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5523/JKSESE.2016.9.3.309

The Effect of Science Class based on Havruta Learning on the Logical Thinking and the Science Related Attitude of Elementary Students  

Kang, Ji-na (Changwon Gwangryeo Elementary School)
Lee, Hyeong-cheol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v.9, no.3, 2016 , pp. 309-32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ience based on question-centered Havruta learning on the logical thinking and the science related attitude of elementary students. The number of participants were 93, 4 classes of 4th graders in G elementary school in C city. The experimental group, 2 classes including 46 participants, took science lessons based on question centered Havruta learning while the comparative group, 2 classes including 47 participants, took teacher-driven lessons using teacher's guidebook. Pre and post tests were done before and after executing lessons to assess the changing in each group's logical thinking and the science related attitude. And targeting experimental group, a perception survey toward Havruta learning was carried out and the results were arrang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e and post test results of logical thinking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improvement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meaningful. This implies that question centered Havruta classe has the effect of improving students' logical thinking. Second, from the pre and post test results of the science related attitude, we saw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improvement compared to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difference was meaningful. This confirms that question centered Havruta clas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students' science related attitude. Third, the survey regarding perspectives of experimental group students toward Havruta learning showed that students had a high satisfaction level.
Keywords
question-centered Havruta learning; logical thinking; science related attitude; perception surve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교육부(2014). 초등학교 교과서 과학 4-1. (주)미래앤.
2 김경미(1999). 완본과 축소본 GALT의 비교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 김난예(2015). 질문생성 전략과 하브루타 신앙공동체교육. 기독교교육논총, 43, 169-198.
4 김성근, 여상인, 우규환(1999). 과학 수업에서의 학생질문에 대한 연구(I). 학생 질문을 강화한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3), 377-388.
5 김세범(2015). '하브루타'를 통한 교수방법의 변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신학과 목회, 44, 389-415.
6 김순식과 이용섭(2014). 문제발견 중심의 과학토론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133-143.
7 김정숙, 이순아(2015). 하브루타 교육원리를 적용한 초등학교 독서토론 활성화 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12), 509-533
8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 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8(3), 357-369.
9 송진여, 문병찬, 김종희(2015). 초등과학 수업에서 시스템사고 학습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3), 318-331.   DOI
10 이지연, 김영환, 김영배(2014). 학습자 중심 플립드러닝(Flipped Learning) 수업의 적용 사례. 교육공학연구, 30(2), 163-191.
11 오승민(2013). 자기질문전략이 학습유형에 따라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이연호(2009). 학생들의 질문생성을 강화한 초등 과학 수업의 효과, 청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이용섭과 김윤경(2015).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이 과학개념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3), 399-408.
14 이지민, 강훈식(2014). 짝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상상화 특성 및 과학상상화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2), 175-186.   DOI
15 장영숙(2015). 하브루타 소집단 주제 토론 과학 수업이 과학탐구능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전성수(2012). 부모라면 유대인처럼 하브루타로 교육하라. 예담 friend.
17 Kent, O. (2010). A theory of Havruta learning. Journal of Jewish Education. 76(3), 215-214.   DOI
18 정선영, 최현정(2015). 이스라엘의 하브루타식 토론 방법에 기초한 온라인 토론활동이 토론능력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방법연구. 27(1), 39-65.
19 최은아(2006). 과학적 의문을 질문으로 유도한 수업이 초등 과학학습 특성에 주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한동균, 김성욱(2015). 하브루타 학습법에 기반한 사회과 수업 설계 및 적용 가능성 모색. 사회과수업연구, 3(2), 85-108.
21 교육부(2014).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4-1. (주)미래앤.
22 Segal, A. (2013). Schooling a Minority: The Case of Havruta Paired Learning. Diaspora. Indigenous and Minority Education, 7(3), 149-163.   DOI
23 강사채(2007). 대화의 교육적 의미와 학교교육에서의 적용에 관한 연구. 인하대학교 박사학위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