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8108/jeer.2021.24.2.41

Analysis of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the Operation of Engineering Communication Courses  

Han, Jiyoung (College of Liberal Arts, Anyang University)
Kong, Myungsook (College of IT Convergence, Gacho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v.24, no.2, 2021 , pp. 41-5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ploring ways to more effectively manage related courses by check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operation of engineering liberal arts courses operated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s of engineering students by detailed factors of communication skill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methodologies were used. A survey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class targeting four class students of the engineering college of D University in Gyeonggi-do.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pre-test before class through this class and the results of the post-test conducted at the end of the class, it was confirmed that speaking ability, reading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were improved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competencies for each individual variable,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students' major field, and grade. Based on such research results, several educational proposals were present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management of courses operated to develop communication skills.
Keywords
Communication skills; Engineering communication courses; Engineering liberal arts; Engineering educ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국가평생교육진흥원(2016). 4차 산업혁명의 시대에서 묻는 교육의 미래: 세계경제포럼의 '교육을 위한 새로운 비전. 2016 글로벌평생교육동향 2호.
2 권미란(2020). 이공계 글쓰기 과제 연구-글쓰기 동기부여와 주제 정하기. 리터러시연구, 11(2), 135-155.
3 김경화(2017). 이공계 대학생의 커뮤니케이션 역량 분석 및 교육콘텐츠 개발 방안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5), 529-539.   DOI
4 김정이(2017). 공과대학 글쓰기 과목에서 사용자 경험 디자인 관점의 UI 글쓰기 수업 모형 구성 연구. 교양교육연구, 11(5), 235-266.
5 김진용(2017). 신입 과학기술 인력의 창의성 및 핵심 직무역량 수준 진단과 시사점. issue weekly, 2017-07(통권 제213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6 민인기.김경애(2014). PBL과 전략적 텍스트를 활용한 이공계 말하기 교육 방법 모색. 사고와 표현, 7(2), 255-282.
7 박선양(2010). 이공계 글쓰기 교육의 효과적 교수방안 연구; 전북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국어문학, 49, 175-197.   DOI
8 손영화(2016). 대학생의 의사소통 역량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스피치와 커뮤니케이션, 15(1), 83-107.
9 신희선(2011).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의사소통교육 사례연구. 한국교육논총, 10(3), 137-169.
10 주소영.정연재(2020). 이공계 신입생의 자기효능감, 비판적 사고성향, 의사소통능력과 창의적 인재역량의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0), 687-708.
11 진미석 외(2007).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선정 및 문항개발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2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20). 공학교육인증기준2015(KEC2015).
13 한국산업인력공단(2016). 기초직업능력프로그램 : 의사소통능력 교수자용 매뉴얼.
14 한국은.원상봉(2013). 국내 이공계 대학생의 의사소통 교육인식조사. 실천공학교육논문지, 5(2), 151-161.   DOI
15 한영신.송해상(2011). Blended Learning을 활용한 이공계 과학기술 문서 작성 및 발표 수업 사례연구. 공학교육연구, 14(3), 25-30.
16 김혜경(2018). 이공계 의사소통 교육에서 성찰일지 작성이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공학교육연구, 21(5), 3-9.
17 한지영(2016). 컴퓨터.정보(공)학 분야 공학교육인증제 운영성과에 대한 교수들의 인식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공학교육연구, 19(5).   DOI
18 황순희(2012). 공학인 대상 《공적 말하기》 교육의 만족도와 학습자 요구 분석 사례 연구. 공학교육연구, 15(3), 47-58.   DOI
19 황순희(2019). 공과대학생의 '말하기 능력'에 대한 인식과 평가. 공학교육연구, 22(3), 18-31.   DOI
20 W. T. Kenneth & W. H. Schmidt(1976). A survey of managerial interests with respect to conflictto. Academy of Management, 19(2), 315-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