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Effect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Method of the Multimedia Materials for 'Transportation Technology' Unit of Technology.Home Economics Subject  

Kim, Seong-Il (Technology Education Dept. of Seha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v.37, no.2, 2012 , pp. 147-16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ation method of the multimedia materials for 'transportation technology' units of technology home economics subject. The subjects were assigned in third conditions; Text type explanation class, multimedia class and multimedia video class with narration. The data of six evaluation questions obtained from the survey of 93 high school girl were analyzed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in the learning satisfaction average level(M) of the students' overall responses to the questions, multimedia teaching learning class(experimental group 1) is the first(M=4.14), multimedia video class with narration(experimental group 2) is the second(M=3.16), and instructor-led class(control group) is the third (M=2.63). Therefore, the teaching learning multimedia class(experimental group 1) was most effective. Second, looking a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tudents' responses to the questions, in an interesting class, the students have a retentive memory and comprehension, but a lower concentration can not a retentive memory. Third, multimedia teaching learning class(experimental group 1) has the best degree at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but instructor-led class(control group) and multimedia video class with narration(experimental group 2) have similar degree in the second place. To increase academic achievement, an instructor-led class is important to arouse interest and a multimedia video class with narration is required ways to improve level of concentration.
Keywords
instructor-led class; multimedia class; multimedia video with narration class;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satisfac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교육과학기술부(2007).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2 교육과학기술부(2011).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10]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3 김미영, 안광식, 최완식(2005). 블렌디드 학습, 온라인 학습, 오프라인 학습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 비교.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0(1), 106-199.
4 김미영 최완식(2004). 중학교 온라인 수업에서 자료 제시 유형이 온라인 학습 흥미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공업교육학회지, 29(2), 66-76.
5 김성일(2011). 기술.가정 교과 '제조 기술' 단원의 멀티미디어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평가. 실과교육연구, 17(2), 63-78.
6 노영란, 최민성, 박준희(2007). 도덕과 교수 . 학습을 위한 멀티미디어 자료의 개발, 선정 및 활용방안 연구. 초등도덕교육, 24, 123-156.
7 류군, 김태훈(2012). 기술교과 설계 학습 활동에서 팀 기반 학습이 학업 성취도와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중국 고등학교 1학년 통용기술교과를 중심으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1), 92-109.
8 문대영(2003). 기술과의 멀티미디어 교육자료 평가 -중학교 l학년 제도의 기초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3(2), 83-92.
9 박재택, 이상혁(2007), 부산광역시 공업계고등학교 공동실습소에서 혼합형 학습을 위한 컨텐츠의 개발 및 적용.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2(1), 93-116.
10 오동규(2012). 전원학교 교수학습지원시스템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7(1), 83-204.
11 이명자, 황진석(2007). 멀티미디어 학습 자료의 제시 방법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연구, 21(2), 367-384.
12 이명진, 김성일(2003). 학습재료의 유형과 제시 양식 및 목표 지향성이 흥미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17(4), 391-406.
13 이정학(2007). 개인 이용자 제작 콘텐츠에 대한 고찰. 서강대언론대학원.
14 이진우(2002). 멀티미디어 교육자료를 활용한 축구공 만들기 수업. 학국교육학술정보원 편 연구자료 RM2003-25 에듀넷 컨텐츠 활용 우수 사례집 -ICT 활용수업 이렇게 준비하세요-, 22-39.
15 태영애, 이상혁(2004).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기계의 이해' 단원에서 멀티미디어 교육자료를 적용한 수업 효과. 한국기술교육학회지, 4(2), 2-16.
16 Nunnally, J. C.(1978). Psychometric Theory(2nd ed). N. Y.: McGraw Hill, 225-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