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738/JAH.2020.29.6.029

The Relationship between Rafter Configuration and Dory Arrangement of 7-Dories Buildings in Late Joseon Dynasty  

Jeon, Myeong-Su (고려대학교 건축학과)
Ryoo, Seong-Lyong (고려대학교 건축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 v.29, no.6, 2020 , pp. 29-4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research is conducted focusing on the 7-Dories type wooden buildings showing different rafter installation. This research found the reason why the rafter configuration look different each other and the relationship the between rafters and the Dory. Factors were compared to determine why the rafter configuration show the formal differentiation. The comparison factors are as follows: 1. The type of rafter installation is related to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building. 2. The type of rafter installation is related to the number of Kans on the side of the building and is proportionate. 3. The type of rafter configuration is related to the Dory arrangement and is proportionate. 4. The type of rafter configuration is related to the Dory's vertical arrangement. If the Dory arrangement is small, it is identified as two-stage rafter configuration. And if the Dory arrangement is large, it is identified as three-stage rafter configuration. Eventu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rafter configuration were affected by the Dory arrangement.
Keywords
Late Joseon Dynasty; 7-Dories type; Rafter configuration; Dory(道 里 ) arrangement;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왕직, 알기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동녘, 2007
2 문화재관리국, 금산사 실측조사보고서, 1987
3 문화재청, 경주향교 대성전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4
4 문화재청, 관덕정 실측수리보고서, 2007
5 문화재청, 광한루 실측조사보고서, 2000
6 문화재청, 구례 화엄사 대웅전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3
7 문화재청, 귀신사 대적광전 수리 실측조사보고서, 2005
8 문화재청, 기림사 대적광전 해체실측조사보고서, 1997
9 문화재청, 나주목 관아와 향교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5
10 문화재청, 논산 쌍계사 대웅전 실측조사보고서, 1999
11 문화재청, 능가사 대웅전 실측조사보고서, 2003
12 문화재청, 밀양 영남루 실측조사보고서, 1999
13 문화재청, 범어사 대웅전 수리공사보고서, 2004
14 문화재청, 서울문묘 실측조사보고서, 2006
15 문화재청, 안성 청룡사 대웅전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3
16 문화재청, 여수 흥국사 대웅전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3
17 문화재청, 완주 송광사 대웅전 수리보고서, 2002
18 문화재청, 운문사 대웅보전 수리 실측보고서, 2007
19 문화재청, 장수향교 대성전 실측조사보고서, 2001
20 문화재청, 종묘 영녕전 정밀실측조사 설계용역 보고서, 2013
21 문화재청, 진남관 실측조사보고서, 2001
22 문화재청, 하동 쌍계사 대웅전 수리보고서, 2007
23 문화재청, 창덕궁 희정당 신당 실측 실측보고서, 2003
24 문화재청, 통도사 대웅전 및 사리탑 실측조사보고서, 1997
25 문화재청, 피향정 실측조사보고서, 2001
26 서효원, 전통목조건축물 중도리 위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7 양재영, 한국 목조건축 架構의 水平比例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24권 9호, 197-208쪽, 2008
28 이상명.김왕직, 조선후기 정자각의 서까래 고정기법 변화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제 30권 제12호, 2014
29 장기인, 한국건축대계V-목조, 보성각, 2014
30 최정미, 전통 목조건축의 덧서까래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31 문화재청, 종묘 정전 실측조사보고서, 1989
32 최지혁, 韓國 傳統 木造 建築 도리 配置에 關한 硏究,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33 홍병화, 조선후기 서까래 설치방식의 변화와 의미,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제 27권 제1호, 2011
34 홍은기, 전통 목조건축 서까래의 이형 배치방식 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