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한국전자거래진흥원(2008b). 업종별 산업기술 특화 이러닝 콘텐츠 개발․ 보급 사업 개요, 한국전자거래진흥원.
|
2 |
한국전자거래진흥원(2009). 2009년도 이러닝 산업 실태 조사, 한국전자거래진흥원.
|
3 |
Kirkpatrick, D. (1998). Evaluating training programs: The four levels (2nd ed.). San Francisco, CA: Berrett-Koehler.
|
4 |
Rosenberg, M. J. (2006). Beyond e-Learning. San Francisco, CA:Pfeiffer.
|
5 |
장명희.유선주(2006). 중소기업 생산직 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을 위한 e-Learning 요구 조사. 직업능력개발연구, 9(1):175-202.
|
6 |
한국전자거래진흥원(2007b). 2007년도 이러닝 산업 실태 조사, 한국전자거래진흥원.
|
7 |
한국전자거래진흥원(2008a). 2008년도 이러닝 산업 실태 조사, 한국전자거래진흥원.
|
8 |
주영주 ․ 김나영 ․ 심우진 ․ 김지연(2008). 기업 이러닝 과정에서 성취도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동기 측정도구의 개발 및 양호도 검증. 기업교육연구, 10(1): 47-64.
|
9 |
한국전자거래진흥원(2006). 2006년도 이러닝 산업 실태 조사, 한국전자거래진흥원.
|
10 |
한국전자거래진흥원(2007a). 이러닝을 활용한 산업기술확산사업 개요, 한국전자거래진흥원.
|
11 |
교육인적자원부,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3). 원격교육연수원 콘텐츠 평가지침.
|
12 |
임효창.이인석.박경규(2004). 기업내 e-Learning의 반응, 학습성과 및 전이성과간 관계: 교육참가자의 개인특성 및 조직환경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인사관리연구, 23(3): 1-32.
|
13 |
이종연(2004). 대학 이러닝 강좌의 학습만족도 및 성취도 증진을 위한 콘텐츠 전달전략의 선택방안: 학습자의 사전지식과 자기주도성을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20(4): 185-214.
|
14 |
로보틱스연구조합(2005). 재직자 재교육에 관한 인식조사 보고서, 로보틱스연구조합.
|
15 |
엄명용.김태웅(2006).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본 이러닝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35(1): 51-88.
|
16 |
나일주.한안나(2002). 학습자, 교수자, 운영자의 e-Learning 인식분석. 교육정보방송연구, 6(1): 41-54.
|
17 |
김도헌.최우재(2003). Blended Learning을 통한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연구. 교육정보방송연구, 9(4): 147-176.
|
18 |
김미량(2003). 교육용 웹 사이트 평가를 위한 준거의 개발 및 적용. 컴퓨터교육연구, 6(1): 41-54.
|
19 |
권성연. 고기정.이수영(2007). 기업의 업종 특성을 반영한 e-Learning 전략: 금융업, 정보통신업, 제조업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3): 101-130.
|
20 |
권오영.임효창.김세정(2008). e-Learning의 정서적 반응 및 학습성과가 전이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실업능력개발연구, 11(3): 219-235.
|
21 |
강이철(2002). 코스웨어 설계를 위한 교육공학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