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김복기.박진영(2008).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방법 연구, 공학교육연구 제11권 제4호, 한국공학교육학회.
|
2 |
한지영(2009). 공학교육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코스 임베디드 평가의 적용 가능성 고찰, 한국공학교육학회 제12권 제3호, 한국공학교육학회.
|
3 |
Grantz, R., & Thanos, M. (1996). Internships: Academic learning outcomes. NSEE Quarterly, 22 (1), 10-11, 26-27
|
4 |
Krathwohl, D. R. (2002).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An overview. Theory into Practice, 41 (4), 212-218.
DOI
|
5 |
M True. (2002). Starting and maintaining a quality internship program. http://www.internqube.com/uploads/4/8/0/7/4807298/starting_an_internship_program_-_7th_edition.pdf
|
6 |
Sosland Jeffrey, Lowenthal Diane (2014). The Internship Supervisor and Experiential Learning. APSA 2014 Annual Meeting Paper.
|
7 |
한지영.반재현(2014). 인턴십 및 현장실습을 위한 관리 시스템 모형 개발, 공학교육연구 제17권 제3호, 한국공학교육학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