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Effects of Computer Interest Levels and Chatting Method (with AI Chatting robot: Chatterbot) on Teaching and Learning  

Kim, Tae-Woong (Institute of Educational Research, Korea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v.11, no.4, 2008 , pp. 19-3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the use of Chatting Method(with AI Chatting robot: Chatterbot) and Computer Interest Levels on Teaching & Learning.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chatting activities using the chatterbot method and computer Interest Levels were not effective in the academic achievement. Secondly, the chatting activities using the chatterbot method and computer Interest Level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learning motivation. Third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post-feedback analysis, the benefits of chatterbot method was 'the new', 'transcends time and space', 'drill and practice learning' and was some of the drawbacks 'response fixed', lack of emotional transactions. and the proposal 'PBL' was reached(1. strength: new experience, 2. weakness: be tired, 3. proposal: PBL approach). Fourth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motivation, post-feedback was no correl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at the chatterbot method was need for multiple instructional design strategy.
Keywords
Artificial Intelligence(AI); Chatterbot; Chatting robot; Computer Interest Levels; HCI;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인철. (2007). 컴퓨터 게임에서의 인공지능. 인터넷정보학회지. 8(4), 67-74
2 신형정. (2003). 인공지능 채팅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영어 쓰기 능력 및 정의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3 유제민. (2008). 인공신경망분석의 이해와 활용.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단일호, 1-2
4 윤숙경. (2004). 한국 대학생 영어학습자의 채터봇 과 메신저를 이용한 채팅에 관한 사례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5 이정민. (2007). 원어민 교사 및 한국인 교사와 영어 채팅한 집단의 상호작용과 언어적 특징에 관한 비교연구 : 고등학교 학습자를 중심. 석사 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6 정진명,이소희. (2001). 파워포인트 활용 동화의 제 시 방법이 유아의 주의집중과 컴퓨터 흥미도 에 미치는 효과. 아동연구, 15(1), 159-180
7 한종임. (2004). 인터넷 실시간 의사소통도구를 활용한 영어구두언어능력 신장 방안. 외국어 교육. 11(2), 195-226
8 정혜순. (2002). 유아의 컴퓨터 흥미도 및 컴퓨터 조작능력과 발달수준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9 Russell, S., & Norvig, P. (2003). AI in modern approach.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0 이성독. (2006). 특집 : 인공지능기술 및 산업응용. 정보과학회지. 24(9), 84-86
11 김성주. (2004). 소프트 컴퓨팅에 의한 뇌 정보처리 메커니즘의 공학적 구현. 박사학위논문, 중앙 대학교 일반대학원
12 정양수. (2000). WBI에 기초한 영어교육을 위한 이 론적 재검토. 영어영문학연구, 44(2), 239-262
13 천경애. (2002). 웹 기반 협동학습에서 상호작용 전략과 집단 크기가 학업성취도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서강대 교육대학원
14 김윤정. (1994). 유아의 협동학습 활동에 따른 컴퓨 터 흥미도의 변화.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