중학교 기술.가정과 '기계의 이해'단원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도와 만족도. 실과교육연구, 16(3), 35-56.
23 윤미선, 김성일(2003).중, 고생의 교과 흥미 구성요인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교육심리학회지, 17(3), 271-290.
24 윤욱상(2009). 기술.가정 교과 수행평가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비교.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윤현실(2003). 경상남도 중학생의 기술.가정 교과서의 단원별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명훈(2006). 기술과 교사의 직무수행과 관련 변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이명훈(2012). 한국과 일본 중학생의 기술수업에 대한 인식 비교.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1), 1-26.
28 이명훈(2015a). 중학생의 '기술'과 '기술교과'에 대한 인식. 실과교육연구, 21(2), 133-150.
29 이명훈(2015b). 2009 개정 기술.가정 교과의 '제조 기술과 자동화' 단원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5(3), 73-90.
30 이명훈, 김진수(2008). 기술.가정 교과의 '전기.전자 기술' 단원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실과교육연구, 14(1), 183-204.
31 이은상(2015a). 중학생의 기술.가정 교과 '문제 해결과 발명' 단원에 대한 인식. 수산해양교육연구, 27(5), 1424-1435.   DOI
32 이은상(2015b). 중학생의 발명 경험과 기술 학습 동기 및 기술적 사고 성향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연구, 15(10), 495-516.
33 이은상(2015c). 중학생의 기술 경험과 기술 교과 흥미가 공학 진로 지향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5), 51-68.
34 임준홍, 이봉우(2015). 고등학교 학생들의 전자기학 문제 풀이 과정에서 겪는 과정 지식 관련 어려움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7(4), 1061-1080.
35 정승민(2009). 대구광역시 남녀 중학생의 기술.가정 교과 '기계의 이해' 단원에 대한 인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최정태, 우상호, 김진수(2006).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의 기술 영역 실습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실과교육연구, 12(1), 155-178.
37 최용숙(2015). 중학생의 영어 문법 학습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최유현(2005). 기술교과 교육학 개념 구조의 이론적 탐색. 직업교육연구, 24(1), 45-60.
39 최재건(2013).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기술.가정 교과서 분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