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Identifying the Influential Factors Entering the College of Engineering in Academic High School Graduates  

Huh, Hye Yeon (Department of Education Research, Busan National Science Museum)
Kim, Young Min (Global Institute for Talented Education,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im, Ki Soo (Department of Technology Educ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v.20, no.6, 2017 , pp. 61-67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factors that have an effect on students, especially in the natural science track, would enter the college of Engineering. For this, the data of KEEP was used, and logistic regression was utilized for analyzing this data. The dependent variables are 'Entering the college of engineering' and 'No entering the college of engineering'. The probable independent variables are 'Sex', 'Interest in mathematics', 'mathematics study achievement', 'Interest in Science', 'Science study achievement', 'The area of book that is read', 'The area of club', 'Knowing about working environment and task of the job' and 'Knowing about prospect and wage of the job'.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se are 'Sex', 'Knowing about working environment and task of the job', 'Knowing about prospect and wage of the job' that affect statistically entering the college of engineering. In other words, the male student who know working environment, task, prospect and wage of the job well may enter the college of Engineering.
Keywords
KEEP; factors for entering; college of engineering; logistic regress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3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교육과학기술부(2010). 2011년 업무보고, 창의인재와 선진과학 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2 교육과학기술부(2011). 과학과 교육과정, 고시 제 2011 -361호[별책 9],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통계연구센터(2014). 교육통계, http://kess.kedi.ke.kr.
4 김인섭, 김준철(2014). STEAM 프로그램을 통한 교육기부가 고등학생의 흥미, 자기효능감 및 진로선택에 미치는 효과. 기초과학연구, 25, 1-19.
5 김은숙, 인유민, 정원영, 계영희, 김희백, 노태희, 유준희, 이경우, 최승언, 김찬종 (2014). 이공계와 의약계 진로 희망 초등학생의 진로 선택 이유, 과학과목과 수학과목 선호도, 과학에 대한 흥미, 과학적 포부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 34(8), 779-786.   DOI
6 박경숙, 이효녕, 전재돈(2015). 국가 경쟁력 강화를 위한 중학교 영재 학생들의 과학, 수학, 기술 및 공학에 대한 인식 조사. 영재교육연구, 25(3), 363-380.   DOI
7 오석영(2012).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결정요인 분석 서울지역 진로결정 집단별 비교. 실업교육연구, 31(3), 135-151.
8 윤진(2002).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관련 진로 선택 요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906-921.
9 이승렬 (2014). 청소년의 동아리 활동과 진로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영민(2012). 공학전문가가 인지하는 고등학교 공학 기술 교과 교육 목표와 내용 요소.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은경(2010). 자연계열 학업우수 고등학생의 전공결정 영향 요인. 한국공학교육학회, 13(6), 80-86.
12 이영은, 이효녕(2014). 공학적 설계와 과학 탐구 기반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과학, 수학, 기술에 대한 흥미, 자기효능감 및 진로 선택에 미치는 효과. 교과교육학연구, 18(3), 513-540.
13 이효녕(2011). STEAM 교육 시행을 위한 미국의 STEM 교육 고찰. 과학창의, 161, 8-11.
14 이효녕, 권혁수, 김미랑 등(2013). 과학탐구와 창의적 설계 기반의 STEM/STEAM 교육의 이해와 적용. 북스힐.
15 장동호(2005). 고등학생들의 이공계 기피현황 분석과 개선방안.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진미석, 윤형한(2002). 이공계 기피현상과 고등학생 진로지도. 한국진로교육학회지, 15(2), 1-21.
17 Sanders, M. (2009). STEM, STEM education, STEM mania, Technology Teacher, 68 (4), 20-26.
18 International Technology and Engineering Education's Association[ITEEA](2013). STEM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 Retrieved March 4, 2013, from http://www.iteea.org/EbD/CATIS/catts.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