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22/JES.2007.16.12.1439

Development Mechanism of Heavy Snowfall over the Korea Peninsula on 21 December 2005  

Ryu, Chan-Su (Center for Asian Monsoon & Climate Environment Research, Chosun Univ.)
Lee, Soon-Hwan (BK21 Coastral Environment System School, Pusan National Univ.)
Park, Cheol-Hong (Department of Atmospheric Science, Chosun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v.16, no.12, 2007 , pp. 1439-144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Heavy snowfall was occurred over the sou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called as Honam Districts, on two days from 21 December 2005. The development mechanism of snowfall and its characteristics were analysed using observation and numerical data provid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In comparison with other years Arctic air mass developed and maintained during all December 2005 due to active planetary waves with three branches. And jet streams at lower and higher levels make easy development of snow convection cells. Especially thermal low induced by mesoscale heat and dynamic sources, also help the developments of convection cells in strong ascension. The understanding the relation between synoptic and mesoscale circumstance, therefore, is also important to predict the heavy snowfall and to prevent the disaster.
Keywords
Heavy snow fall; Artic air mass; Mesoscale heat low; Convection cells; Honam distric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류찬수, 신유미, 이순환, 2004, 해안지역 복잡성이 중규모 순화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수치연구, 한국기상학회, 40(1), 71-86
2 류찬수, 원효성, 이순환, 2005, 호남지방 고층관측자료 동화가 수치기상예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 26(1), 66-77   과학기술학회마을
3 Lee T. Y., Park Y. Y., 1996, Formation of a mesoscale through over the Korean Peninsula during an excursion of Siberian high, J. Meteor. Soc. Japan, 299-323
4 류찬수, 이순환, 2002, 중규모 대기-해양 결합시스템을 이용한 동해안 지형성바람과 해상 표층류 흐름에 관한 수치시뮬레이션, 한국지구과학회 추계대회 초록집, 9, 42-43
5 기상청, 2006, 국지기상예측기술개발/ 호남지방 국지호우.대설 예측기술개발, 기상청 연구보고서(2002M-001-01), 236-257
6 이재규, 1999, 대관령과 강릉지역의 강설량 차이를 일으키는 종관구조: 사례연구, 한국기상학회지, 35(2), 319-334
7 정관범, 김지언, 권태영, 2004, 영동지역겨울철 강수와 관련된 하층 바람의 특성, 한국기상학회지, 40, 369-380
8 전종갑, 이동규, 이현아, 1994,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대설에 관한 연구, 한국기상학회지, 30(1), 97-117
9 정영근, 1999, 호남지방 대설발생의 종관환경, 한국지구과학회지, 20(4), 398-410
10 조익현, 유희동, 이우진, 신경섭, 2004, 2004년 3월 4일 대설사례에 관한 분석과 예보를 위한 제안, 기상기술, 14(3), 3-18
11 정병주, 홍성유, 서명석, 나득균, 2005, 2004년 3월 4-5일 한반도 대설 사례의 역학, 열역학적 특성에 관한 수치연구, 한국기상학회지, 41(3), 387-399
12 이순환, 원효성, 2005, 한반도 중규모 대류 복합체의 발달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 26(7), 698-705   과학기술학회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