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Theoretical Approach to Explore the Conceptual Structure of the Study of Industrial Education  

Ryu, Byung-Ro (Seoul Robotics High-school)
Publication Information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v.34, no.2, 2009 , pp. 20-4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conceptual Structure of the study of industrial education based on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education. Therefore,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1) The characteristic of industrial education in the study was proposed as 'subject for occupational competence in the industrial technology' on the educational purpose. 2) The characteristic of industrial education in the study was proposed as 'subject for practical knowledge in the industrial/engineering technology' on the structure of knowledge. 3) The characteristic of industrial education in the study as was proposed as 'subject for technological problem solving in the system design and engineering context' on the educational methodology 4) The characteristic of industrial education in the study was proposed as 'design, building, testing and troubleshooting' on the educational process.
Keywords
the study of industrial education; industrial educ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권재술 외(1994). 중학교 과학과교육학의 학문적 체제와 교원양성대학의 교수요목 개발 연구, 교과교육학의 학문적 체제와 교수요목 개발 연구, 한국교육대학교부설 교과교육공동연구소
2 정진철(2008). 직업교육학의 학문분류체계 개발. 직업교육연구, 27(2)
3 박순경(1997). 기술교과학연구. 한국교육개발원
4 이재강(2004). 실업교육의 혁신 방향. 산업인력 양성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실업교육방안. 2004년도 직업교육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자료
5 이재원(1981). 공업고등학교의 새로운 교육목표. 공업고등학교 교육과정의 개선방안과 교육목표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6 진영은, 조인진(2004). 교과교육의 이해. 학지사
7 진태석, 이장명(2006). 대학의 로봇공학 인력양성 교육과 발전방향. 로봇과 인간. 한국로봇공학회지, 3(2), 16~21   ScienceOn
8 최규남, 이용순(2003). 생산체제 변화에 따른 공업 고등학교 교육의 발전방향. 대한공업교육학회지, 28(1), 45~59
9 林 和夫(1995). 하이테크 시대의 기능교육. 김영종, 김정식, 노태천 공역 (2004). 도서출판 인터비전
10 Martha, N. Cyr. (2002). Teacher Guide for ROBOLAB Software. The LEGO Group(주)알코
11 이병욱(2005). 직업교육체제 혁신방안 및 교육과정 개정 논의와 연계한 실업계 고교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일고. 직업교육연구, 24(2), 133~158
12 Petroski, P. (1985). To Engineer Is Human. 최용준 옮김(1997). 인간과 공학 이야기.지호출판사
13 남장근(1999). 엔지니어링 산업의 지식경쟁력 강화 방안. 산업연구원
14 류창열(1997). 공업․기술교육 원론. 교육과학사
15 Pond, R. J.(1993). Introduction to Engineering Technology.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6 이상봉(2001). 지식기반 사회에 대처하는 기교육의 과제와 개선 방향,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 15~29
17 민병원(2005). 복잡계로 풀어쓰는 국제정치. 삼성경제연구소
18 정철영(2001).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직업교육의 방향, 직업교육연구, 20(1)
19 노태천(1998). 정보화사화에 대비한 공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성격과 목표의 구성 방향. 공업교육연구소 논문집, 21(1)
20 옥준필 외(2006). 실업계고등학교 계열별 교육과정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1 Banios, E. W. (1992). "An Engineering Practice Course", IEEE Trans. on Edu., 35(4), pp.286~293   DOI   ScienceOn
22 박순경성창섭 외(1994). 엔지니어링 기술수준 평가 및 기술경쟁력 강화방안. 과학기술처
23 김판욱, 김기수, 이창훈(2005). 한국의 공업기술계열 교사 교육의 문제점과 대안 탐색,직업교육연구, 24(1), 1~21
24 毛利亮太郞(1982). 『技術敎育學槪論』. 風間書房
25 김장호(2004). 인적자원 개발의 새로운 패러다임. 직업능력개발연구, 6(2), 95~123,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6 윤조덕 외(2006). 국가경쟁력 제고를 위한 기능장려사업의 활성화 방안. 한국노동연구원
27 김경배, 김재건, 이홍숙(2001). 교과교육론. 학지사
28 정태범(1985). 교과교육학의 개념적 모형, 교원교육, 1(1), 한국교원대학교 연구원
29 황혜정 외(2007). 수학교육학 신론. 문음사
30 김진수 외(2006). 중등교사임용시험 전기‧전자‧통신 과목의 출제방안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 연구보고서, 2005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지원과제   ScienceOn
31 김정운(2007). 거꾸로 본 창조경영. 조선일보 2007. 12. 8일자
32 최준섭 외(2006). 중등임용시험 기계‧금속 과목의 출제방안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1(2), 111~127   ScienceOn
33 차균현(1984). 전자과 졸업생의 취업현황과 대책. 대한전자공학회지, 12(1), 62-72   과학기술학회마을
34 Gander, R. E., Salt, J. E., Huff, G. J. (1994). "An Electrical Engineering Design Course Sequence Using a Top-Down Design Methodology, IEEE Trans. on Edu., 37(1), pp.30~35   DOI   ScienceOn
35 신명훈 외(2002). 엔지니어링 전문분야별 업무범위와 기술인력의 자격종목 및 전공학과 인정범위에 대한 개선방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6 김판욱 외(2006). 중등교사임용시험 건설 과목의 출제방안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 연구보고서, 2005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지원과제   ScienceOn
37 최유현(2005a). 기술교과 교육학 개념 구조의 이론적 탐색. 직업교육연구, 24(1), 45~60
38 류창열(2004). 공업교육 원론. 교육과학사
39 Ferguson, E. S. (1992). Engineering and Mind's Eye. The MIT Press. 박광덕 옮김(1998). 인간을 생각하는 엔지니어링. 한울과학문고
40 Random House, Inc. (1987). The Random Hous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age, 2nd ed. Unabriadged
41 한국미술교과교육학회 연구팀(2005). 현대 디자인 프로세스에 기초한 초등 디자인 수업 방법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연구원
42 김형만 외(2000).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산업체 수요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3 이돈희(1998). 교과교육학의 성격과 과제, 교과교육학 탐구, 교육과학사
44 ______(2005b). 기술교과교육학, 형설출판사
45 Lewis, Elmer E. (2004). Masterworks of Technology. 김은영 옮김(2006). 테크놀로지의 걸작들. 생각의 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