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3067/JKIECS.2012.7.2.365

A study on the effect of regional economy of cultural city development industry  

Choi, Ji-Yeon (전주대학교 대학원 부동산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v.7, no.2, 2012 , pp. 365-373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Culture is the essential requisite to improve the resource of city competitiveness and the quality of life. The modern society hope to make the city, more regional and able to be expressed creativity, combining with culture industries for the purpose continuous economic growth and regeneration city. This development industry of cultural city constructed employment and the production of income due to the operations by infra-construction. And It inspired civic awareness about Cultural History. In addition, It presented the effective direction of national aspects caused by improving the identity and the value of ethnicity, culture.
Keywords
cultural city development industry; cultural city; culture and tourism; culturally industr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병훈, "문화도시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광주아시아문화중심도시 추진전략과 연계하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4-7, 2009.
2 고평채, "전주한옥마을 보전정비사업에 따른 주거만족도 평가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1-8, 2011.
3 신민경, "문화도시 조성을 둘러싼 참여주체들 간의 갈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pp. 11-15, 2005.
4 원영수,김동현, "부동산신탁회사 운용상 개선방 안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3권, 1호, pp. 52-53, 2009.
5 김형근, 김부성, 임동진, 김동현, "지방자치단체 토지수용제도 실태분석과 개선방안",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6권, 6호, pp. 930-933, 2011.
6 도난주, "전통한옥지역의 도시 이미지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북촌한옥마을을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15-25, 2003.
7 이귀택, 민규식, "국유재산관리제도의 개선방안 에 관한 연구(국유지를 중심으로)",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6권, 5호, pp. 739-742, 2011.
8 황교선, "문화예술과 연계한 지방자치단체 활성화 정책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69-74, 2008.
9 고은미, "광주시 문화도시 조성사업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분석",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62-67, 2011.
10 김기곤, "문화도시의 구성과 공간정치 연구 : 광주, 전주, 부천의 문화도시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82-90, 2008.
11 경주시, 2020 경주시 장기종합발전 계획 구상도, pp. 357-358, 2011.
12 김도영, "도심활성화에서 신예술가집단의 역할: 전주한옥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55-71, 2010.
13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경주 역사문화도시 조성기본계획, pp.31-41, pp. 424-425, 2004.
14 원도연, "도시문화와 도시문화산업전략에 관한 연구:경주․춘천․전주의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128-154,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