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KEEN Project 중심의 Entrepreneur Mindset을 함양하는 공학교육 방법 개발  

Yun, Ji-Yeon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Sin, Ye-Won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Ju, Won-Jon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계시스템디자인공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Ingenium / v.27, no.4, 2020 , pp. 59-78 More about this Journal
Keyword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서영(2019). 개인 및 팀수준에서의 대학생 기업가정신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남정민(2015). 기업가정신과 창업교육 성과간의 연구-해커톤 교육을 중심으로 한 변혁적리더십 효과성 분석. 벤처창업연구, 10(1), 45-33.   DOI
3 민동균.이민호(2020). 산업체 연계 프로젝트 기반 학습(PBL)을 활용한 성형해석 실습: 교과목 운영 사계연구. 공학교육연구, 23(4), 76-83.   DOI
4 양준환(2014). 기업가 정신교육이 대학생들의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벤처 창업연구, 9(6), 65-77.
5 엄의.조준희(2015) 중국 대학생의 창업가 특성에 관한 연구: 창업 참여도의 매개효과. 전문경영인연구, 18(1), 163-180.
6 윤남수 (2012). 잠재적 창업자의 창업동기 요인이 기업가정신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 산업경제연구, 25(2), 1537-1557.
7 윤지수.현병환(2018). 기업가 정신이 기업가적 효능감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687-711.
8 윤지영.주원종 (2019) 공대생 성공의 열쇠가 되는 Entrepreneurial Mindset: 미국의 KEEN Project 고개. 공학교육 이슈분석보고서, 26(4), 59-76.
9 이원준(2016). 대학생의 창업 실행성과 창업 의지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 학술 발표대회 발표논문홈페이지집, 978-982.
10 임한려 (2019). 대학생의 기업가 진로의도와 기업가 정신, 기업가 자기효능감 및 기업가 기민성의 구조적 관계에서 진로장벽 요인별 조절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장용철.김건국.김민철(2013). 창의설계입문의 PBL(Problem-Based Learning) 적용: 충남대학교환경공학분야 사례. 공학교육연구, 16(2), 78-84.
12 장혜민(2019).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최초 직장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조준희.김찬중(2015). 대학생의 기업가 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인적 자원개발연구 18(4), 53-75.
14 주웅영 (2014). 초등 사회과 역사탐구를 위한 질문 형성 활동의 특성. 사회과교육연구 21(2), 81-95.
15 중소벤처기업부 보도자료. 국내 11번째 유니콘기업 탄생. 유니콘기업 순위 5위로 상승. (2019.12.10.)
16 한국교육개발원(2018). 교육통계연보.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17 Covin, J. G. & Slevin, D. P.(1986).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an organizational-level entrepreneurship scale. Frontiers of Entrepreneurship Research. 1(3). pp. 628-639.
18 Covin, J. G. & Slevin. D. P.(1991). A conceptual model of entrepreneurship as firm behavior. Entrepreneurship: Critical perspectives on business and management, 3, 5-28.
19 KOSIS(2019). 경제활동인구조사. 통계청.
20 강만구.김재형.표인산(2018). 기업가정신이 스타트업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글로벌 마인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한경영학회지,31(5), 1033- 1054
21 김보나(2006). 대학에서 블렌디드 러닝과 전통적인 면대면 수업의 수업효과 비교연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McClelland, D. C. (1965). Nachievement and entrepreneurship: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4), 389.   DOI
23 Morris, M. H. & Kuratko, D. F.(2002). Corporate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development within organizations. South-Western Pub.
24 Miller, D.(1983). The correlates of entrepreneurship in three types of firms. Management Science, 29(7), 770-791.   DOI
25 Rothstein, D. & Santana, L.(2011). Make just one change: Teach students to ask their own questions. Harvard Education Press.
26 Schumpeter, J. A. (1934). Change and the Entrepreneur. Essays of JASchumpeter.
27 KEEN'zine, ISSUE 4. https://engineeringunleashed.com/resources/keenzine.aspx (검색일 : 2019.11.22.)
28 Tools for the 3Cs of Enterpreneurially Minded Learning(EML) https://engineeringunleashed.com/cards/cardview.aspx?CardGuid=24982be7-8fc0-418f-988e-5ff63142e68d (검색일 : 2020.08.12.)
29 KEEN 홈페이지. https://www.engineeringunleashed.com/ (검색일:2019.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