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8108/jeer.2021.24.4.30

Exploring the Applicability from Extracurricular Design to Basic Engineering Design in Online : Focusing on the Case of IoT Extra-Curricular in Online  

Hwang, Yunja (Center for Innovative Engineering Education, Dankook University)
Huh, Ji-suk (Innovation Center for Engineering Education, Ajou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v.24, no.4, 2021 , pp. 30-4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the IoT program in online, and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he design course in consideration of design elements and realistic constraints for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in online. For this study, IoT programs developed based on online classes were operated, and the effectiveness as a subject was verified through satisfaction surveys, competency test, and interview of participating students. In addition, by presenting design elements and realistic constraints in a online environment required to apply to engineering design courses, it is expected that they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developing and operating actual design curriculum.
Keywords
Online; Non-face-to-face; Basic engineering courses;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Extra-curricula; Curriculum; Design component; Design realistic constrain; Engineering education accredit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공학교육혁신연구정보센터(2020). Post-코로나 시대, 온라인 교육현황 및 대응방안: 해외 주요국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Issue Brief 2020. 인천: 인하대학교.
2 조형희.강소연(2021) 4차 산업혁명시대의 공학교육과 국내 비대면 공학교육 현황. 제64회 공학교육인증포럼 자료집.
3 위은하(2021). 비대면 온라인 교수-학습 환경에서의 실습 수업 운영 사례 연구: 중등예비교사를 위한 「생활공예」 수업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7), 586-601.
4 장원형.최민지.홍훈기(2020) 고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대유행에 따른 대학교 비대면 실험수업 운영에 관한 사례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7), 937-966.
5 강명희 외(2010). 온라인 토론 학습에서 인식된 튜터의 역할, 사회적 실재감, 학습결과 간의 관계 규명. 평생교육.HRD 연구, 6(4), 159-183.
6 권영미(2021). 비대면 설계 강의 운영방안 및 온라인 콘텐츠 제작을 위한 방안 제시. 공학설계워크숍 자료집. 서울: 한국공학교육인증원.
7 김상진(2015). 컴퓨터공학 분야 설계교육 방법론. 공학교육연구, 18.(4), 66-75.
8 김은경(2020). 비대면 수업에서 공학 팀 프로젝트 수행 사례. 실천공학교육논문지, 12(2), 255-264.   DOI
9 김주현.이은용.이주민(2012). 온라인 교육에서의 팀 프로젝트 운영 사례 연구: K사이버대학을 중심으로. 사이버사회문화, 3(1), 117-144.
10 김인숙.강태욱.최정우(2011). 공학 기초설계 교과목에서 교수-학습 방법에 따른 수업 결과 분석. 공학교육연구, 14(5), 3-9.
11 김학진.송오성(2015). 공학교육 인증프로그램 재학생과 비인증 프로그램 재학생의 OECD 고등교육 학습성과평가 결과 비교 분석. 공학교육연구, 18(5), 51-58.
12 배현덕(2011). 공학교육인증 설계교과목에 관한 소고. 공학교육, 18(6), 30-33.
13 성상만(2020). 가상훈련 콘텐츠 개발 및 운영을 통한 공학교육. 2020 Report 2020 인재양성위원회 보고서. 서울: 한국공학한림원.
14 유경현(2011). 공학설계입문 운영사례를 통한 설계과제 평가기준 탐색. 공학교육연구, 14(6), 31-40.   DOI
15 이쌍철.김정아(2018). 학생의 온라인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6(2), 115-138.
16 이지영.최원호(2015). 사범대학 화학교육 전공 1학년 대학생들의 일반화학 실험 보고서에 나타난 논증 구조 분석. 현장과학교육, 9(2), 122-129.   DOI
17 정은경.정지연(2019). 360° 가상현실 동영상과 일반 동영상 교육 콘텐츠의 경험인식 비교 분석. 한국응급구조학회지, 23(3), 145-154.   DOI
18 정재원.허정은.박효원(2021). 코로나19로 인한 공과대학 교수자의 온라인 수업 경험 탐색. 공학교육연구, 23(6), 60-67.   DOI
19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21). 2021년 적용 KEC2015 판정가이드. URL: http://abeek.or.kr/intro/stendard.
20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EDISON MOOC. URL: https://www.kisti.re.kr/.
21 한국기술대학교(2020). 혼합훈련 과정 개발 및 운영 가이드. URL: https://e-koreatech.step.or.kr.
22 한형종.임철일(2020). 가상현실 기반 교육용 시뮬레이션 설계원리 개발. 교육공학연구, 36(2), 221-264.
23 KBS(2020. 4. 13). 원격강의 무기한 연장 ... 실습, 수업 내실은? URL: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424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