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738/JAH.2022.31.1.05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shaped pavilion in Gyeongbuk  

Heo, Kyoung-Do (대구과학대 건축인테리어과)
Kim, Joong-Gu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건축공학전공)
Woo, Gyeong-Won (경북대학교 건축학과)
Chung, Myung-Sup (경북대학교 건축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 v.31, no.1, 2022 , pp. 51-6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the 16~17th centuries, the construction of T-shaped pavilion in Gyeongsangbuk-do was centered on the families of the Goseong-Lee clan and Andong-Kwon clan, who had a lot of exchanges with each other near Andong. It can be presumed that the complex structure of the T-shaped pavilion was intended to represent the technology, economic power, and social influence of the clan. After the 18th century, construction areas spread and construction subjects were diversified, but the number of new constructions decreased. It can be seen that T-shaped pavilion was erected and used for public purposes rather than personal reasons in terms of layout or flat scale. The roof of the T-shaped pavilion is very diverse depending on the wooden structure, the height of the roof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apex. The T-shaped pavilion, which combines two parts, has been developed in a way that strengthens not only the appearance but also the structural bonding force. The bonding strength is strengthened through the process of "roof aligning", "roof bonding", "structure connection", and "structure integration", which shows a similar tendency to the age of actual cases.
Keywords
pavilion; T-shape pavil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최윤화, 「조선시대 능원 정자각의 건축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1
2 상주시장, 「상주의 문화재」, 2003
3 박용준, 「남부지방 정자건축의 경관적 성격과 지역적 특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0
4 윤상철, 「조선시대 영호남 정자의 건축특성 비교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1
5 김동욱, 「한국건축의 역사」, 기문당, 2007
6 최향선, 「정면 돌출부를 갖는 한국전통건축물의 계획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2
7 최정효, 「조선후기 왕릉 정자각의 지붕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2
8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자료목록집51 성산이씨 한주종택」, 2018
9 장선주, 「군자정과 계정의 건축특성 비교 연구」,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2014
10 한진욱, 「조선시대 주택의 꺽음부 지붕 구성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6
11 조규화, 「숭릉 8칸 제도 정자각과 팔작지붕 가구구성의 상관관계」, 건축역사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19
12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www.heritage.go.kr)
13 한국고전종합DB(https://db.itkc.or.kr/)
14 김동욱, 「권벌 3대의 정자건립에서 본 16세기 영남 사대부 건축의 전개」, 송현 김일진 박사 화갑기념 건축사 논총, 1997
15 김일진, 「한국건축의 영쌍창에 관한 연구 : 향교.서원.사찰건축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박사논문, 1989
16 서수용, 「안동의 문화재-지정편」, 영남사, 1995
17 대한건축사협회, 「한국전통건축 제3집 누정건축」, 1996
18 문화재청, 「안동 임청각 정침 군자정 실측조사보고서」, 2001
19 김상택, 「한국전통주거건축 공간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경일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1
20 문화재청, 「안동소호헌 실측조사보고서」, 2004
21 김은정, 조재모, 「근대시기 씨족마을로서의 남평문씨 본리세거지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8권 10호, 2012년 10월
22 문화재청, 「전주 경기전 정전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1
23 정미라, 「'丁'자형 정자의 유형적 의미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7
24 예천문화원, 「예천누정록」, 2010
25 문화재청, 「아산 맹씨행단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2
26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자료목록집19 안동권씨 춘우재 고택」, 2014
27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자료목록집29 전주류씨 함벽당 종가」, 2016
28 문화재청, 「의성만취당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4
29 한국국학진흥원, 「국학자료목록집26 고성이씨 탑동종택」, 2015
30 예천군, 「국가지정문화재 등의 지정 자료보고서-예천 야옹정」, 2015
31 신극철, 「정자각의 건축 조영과 시대적 변화 고찰」, 서경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17
32 봉화군, 「국가지정문화재 등의 지정 자료보고서-봉화 한수정」, 2019
33 달성군, 「국가지정문화재 등의 지정 자료보고서-달성 하목정」, 2019
34 전해완, 「일출목 초익공 공포 양식의 기원과 변천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20
35 목심회, 「우리정자」, 도서출판 집, 2021
36 유교넷(www.ugyo.net)
37 한국향토문화전자대사전(www.grandculture.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