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순규(2011). 비인간적인 인간과 인간적인 복제인간. 영화, 4(2): 133-153.
|
2 |
굴드, S. J.(2002). 풀하우스, 이명희 (역.), 사이언스북스.
|
3 |
권택영 (편.)(1994), 욕망이론, 민승기.이미선.이미선 (역.), 문예출판사.
|
4 |
김석(2006), 욕망하는 주체와 욕망하는 기계. 철학과 현상학 연구, 29: 173-202.
|
5 |
들뢰즈, G.(2008). 감각의 논리, 하태완 (역.), 민음사.
|
6 |
박성수(2005). 디지털 영화의 미학, 문화과학사.
|
7 |
박이문(1983). 예술철학, 문학과지성사.
|
8 |
서동욱(2002). 들뢰즈의 철학, 민음사.
|
9 |
엄창섭(2013). 기계와 인간의 융합 : 미래사회 핵심 키워드는 '의식'. 브레인, 39: 34-35.
|
10 |
에반스, D.(1998). 라깡 정신분석 사전, 김종주 외 (역.), 인간사랑.
|
11 |
양석원(2003). 응시의 저편 : 자끄 라캉 이론에서의 주체와 욕망. 안과 밖, 15: 55-76.
|
12 |
윤대선(2011). 디지털 시대의 문화적 감성과 소통의 연구. 해석학 연구, 21: 3-36.
|
13 |
이수진(2012). 영화의 접속 기표와 포스트-휴머니즘의 재현. 기호학 연구, 32: 197-219.
|
14 |
이진경(2002). 노마디즘1, 휴머니스트.
|
15 |
정지연(2009). 디지털 시대의 영화 존재론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17(1): 75-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