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Review of Creativity Development Research Approaches in the Korean Engineering Education  

Lim, Cheolil (Department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im, Sungwook (Department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Han, Hyeongjong (Department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 Seungil (Department of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v.17, no.5, 2014 , pp. 33-4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urrent trends and future issues of the creativity development research in the Korean engineering education. The analysis led to categorizing the previous research topics into the following five domains: (i)systems and media (ii)instructional strategies and methodologies (iii)curriculum (iv)evaluation and (v) learner characteristics. The analysis further deduced more detailed sub-domains from each of the five domains.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publication frequencies of each domain and sub-domains and grasped specific flows of past research topics. Finally, based upon the analysis, this study drew implications and ramifications for creativity development studies in the Korean engineering education, elucidated future issues and refined upcoming research agendas.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will articulate the present status of the studies that deal with creative education catering to engineering students and help set paths for future research.
Keywords
creativity education; creativity development; engineering educ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승희(2009). 공과대학생의 창의적 성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 탐색: 경진대회 수상팀을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2(3): 59-72.
2 강용, 이창훈, 최유현, 김기수, 김소연, 김판욱, 노태천, 류창열, 이병욱, 최완식, 구진희, 박천봉(2009). 포트폴리오 평가 전략을 활용한 창의공학설계 교과목 운영의 효과. 한국기술교육학회지, 9(2): 63-82.
3 김병재(2000). 공학교육 사례: 창의성 배양 교과목 개발 및 운영사례. 공학교육, 8(1): 14-18.
4 김영정(2005). 예술적 창의성과 과학적 창의성. 대한토목학회지, 53(8): 126-137.
5 김원섭(2013). 융합디자인을 위한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 디자인지식저널, 25 : 387-395.
6 김은경(2009). 실천공학 교육방법론: 트리즈 기반의 진짜문제정의 프로세스.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1(1): 1-6.
7 김태운, 양성민, 김희복(2006). 산업공학에서의 창의설계 교육사례연구. 공학교육연구, 9(3): 49-61.
8 김학빈, 차성운(2011). 공리적 설계를 이용한 창의성 평가 방법. 한국정밀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9 박만엽(2013). 공학도를 위한 창의력 방법론에 대한 인문학적 성찰. 사고와 표현, 6(1): 7-61.
10 백윤수, 이준환, 김은태, 오경주, 박정선, 정지범(2006). 대학 신입생 공학설계 과목을 통한 창의성 교육의 성과. 공학교육연구, 9(2): 5-20.
11 백정희, 주문원, 최영미, 임영환(2012).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 에서의 앨리스(Alice) 활용 사례 연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6(1): 61-70.
12 백창수(2008). 산업디자인 교육의 창의적 사고기법으로서 트리즈 이론 적용. 한국디자인포럼, 19 : 391-401.
13 서승우, 박강(2004). TRIZ 와 브레인스토밍의 연계 방법을 이용한 유리병 부식 장치 홀더 설계. 한국정밀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4 안정호, 임지영(2010). 공대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유형별 셀프리더십과 통제소재. 공학교육연구, 13(4): 122-129.
15 안정호, 임지영(2012). 공대생들의 협동학습에서 성격특성 및 창의적 문제해결스타일과 팀 창의성. 공학교육연구, 15(6): 43-48.
16 염상훈(2012). 건축적인 창의성 향상을 위하여 형태를 자극제로 활용한 건축교수법 개발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28(11): 177-184.
17 이주성, 정봉주(2010). 지역사회경험학습과 공학설계교육. 공학교육연구, 13(6): 180-187.
18 이창훈(2008). ADDIE 모형에 터한 창의 공학 설계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과 적용 방안. 한국기술교육학회지, 8(1): 131-146.
19 임철일, 김영전, 김동호(2012). 공과대학 학생들의 창의성교육에 관한 인식. 공학교육연구, 15(2): 30-37.
20 임철일, 홍미영, 이선희(2011). 공학교육에서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학습환경 설계모형. 공학교육연구, 14(4): 3-10.
21 임철일, 홍미영, 박태정(2011). "창의적 문제해결(CPS)" 모형을 활용한 온라인 기반의 대학 수업 모형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7(3): 399-422.
22 장용철, 김건국, 김민철(2013). 창의설계입문의 PBL 적용: 충남대학교 환경공학분야 사례. 공학교육연구, 16(2): 78-85.
23 정은수, 서종옥, 이재호, 이윤미, 윤순종, 김병주, 정준기, 한병기, 정귀영(2008). 국내외 공과대학들의 교육목표 분석. 공학교육연구, 12(4): 44-53.
24 정지범, 백윤수, 문일(2004). 이공계 우수 대학생 집단의 창의성과 학업 성적. 공학교육연구, 7(4): 38-44.
25 조성규, 고국원, 고경철(2009). 창의적 공학 설계에 교육용 로봇의 적용. 한국정밀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26 차영수, 김정섭(2010). 문제찾기 중심의 수업이 공과대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교육혁신연구, 20(1): 99-111.
27 한경돈, 박대우(2011). IT기술을 활용한 집단적 아이디어 발상(發想) 연구. 조형미디어학, 14(2): 209-214.
28 최덕기, 박찬일, 최정임(2006). 창의적 사고능력 배양을 위한 입문공학설계 교과목 개발. 공학교육연구, 9(1): 61-74.
29 최유현(2005). 창의적 공학교육을 위한 문제중심학습(PBL)의 모형과 절차의 탐색. 공학교육연구, 8(1): 99-112.
30 최은희(2013). 실내디자인 학습자의 창의적 사고를 지원하는 웹 시스템 개발과 그 효용성 평가. 기초조형학연구, 14(5): 639-648.
31 한국교육개발원(2013). 교육통계연보.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2 홍선학(2008). UML기반의 창의 공학용 로봇 설계. 한국통신학회논문지, 33(10): 343-349.
33 홍성도, 허용정(2011). TRIZ 소프트웨어 CREAX를 활용한 창의적 실습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3(2): 114-120.
34 Csikszentmihalyi, M. (1988). Society, culture, and person: A systems view of creativity. In R. J. Sternberg (Ed.),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pp. 325-339).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of Press.
35 Horenstein, M. N. (2009). Design concepts for engineers (4th ed.).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