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8108/jeer.2021.24.6.50

A Case Study on the Online Classes for Engineering·Humanities Convergence subjects  

Lee, Chaelee (Center for Creative Convergence Education, Hanyang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v.24, no.6, 2021 , pp. 50-5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case of online classes in engineering·humanities convergence subject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effective online convergence classes by describing in detail how to design and operate online classes, and analyzing the effects and limitations of online classes. Such study will serve as a model for online classes needed in the new normal era, which is facing a turning point in education.
Keywords
Online engineering.humanities convergence education; Online education method; The effects and limitations of online classes; Online debate class; Zoom; LMS; Covid-19;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이현옥(2020). 공과대학 학생을 위한 과학기술관련 사회.윤리 쟁점기반 수업이 인성과 가치관에 미치는 효과 탐색. 공학교육연구, 23(3), 3-12.   DOI
2 황희선(2021). 대학 교양강의에서의 비대면 토론 방안 연구 : 자기 성찰 노트를 분석 대상으로. 교양학연구, 15(4), 115-135.
3 Fillion, G., Limayem, M. & Bouchard, L.(1999). Videoconferencing in distance education: A study of student perceptions in the lecture context. Innovations in education and training international, 36(4), 302-319.   DOI
4 최현실(2021). 코로나-19로 인한 대학 신입생의 비대면 수업경험에 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5(1), 273-286.
5 Swan, K., & Richardson, C.(2017). Social presence and the community of inquiry framework. In A. L. Whiteside, A. G. Dikkers & K. Swan (eds.), Social presence in online learning: Multiple perspectives on practice and research, 64-76.
6 강소연(2021). 2020년 1학기 공과대학 교수와 학생의 온라인 수업에 관한 인식 연구. 공학교육연구, 24(2), 20-28.   DOI
7 경기도교육청(2021.6.3). 2020경기도 학생 인권 실태조사. https://www.goe.go.kr/home/bbs/bbsDetail.do?menuId=100000000000059&bbsMasterId=BBSMSTR_000000000163&menuInit=2,2,0,0,0&bbsId=1011317.
8 김환석(2010). 과학과 인문학을 잇는 공학교육. 공학교육, 17(2), 19-21.
9 손혜숙.진설아(2021).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 교육 탐색 : 블렌디드 수업의 가능성 연구. 문화와 융합, 43(2), 15-34.
10 우현주(2020). 온라인 대면과 LMS 비대면 인문학 토론의 수업 방식 및 학습자 인식 연구 - K대학교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 19(3), 191-217.
11 윤옥한(2020). 코로나 19 이후 교양 교육 방향 탐색. 교양교육연구, 14(4), 25-34.
12 이난(2021). 코로나 시대의 온라인 수업과 온라인 피드백을 활요한 대학의 교양강좌 운영에 관한 연구. 교양교육연구, 15(1), 259-272.
13 최욱(2017). 교실 및 온라인 토론수업을 위한 준비 교수체제(Preparatory Instructional System) 설계모형 개발. 교육방법연구, 29(4), 677-705.   DOI
14 Ascough, R. S.(2002). Designing for online distance education: Putting pedagogy before technology. Teaching theology & religion, 5(1), 17-29.   DOI
15 Wittgenstein, L.(1978).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G.E.M. Anscombe, Trans.). Oxford : Basil Blackwell.
16 Brookfield, S. D. & Preskill, S.(2005). Discussion as a way of teaching: Tools and techniques for classrooms. San Francisco, CA: Wi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