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Development of Teacher-training for Improvement of Teaching Efficacy of Technology Teacher  

Lee, Myung-Hu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v.37, no.2, 2012 , pp. 21-55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eacher-training for improvement of teaching efficacy of technology teacher. The study was carried out through Delphi research method. It was executed for investigating the professional and wide-range opinions of expert panel to examine the validity. The validity was confirmed by concurrence ratio, convergence ratio, contents validity ratio (CVR).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ecessity, nature, purpose of teacher-training for improvement of teaching efficacy of technology teacher was set up. And this teacher-training have 12 objectives in 3 domains (cognitive, affective, psychomotor). Second, contents of this teacher-training were designed to be applicable for 10 modules (300 hours). For example, module1 (introduction of technology education), module2 (construction technology), module3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etc. Third, educational method, training educator, evaluation method of this teacher-training were developed. Fourth, each module of this teacher-training is 30 hours in length. And summer or winter vacation is appropriate for this teacher-training time. Appropriate teacher-training time is six hours a day. Fifth, roles of educational institution for this teacher-training were suggested. Sixth, strategies to vitalize this teacher-training were suggested.
Keywords
Technology Teacher; Teaching Efficacy; Teacher-train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강은구(2000). 현장적용사례 중심의 과학연수 프로그램을 통한 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 변화 조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재식(2010). 2009 개정 기술.가정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핵심쟁점과 대안 탐색에 대한 의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 교육과학기술부(2007). 2008년도 교원연수 운영 기본계획. 저자.
4 교육과학기술부.(2011). 중학교 교육과정. 저자.
5 교육법전편찬회(2012). 교육법전. 교학사.
6 교육인적자원부.(1997).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 (III). 저자.
7 서순자(2010). 중학교 교사의 직무연수에 대한 인식 해석.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왕수용(2005). 영어연수 프로그램에 따른 초등영어교사의 교사효능감 분석.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이강희(2008). 직무연수에 관한 중학교 교사의 인식도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명훈(2006). 기술교사의 직무수행과 관련 변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이명훈(2007). 실과 '우리생활과 전기 . 전자' 단원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 및 중요성 인식. 실과교육연구, 13(3), 189-210.
12 이병욱.(2002). 공업계 고둥학교 학교수준의 교육과정 평가준거 개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이윤아(2006). 초등과학 실험연수가 과학교수 효능감 및 과학교수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이윤조(2009). 학교 환경교육 프로그램 평가 준거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이종성(2001). 델파이 방법. 교육과학사.
16 이준호(2010). 부산광역시 중학교 기술 담당 교사의 현직 교사 교육 실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진희(2011). 영아 보육교사 현직연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이한규(2006) 기술적 문제해결력 평가틀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이한규, 이용환(2006). 중학교 기술 교사들의 개인적 특성과 기술 교수효능감 관계 분석, 직업교육연구, 25(3), 39-61.
20 진혜경(2000). 학교복지의 교사 연계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교사효능감 강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부설 교육연수원(2012). 2012년도 중등교원 1.2정 자격연수(기술). 저자.
22 허회숙(2008). 중등교사의 연수에 대한 지각과 연수 효과 분석: 사회적 지원, 교사효능감, 직무성취도와 만족도률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24 Delbecq, A. L., Van den Ven, A. H. & Gustafson, D. H. (1975). Group Techniques for Planning. A Guide to Nominal Group and Delphi Processes. Glenview, Illinois. Scott, Foresman and Company.
25 Gibson, S. & Dembo, M. H. (1984). Teacher efficacy: A decade of research. Educational Leadership, 38, 7-30.
26 Gibson, S. & Dembo, M. H. (1985).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 important factor in school improvement.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86(2), 173-184.   DOI
27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DOI
28 Murray, J. W. & Hammons, J. O. (1995). Delphi : A versatile methodology for conducting qualitative research. The Review of Higher Education, 18(4), 423-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