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Plan for Creating a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Environment  

Kang, Kyoung-Kyoon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Publication Information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v.42, no.2, 2017 , pp. 67-88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educational needs of experts for revitalizing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creating effective conditions for such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chosen 100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entrepreneurship-related professional training for teachers were selected and surveyed. A total of 10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of which 92 (92.00%) were used for the analysis. Eight were excluded as they were not properly answered. As for the used survey tool, a total of 8 areas and 30 items were derived from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was examined through expert meeting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ver. 20.0) statistical program.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terms of the required competency level, perceived competency level and educational needs. As for the used analytical methods, first, the averages of the required competency level and perceived competency level were calculated and the education needs were calculated using Borich's formula, and then the averages were compared through paired t-test. The results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 The detail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calculation of the educational needs the educational needs in all areas turned out to be very high with the average being 4.94 points, which indicates that the teachers strongly feel the need for educational strengthening in relation to entrepreneurship. These results show that all the educational conditions such as entrepreneurship-related curriculum, teacher professionalism, educational environment, educational support and the perception among school community members are insufficient in the current school setting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status, the education conditions in the following areas should be improved: the cooperation from school community members including principals, teacher support such as an exclusive responsibility teacher system, the development of an entrepreneurship curriculum, the securing of teacher professionalism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teacher training support for the enhancement of their professionalism and the provis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ies. For enhancing the perception of parents and society regarding entrepreneurship,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precise concept of entrepreneurship and promote it based on such work.
Keywords
Entrepreneurship Educati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Environment;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Youth;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경균(2017a).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모형 개발. 창의력교육연구, 17(2). 17-36.
2 곽영순 외(2013). 교사의 학교 수준 교육과정 편성.운영 역량 강화 방안.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 교육과학기술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Wi-Fi 창업과 진로(일반고 교사용).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과학기술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Wi-Fi 창업과 진로(중학교 교사용).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5 교육과학기술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12). Wi-Fi 창업과 진로(특성화고 교사용).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6 교육부(2015).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6] 도덕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7 교육부(2015).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7] 사회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8 교육부(2015).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0]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9 교육부(2015).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9] 고등학교 교양 교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10 교육부(2015).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25] 경영 . 금융 전문 교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11 교육부(2015).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26] 보건 . 복지 전문 교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12 강경균(2017b).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과정 틀(Framework) 개발. 직업교육연구, 36(4). 79-102.
13 교육부(2015).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27] 디자인 . 문화 콘텐츠 전문 교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14 교육부(2015).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28] 미용.관.광.레저 교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15 교육부(2015).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29] 음식 조리 교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16 교육부(2015).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30] 건설 교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17 교육부(2015).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31] 기계 교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18 교육부(2015).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32] 재료 교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19 교육부(2015).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34] 섬유.의류 교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20 교육부(2015).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35] 전기.전자 교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21 교육부(2015).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36] 정보.통신 교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22 교육부(2015).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37] 식품 가공 교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23 교육부(2015).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38] 인쇄.출판.공예 교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24 교육부(2015).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39] 환경.안전 교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25 교육부(2015).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40] 농림.수산 해양 교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26 교육부(2015).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41] 선박 운항 교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27 김수동, 박순경, 유승연(2001). 고등학교 교육과정.평가에 대한 교원 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8 교육부(2015).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33] 화학 공업 교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29 김진수, 김익성, 박수홍, 양영석, 이현숙, 황선하(2008). 창업교육을 통한 기업가정신 함양 방안. 대전: 중소기업청, 한국창업보육협회.
30 김현진, 김진수, 최성욱, 박영민, 이광호, 이혁규(2010). 예비교사의 수업능력 개발을 위한 교육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1 박성희(2004). 질적 연구방법의 이해. 서울: 원미사.
32 이광우 외(2011).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한 중등학교 교육 개선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3 박은아 외(2014). 요구분석 결과에 따른 성취평가제 교사 역량 강화 지원 방안.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4 박종규(2014). 해외 기업가정신 교육현황 및 극복과제. The HRD review. 세종: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5 오해섭, 맹영임(2014). 청소년 기업가정신 함양 및 창업활성화 방안 연구 I (연구보고 14-R1). 세종: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36 홍영기(2011). 교육과정 재구성 및 개발과정에서의 근거이론 접근. 통합교육과정연구, 5(2). 1-18.
37 European Commission(2006).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Europe: Fostering Entrepreneurial Mindsets through Education and Learning. Final Proceedings: European Commission.
38 Borich, G. D.(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3), 39-42.   DOI
39 Peter, F. D.(1985). 이재규 역(2013). 기업가정신. 서울: 한국경제신문 한경 BP. [원저: Innovation and entrepreneur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