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서해근(2003). 안전교육 및 응급처치. 동아대학교 출판부
|
2 |
설 환(1995). 안전조직 및 안전교육과 건설재해 와의 관계.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3 |
임현교(2001). 근년 인구변동추이와 중고령 근로자의 산업재해발생경향. 한국산업안전학회
|
4 |
한국산업안전공단(1995), 명예산업안전 감독관을 위한 재해 예방활동. 산업안전 보건정책 방향
|
5 |
Komaki, J, Collins, RL & Penn, P. (1982). The Role of Perior-menc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in Work Motivation. Journal Applied Psy-chology, p. 65, pp. 261-270
|
6 |
Schultz D. P.(1978). Psychology and Industry Today, 2nd ed , N. Y. : Macmillan Publishing Co.
|
7 |
강수헌. 고남준(1985). 산업안전관리 총론. 도서출판 한진. p. 54
|
8 |
Marlatt, G. and Marause, J., Meditation (1977). Self-control and Alcohol use. InR. Stuart(Ed). Behavioral Self-Management: Strategies Techniques and Outcome, New York, Brunner, Mazel. pp. 67-74
|
9 |
이근희(1971). 산업안전을 위한 한국노동재해의 유형분석. 동아대학교 출판부
|
10 |
노동부(2002). 산업재해현황. 산업안전국
|
11 |
송영호.정국삼.지경택(2002) 산업재해 사례인자의 범주형 분석. 한국산업안전학회. Vol. 17. No. 1. p.94-98
|
12 |
변동한(1992). 산업재해 분석에 따른 원인과 예방 대책에 관한 연구-D 기업의 건설현장을 중 심으로. 건국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논문
|
13 |
이수경. 김태환. 이상준. 하동명. 강계명(2001). 산업 안전보건 교육제도의 실효성 제고 방안. 한국 산업안전학회 2001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14 |
송지태(1990). 산업안전 정책방향. 한국산업안전공단 산업안전교육원. 사업장안전보건강사 세 미나집. pp. 5-6
|
15 |
Surry, J (1968). Industrial Accident Research: A Human Engineer-ing Approach, University of Toronto, Department of Industrial Engineering June, pp. 312-314
|
16 |
김유창(1998). 소규모 사업장의 산업재해 특성과 예방대책에 대한 연구. 한국산업안전학회. Vol. 13 No.2. p.145-150
|
17 |
한국산업안전공단 (2003). 산업재해 원인통계보고서
|
18 |
이영대(1991). 산업재해 예방 6개년 계획의 주요 추진사업. 서울 : 한국산업안전공단. 안전 보건 5월호 . p. 30
|
19 |
한국산업안전공단(1997). 교육적 원인에 의한 재해감소 효과에 관한 연구. p. 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