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523/JKSESE.2020.13.3.253

Effects of Science Educ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on High School Students' Worldviews  

JI, Dukyoung (Dankook University)
Son, Yeon-A (Dankook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v.13, no.3, 2020 , pp. 253-26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study developed and analyzed programs that incorporate observable worldviews-based science education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ESD) in science classes to emphasize integration with the background of the times and achieve effective goals of science education aimed at cultivating scientific literacy. As a result of applying the program to actual high school students, students were able to see the transition to the worldviews of ecology in the process of considering various values and making decisions by identifying their own values. Students' worldviews were found to be at odds during the process of identifying their worldviews and approaching values in various aspects of the class due to the conflicting values of each curriculum and teacher worldviews. In the area of individual values, the worldviews should be applied in science educ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worldviews of teachers and curriculum contents is also required. Through this study, we hope that access to the area of individual values represented by the worldview in science education will help students change fundamental.
Keywords
integrated science; worldviews;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values; ecologicalism;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안정용, 나지연, 송진웅(2013). 통합 과학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두 중등학교의 사례-무엇이 통합 과학교육을 가능하게 하는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4), 763-777.   DOI
2 양찬호, 곽영순, 한재영, 노태희(2013). 공통과학 교사양성 교육과정 운영과 임용의 실태 및 과학교육계열 교수들이 제안한 개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345-358.   DOI
3 오준영(2019). 서양 고대 그리스와 중세의 철학적 세계관, 그리고 근현대의 과학적 세계관의 영향.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4 오준영, 손연아(2018). 세계관을 바탕으로 통합과학 교육전략 제안: 기후변화를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1), 1-20.   DOI
5 윤지현, 강성주(2016).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 교과에 관해 고등학교 과학 교사들이 기대하는 부분과 우려하는 부분에 대한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5), 515-546.
6 이용섭(2020). 원격과학수업의 활용도 및 문제점, 학습자 행동분석. 대한지구과학학회지, 13(2), 175-185.
7 이윤하, 윤회정, 송주연, 방담이(2014). 통합개념을 중심으로 한 싱가포르와, 캐나다와 미국의 과학교육과정 내용 요소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1), 21-32.   DOI
8 이은주, 손연아(2013). 중등과학교사의 통합과학 수업설계 과정에 대한 사례분석 및 컨설팅-통합과학 5단계 수업계획서 설계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1), 208-227.   DOI
9 이하얀, 장신호(2010). 과학 연구 윤리 가치관 변화를 위한 초등 과학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초등과학교육, 29(2), 195-206.
10 이학동(1986). 통합과학교육의 실태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6(2), 43-52.
11 이학동, 김숙향, 노경임, 손연아(1996). 과학교육계 학과에서의 통합과학교사 양성을 위한 사전 교육실태. 생물교육, 24(1), 9-24.
12 이현주, 최윤희, 고연주(2014). 집단지성 원리를 적용한 과학관련 사회.윤리적 쟁점 수업 모형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6), 523-534.   DOI
13 장지영, 문지영, 우효숙, 최경희, Joseph Krajcik, 김성원(2012). 과학과 관련된 사회.윤리적 문제(SSI)의 맥락에 따른 중학생들의 인성적 태도와 가치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7), 1124-1138.   DOI
14 Manfres, B., & Alfrd, K., 한국 철학사상연구회 역(1998). 철학소사전. 서울: 동녘.
15 지덕영(2019).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공통과학 교사자격증 유무에 따른 통합과학교육과 지속가능발전교육에 대한 인식. 대한지구과학학회지, 12(3), 224-238.
16 지덕영, 맹희주, 손연아(2019). 지속가능발전교육과 과학교육의 통합에 대한 초중등 과학교사들의 인식. 환경교육, 32(2), 243-260.
17 최지연, 고연주, 이현주(2019).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및 통합사회 교과서에 제시된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 비교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과, 19(16), 1233-1256.
18 Berger, G. H., & Gaunitz, S. C. B. (1978). Self-rated imagery and encoding strategies in visual memory.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70(1), 21-24.   DOI
19 Cobern, W. W. (1991). World view theory and science education research. NARST Monograph No. 3. Manhattan. KS: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0 UNESCO (2004). Partnership strategy between UNESCO and the private sector for the 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NY: Draft International Implementation Scheme.
21 김원열, 김정인, 이기훈, 조관연 역(2008). 더불어 사는 세계관. 서울: 한경사.
22 교육부(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23 교육부(2017). 2015 개정 교육과정 해설(고등학교).
24 권난주, 안재홍(2012). 융합 및 통합과학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264-278.
25 김가형, 이현주(2017). 지역사회연계 미세먼지 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이슈에 대한 이해와 시민으로서의 인성과 가치관 함양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6), 911-920.   DOI
26 김남희, 심규철(2015).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과 사범대학 예비 과학 교사 교육 내용의 분석을 통한 예비 과학 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6), 1039-1048.   DOI
27 김지영, 박은미, 박지은, 방담이, 이윤하, 윤희정(2015). 통합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403-417.   DOI
28 맹희주, 손연아(2019). 초.중등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교사 전문성에 관한 10년 주기(2008-2018) 비교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6), 717-728.   DOI
29 김현경, 나지연(2017).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적용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의 인식과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1), 103-112.   DOI
30 맹희주, 손연아(2012). 통합과학 수업컨설팅을 위한 초.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의 통합과학교육 적용 현황 분석 및 교사의 수업능력 진단. 교과교육학연구, 16(2), 539-563.
31 박수경, 김상달, 주국영, 남윤경(2001). 중학교 과학수업을 위한 주제 중심 통합단원 개발 및 효과 분석.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2(5), 350-359.
32 박준호(2011). 과학기술과 휴머니즘: 사진철학과 사진의 본성=The scope of philosophy of photograph and the nature of photograph. 동서철학연구, 59, 37-56.
33 신영옥, 최병순(2012). 2009 개정 고등학교 '과학'의 운영 실태와 교사들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10), 1599-1613.   DOI
34 방담이, 최선경, 현남숙(2015). SSI(Socio-Scientific Issues)를 소재로 한 융복합 교양교과목의 설계 및 운용=Design and practice of SSI-centered integrated course for liberal arts curriculum.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6), 595-616.
35 송진웅, 나지연(2015). 2015 과학과 교육과정 주요 방향 및 쟁점 그리고 과학교실문화. 현장과학교육, 9(2), 72-84.   DOI
36 신소연, 박철규, 이창윤, 홍훈기(2018).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과학탐구실험' 실행에 대한 사례연구-문화역사적 활동이론(CHAT) 측면에서의 이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6), 885-899.   DOI
37 곽영순, 신영준(2019). 2015 개정 통합과학 수업관찰을 통한 실행된 교육과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3), 379-388.   DOI
38 곽영순, 이재봉, 이양락(2017).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통합과학' 도입에 따른 중등 과학과 현직교사 역량 제고 방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2), 263-271.   DOI
39 신영준, 한선관(2011). 초등학교 교사들의 융합인재(STEAM)에 대한 인식 연구. 초등과학교육, 30(4), 514-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