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523/JKSESE.2019.12.2.151

The Effects of Step-by-Step Question-Based Unit Desig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Seasonal Change' Concept  

Noh, Ja-He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on, Jun-Ho (Munsan Elementary School)
Jeong, Ji-Hyun (Seongduk Elementary School)
Song, Jin-Yeo (Shinchang Elementary School)
Kim, Jong-He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v.12, no.2, 2019 , pp. 151-16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reconstructing unit 'Seasonal Change' using step-by-step questioning for concepts changes to adjusting miscon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st students have pre-conceptions at describing seasonal changes based on their experiences. Therefore, in newly developed unit, we reconstructed unit to include core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by finding out common pre-conceptions of students and specifying purpose of teaching at misconceptions found in pre-conceptions as 'constituent of class for conceptual change'. After the scientific concept test, the result of 24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according to the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the number of activated conceptional resources and degree of specificity in explaining seasonal changes a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Keywords
step-by-step question-based unit design; seasonal change; conceptual chang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5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곽영순(2008). 과학과 교과교육학 지식 유형별 교사 전문성의 특징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592-602.
2 교육부(2015). 과학 6-2 : 5-6학년군 과학(3) 교사용 지도서. 서울: 미래엔.
3 김순미, 양일호, 임성만(2013). 계절 변화의 원인에 관한 초등학생의 멘탈 모델 변화 과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5), 894-906.
4 김아영, 차정은, 이채희, 주지은, 임은영(2016). 혼자 쓰는 연구 논문. 서울: 학지사.
5 김은영(2010). CoRe에 기반한 밀도 단원 수업이 개념 형성과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형범(2016). 과학지식의 본성과 발달. 서울: 교육과학사
7 명전옥(2001). 예비교사들의 지구과학 문제 해결 실패요인: 달과 행성의 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2(5), 339-349.
8 박성미, 이형철(2013). CoRe에 기반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개념 형성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2(1), 71-81.
9 박태호, 김규섭, 김경애, 김현옥, 김주현, 김수진, 김태우, 노영수, 류성창, 소재석, 우성제, 유지은, 정석준 (2017). CoRe질문을 활용한 배움 중심: 성취기준 중심의 오개념, 난개념 이해학습. 서울: 아카데미프레스.
10 양찬호(2015). 초임 과학영재 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코티칭과 멘토링 활용 전략의 개발과 적용.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1 오필석(2015). 대안적 인지 이론으로서 "자원 기반 관점" 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시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6), 971-984.   DOI
12 유연준, 오필석(2016). 초등학생들의 계절의 변화 단원의 학습에서 모델링 중심 과학 탐구 수업의 효과. 초등과학교육, 35(2), 265-276.
13 이기영, 맹승호, 박영신, 이정아, 오현석(2014). 별과 우주단원에 대한 중학교 과학 교사의 주제-특이적 PCK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4), 393-406.   DOI
14 이기영, 이정아(2016). 천문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의 주제-특이적 PCK 발달 과정 탐색: 태양계 행성의 크기와 거리 주제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4), 629-641.   DOI
15 이정아, 이기영(2017). 지구 공전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주제-특이적 PCK 발달 과정 탐색을 위한 사례 연구. 초등과학교육, 36(4), 405-427.
16 이화진, 오은순, 송현정, 전효선, 강대현, 권점례, 곽영순, 진의남, 유정애, 이경언, 양윤정, 이병천, 이미숙, 김명화, 오상철, 홍선주(2006). 수업 컨설팅 지원 프로그램 및 교과별 내용 교수법(PCK) 개발 연구: 2006 KICE 교수학습개발센터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RRI 2006-1.
17 임청환, 정진우(1993). 국민학교 자연과 천문분야 내용분석과 문제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2), 247-256.
18 장명덕, 정철, 정진우(2001). 계절 변화에 대한 초등학생의 선개념과 개념 변화 양상. 한국지구과학회지, 22(4), 268-277.
19 정유정, 이경희, 최병순(2015). CoRe를 활용한 교육 실습이 예비교사들의 PCK개발에 미치는 영향. 대한화학회지, 59(6), 520-532.   DOI
20 정선라, 이용복(2013). 계절변화 개념 위계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34(4), 366-367.
21 채동현(1992). 계절변화 원인에 관한 학생들의 유년적 사고. 한국지구과학회지, 13(3), 283-289.
22 채동현(1998). 새로운 계절변화 실험모형이 초등예비교사의 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7(1), 23-32.
23 채동현(2011). 계절 변화의 원인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선개념 조사. 초등과학교육, 30(2), 204-212.
24 채동현, 변원섭, 손연아(2003). 초등예비교사들의 계절변화 원인에 대한 질적 연구. 초등과학교육, 22(1), 109-120.
25 현동호, 양경은(2016). 계절변화를 설명하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대안개념 연구.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22(2), 97-113.
26 Bradbury, L. U., Wilson, R. E., & Brookshire, L. E. (2018). Developing elementary science PCK for teacher education: Lessons learned from a second grade partnership.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8(6), 1387-1408.   DOI
27 Comins, N. F. (1998). Identifying and addressing astronomy misconceptions. In L. Gourugenheiom, D. McNally, and J. R. Percy (Eds.), New trends in astronomy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Gess-Newsome, J. (1999). Secondary teachers knowledge and beliefs about subject matter and their impact on instruction. In J., Gess-Newsome and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29 Hume, A., & Berry, A. (2011). Constructing CoRes-a strategy for building PCK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1(3), 341-355.   DOI
30 Kikas, E. (1998). Pupil's explanations of seasonal changes: Age differences and the influence of teaching.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68(4), 535-550.   DOI
31 Loughran, J., Berry, A., & Mulhall, P. (2006). Understanding and develop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layton: Sense Publishers.
32 Loughran, J., Mulhall, P., & Berry, A. (2004). IN search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Developing ways of articulating and documenting professional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41(4), 370-391.   DOI
33 Magnusson, S., Krajcik, J., & Bro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J., Gess-Newsome and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34 Sadler, P. (1996). Astronomy's conceptual hierarchy. In J. R., Percy (Ed), Astronomy education: Current developments, future coordination.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Conference Series, 89.
35 Shulman, L. S. (1987).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 4-14.   DOI
36 Subramaniam, K., & Padalkar, S. (2009). Visualization and reasoning in explaining the phases of the mo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3), 395-417.   DOI
37 Vockell, E. L., & Asher, J. W. (1995). Education research (2nd ed.). New Jersey: Prentice Hall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