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523/JKSESE.2020.13.3.330

Analysis of Problem-Solving Processes through Data-based STEAM Education: Focusing on Atmospheric Circulation and Surface Currents  

Hong, Seok Young (Jecheon Jeil Highschool)
Han, Shin (Korea University)
Kim, Hyoungbu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v.13, no.3, 2020 , pp. 330-34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this study, STEAM program on the subject of 'atmospheric circulation and surface current' was produced based on data and applied to 106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to analyze its effect and problem-solving processes. This program was organized to collect, refine, visualize, and analyze data and to allow communication processes to proceed based on these results. Using this, the concept of circulation in daily life was expanded from a global perspective to identify problems about circulation around the world.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significant changes were identified in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Also, significant changes were made in terms of convergence and creativity, which are sub categories among STEAM core competencies. It also sought to obtain suggestions for data-based STEAM education by analyzing students' responses in the form of a Text network.
Keywords
atmospheric circulation; data; problem-solving processes; STEAM;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7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남화, 이나리, 노민정, 유진은(2018).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이 학생에 미친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6), 875-883.   DOI
2 교육과학기술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9]. 세종: 교육과학기술부, p. 272.
3 김시내(2018). 데이터 예술(Data Art)를 통한 확장된 데이터 시각화 교육 방안 모색. 조형교육, 68, 1-24.
4 김용기, 김형범, 조규동, 한신(2018). HTE-STEAM(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자유학기제 수업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3), 224-236.   DOI
5 김용민, 김종훈(2017). 스크래치를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 활동이 예비 코딩 강사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3), 309-320.   DOI
6 김유란, 전재돈, 엄주영, 이효녕(2020). 중학생을 위한 시스템 사고 기반 STEAM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41(1), 75-91.   DOI
7 김정아, 김민규, 유혜진, 김용민, 김종훈(2019). 파이썬을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 교육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3(3), 197-206.   DOI
8 박경애, 이재연, 박재진, 이은일, 변도성, 강분순, 정광영(2020). 2015 개정 교육과정 기반 중등학교 과학 및 지구과학 교과서의 통합 해류도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41(3), 248-260.   DOI
9 박지수(2019). 사회과 학습자료로서 데이터 시각화 기법의 효과 연구: 초등학교 3,4학년을 대상으로. 사회과교육, 58(3), 57-73.
10 박찬솔, 손정우(2020). 탐구적 과학 글쓰기를 통한 데이터 기반 과학 탐구학습이 초등학생의 과학과 핵심역량에 미치는 영향. 교사교육연구, 59(2), 245-258.   DOI
11 박한우, Leydesdorff(2004). 한국어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7.
12 박현주, 변수용, 심재호, 백윤수, 정진수(2016).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의 STEAM 교육 운영 현황 실태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4), 669-679.   DOI
13 박현주, 심재호, 김어진, 함형인, 이영태, 이지애, 권혁수(2019). STEAM 교육의 핵심역량 조사도구 개발. 과학교육연구지, 43(2), 258-269.   DOI
14 박효진, 문병권(2017). 해들리순환 경계의 변동성. 과학과과학교육, 42(1), 1-7.
15 배화순(2019). 데이터 리터러시의 사회과 교육적 함의. 시민교육연구, 51(1), 95-120.
16 백순근, 윤승혜, 신안나, 손주영, 김연경(2017). 고등학생용 여섯 가지 핵심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평가연구, 30(3), 363-395.
17 이용섭, 김윤경(2012). 과학 기반 STEAM의 '날씨와 우리 생활' 학습이 창의적 사고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2), 204-212.   DOI
18 손미현(2020a). 지식정보화 사회에서의 과학탐구 교육 방향성 탐색. 현장과학교육, 14(3), 401-414.   DOI
19 손미현(2020b). 지식정보처리역량 함양을 위한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 모형 개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190.
20 손미현, 정대홍(2018). 지식정보처리역량에 대한 과학교사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5), 693-703.   DOI
21 이진석(2019). 사회과 교육에서 데이터 시각화를 통한 데이터 리터러시 함양: 2015 교육과정 중, 고등학교사회 교과서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교사교육연구, 58(4), 501-512.
22 이진숙, 김은주, 김대현(2017). 2015 개정 과학과 공통 교육과정에서의 핵심역량-교과역량, 교과역량-성취기준의 관계 분석. 통합교육과정연구, 11(2), 1-25.
23 이희후(2019). 데이터 시각화 도구를 활용한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지식정보처리 역량, 과학 기술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143.
24 정은주, 손정우(2020). 디지털 탐구도구로 측정한 데이터를 활용하는 과학 탐구 수업이 초등학생의 역량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44(2), 205-213.   DOI
25 정재인, 이경준, 김승범(2020). 뉴스 기사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폭염의 사회.경제적 영향 유형 도출: 2012-2016년 사례. 대기, 30(3), 237-248.   DOI
26 최은희, 이진호(2019). 텍스트의 시각화를 위한 수업 지도 방안.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57, 121-130.
27 한국과학창의재단(2012). 융합인재교육(STEAM)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12, p. 161.
28 윤옥한(2017). STEAM 교육을 위한 교수체제설계 모형 탐색. 교양교육연구, 11(1), 443-474.
29 한신, 김형범, 김용기(2019). 자연재해 주제를 활용한 창의융합 HTE-STEAM(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3), 291-301.   DOI
30 한신, 김형범, 김용기, 송하명(2020). 비유를 활용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학교 '태양계' 단원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1), 15-28.   DOI
31 홍석영(2019).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태도 관련 국내 과학교육연구동향 분석. 현장과학교육, 13(4), 412-430.   DOI
32 Adam, V. M., Joseph, A. H., & Dubravka, S. (2015). Data visualization literacy: Investigating data interpretation along the novice-expert continuum.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45(1), 84-90.
33 Fouh, E., Akbar, M., & Shaffer, C. A. (2012). The role of visualization in computer science education. Computers in the Schools, 29, 95-117.   DOI
34 Arcand, K. K., & Watzke, M. (2014). Here, there & everywhere: Science through metaphor, near and far. Science Communicating Astronomy with the Public Journal, 15(1), 8-9.
35 Calzada-Prado, F. J., & Marzal, M. A. (2013). Incorporating data literacy into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Core competencies and contents. Libri, 63(2), 123-134.
36 Duit, R. (1991). On the role of analogies and metaphors in learning science. Science Education, 75(6), 649-672.   DOI
37 Gray, J., Gerlitz, C., & Bounegru, L. (2018). Data infrastructure literacy. Big Data & Society, 5, 1-13.   DOI
38 Kim, H., & Chae, D. H. (2016).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STEAM program based on traditional Korean culture.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12(7), 1925-1936.
39 Hsieh, Y. C. J., & Cifuentes, L. (2006). Student-generated visualization as a study strategy for science concept learning.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9(3), 137-148.
40 Kim, A. K., Thomas, F. S., & Alexander, P. B. (2016). What geoscience experts and novices look at, and what they see, when viewing data visualizations. Journal of Astronomy & Earth Sciences Education, 3(1), 27-58.
41 Kippers, W., Poortman, C., Schildkamp, K., & Visscher, A. (2018). Data literacy: What do educators learn and struggle with during a data use intervention? Studies In Educational Evaluation, 56, 21-31.   DOI
42 Mandinach, E., & Gummer, E. (2013). Defining data literacy: A report on a convening of expert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and Policy Studies, 13, 6-28.
43 Mayer, R. E. (1993). The instructive metaphor: Metaphoric aids to students' understanding of science. Metaphor and Thought, 2, 561-578.   DOI
44 Nestorov, S., Jukic, N., & Rossi, S. (2019).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data visualization course with a real-world project component in an undergraduate information systems curriculum.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Education, 30(3), 202-211.
45 Ryan, L., Silver, D., Laramee, R. S., Ebert, D., & Rhyne, T. (2019). Teaching data visualization as a skill. IEEE Computer Graphics and Applications, 39(2), 95-103.   DOI
46 Shreiner, T. L. (2018). Data literacy for social studies: examining the role of data visualizations in K-12 textbooks.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46(2), 194-231.   DOI
47 Wolff, A., Gooch, D., Cavero Montaner, J. J., Rashid, U., & Kortuem, G. (2016). Creating an understanding of data literacy for a data-driven society. The Journal of Community Informatics, 12(3), 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