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523/JKSESE.2020.13.1.110

Development Case of Regional Materials for Learning of Geology Units, Primary and Middle School Science at Jaeundo  

Kim, Hai-gyoung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v.13, no.1, 2020 , pp. 110-12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t is generally reported that field learning and a class using regional materials motivate learning and give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of geology unit, science subj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to suggest regional materials for learning of geology unit, science subject at Jaeund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gional materials were developed at three locations (namjin dockyard area, yangsan beach area and dunjang beach area) of the study area. Namjin dockyard area (A site) is composed of terrain of sea cliff, sand beach and mud flat. Sedimentary rocks, weathering phenomenon of rocks and strata of various shape are distributed in sea cliff of A site. Yangsan beach area (B site) is composed of coastal terrain as sea cliff and sand beach about 1.5km long. Sedimentary rocks and rhyolite are distributed in sea cliff of B site. Tafoni formed by weathering process of rocks are developed on sedimentary rock outcrop of B site. Dunjang beach area (C site) is composed of coastal terrain of sea cliff, sand beach about 2km long and sea stack. Stratified sedimentary rocks are distributed in sea cliff of C site. Sea stack located in near halmi island on the west side of dunjang beach area is a good sample showing erosion process of sea cave for a long time. Unique geomorphology and geology phenomena distributed in 3 sites at Jaeundo can be used as regional materials for learning of geology unit, science subject. And, Regional materials shall be used in conjunction with the text book data of geology units. These 3 sites of the study area are worth using as field learning course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Keywords
geology unit; science subject; Jaeundo; geomorphology and geology phenomena; regional materials; field learn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교육부(2018a). 과학 3-2. (주)비상교육, 118.
2 교육부(2018b). 과학 4-1. (주)천재교과서, 126.
3 교육부(2018c). 과학 4-2. (주)비상교육, 119.
4 교육부(2018d). 과학 실험관찰 3-2. (주)비상교육, 65.
5 권치순, 장문수(2004). 한국과 북한의 초, 중등학교 지구과학 내용 연계성에 대한 비교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5(7), 558-564.
6 김덕호, 홍승호(2014). 초등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한 지층과 화석 관련 STEAM 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 46(4), 1-25.
7 김덕호, 홍승호(2015). 초등과학 지질 관련 단원의 학습에 적합한 제주도 체험학습장 개발-지층과 화석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 26(2), 25-46.
8 김해경(2015). 지역 지질을 활용한 초등학교 야외지질학습장의 개발-오동도를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2), 128-138.   DOI
9 김해경(2019). 무안군 남측 대죽도(중앙동산) 노두의 특징과 교육적 활용방안. 한국도서연구, 31(1), 169-183.
10 김해경, 이경학, 나경아(2017).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2), 173-184.   DOI
11 김화성, 함호식, 이문원(2013). 화성암 지역의 야외지질학습장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34(3), 274-285.   DOI
12 노병섭, 양우헌, 조규성(2009). 전북 마이산 일대의 야외 지질 교수.학습자료 개발 및 초등 교사들의 반응. 한국지구과학회지, 30(7), 869-882.   DOI
13 노태희, 김선경, 장종목, 강석진, 임희연, 양찬호, 박재근, 민진선, 배영혜, 오필석, 김연귀, 박장용(2018). 중학교 과학 1. (주)천재교과서, 293.
14 박재문, 양우헌, 조규성(2007). 전북 부안군 채석강 일대의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8(7), 747-761.   DOI
15 서동욱(2004). 야외 지질 학습장의 퇴적암과 지질 구조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관찰 및 가설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5(7), 586-594.
16 안건상(2013).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금당산의 지질학습장으로서 활용성. 한국지구과학회지, 34(3), 235-248.   DOI
17 오강호, 고영구, 윤석태(2004).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 과학과의 해양영역에 관련된 용어 및 탐구의 연계성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5(7), 576-585.
18 위수민, 곽정실, 조현준, 김현정(2008). 초등학교 과학과 지질 단원 교수-학습 활동에서 교사와 학생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7(4), 420-436.
19 윤마병, 남기수, 백제은, 이종학, 봉필훈, 김유영(2017). 충북 영동 지역의 과학학습장을 활용한 토포필리아 야외지질학습장 프로그램 개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1), 76-89.   DOI
20 이재언(2015). 한국의 섬(신안군). 지리와 역사, 312.
21 이창진, 정상원(2005). 충북 괴산군 두타산 일대의 야외지질조사 학습장 개발. 한국지구과학학회지, 26(1), 41-57.
22 임성만(2020). 초등과학 교과서 지질분야의 지역화 자료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2(3), 184-197.   DOI
23 전라남도교육청(2019). 2019 도서.벽지학교 및 농.어촌 교육진흥지역학교 지정 일람. 143.
24 조규성, 양우현, 신순선, 오재명, 정덕호(2012). 변산반도격포 적벽강 일대 야외지질 학습자료 개발 및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33(7), 658-671.   DOI
25 조규성, 황지현, 김정빈(2003). 지각의 물질과 변화 단원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한국지구과학회지, 24(3), 128-135.
26 한국자원연구소(1991). 도서.폐광현황 및 활용성 연구(부록1). 759.
27 한국지질자원연구원(2002). 목포.여수 도폭 지질보고서(1:250,000). 45.
28 홍미영, 정은영, 맹희주(2002). 초등학교 과학과 교수, 학습 방법과 자료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2002-18, 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