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738/JAH.2019.28.6.031

The Adaptation of Architectural Facility for Buddhānusmrti in th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Kim, Gee-Heon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Jeon, Bong-Hee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 v.28, no.6, 2019 , pp. 31-4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harsh economic conditions of Buddhist temples in late Joseon dynasty, and the prevalence of the Buddhānusmrti(念佛) practice, which is a practice of reciting Amita Buddha(阿彌陀佛), led Buddhist temples to organize the Buddhānusmrti association(念佛契) in th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For the practices and the activities of organization, an architectural facility was required; thereby, many temples had a Yeombul-dang(念佛堂). However, only a few of the Yeombul-dang have survived and are known today.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ways temples tried to acquire Yeombul-dang buildings during the period and their architecture characteristics by reviewing historical records and documentary works of literature. In this research, Yeombul-dang is found to have various types of building names and building forms. Different hall names such as Amitābha Hall(佛殿), Yosa(寮舍) and Daebang(大房) were used as Yeonbul-dang.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erms of building forms, spatial elements composition and layouts were found depending on how they were acquired. The Yeombul-dang were most commonly built as multi-complex buildings consisting of worshiping rooms and residential areas. Most of Yeombul-dang were located in the central areas of the temple site. On this basis, this research suggests the possibility that many Yeombul-dang is still being used under different names and for different purposes.
Keywords
$Buddh{\bar{a}}nusmrti$; Yeombul-dang; $Buddh{\bar{a}}nusmrti$-Association; New Construction; Adaptively Reused;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성도, 朝鮮時代末과 20世紀 前半期의 寺刹 建築 特性에 關한 硏究: 서울.경기 일원의 佛殿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2 손신영, 19世紀 佛敎建築의 硏究-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3 유제종, 念佛禪 修行法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4 이종수, 朝鮮後期 念佛契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5 이종수, 19세기 건봉사 만일화와 불교사적 의미, 동국사학, 49집, 2010
6 이종수, 조선후기 삼문수업의 성립과 전개, 천태학연구, 11권, 2008,
7 이종수, 조선후기 불교의 수행체계 연구: 三門修學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8 이호열, 김지운, 밀양 표충사 만일루의 건축적 특성 - 19세기 말 경남지방 대방건축의 관점에서, 한국건축역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0
9 한보광, 조선시대의 만일염불결사, 佛敎學報, 32권, 1995
10 한상길, 朝鮮後期寺刹契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11 황인규, 파주 보광사의 역사와 위상, 대각사상, 12권, 2009
12 高橋亨, 李朝佛敎, 國書刊行會, 1973
13 국사편찬위원회, 신앙과 사상으로 본 불교 전통의 흐름, 두산동아, 2007
14 김갑주, 조선시대 사원경제사 연구, 경인문화사, 2007
15 김성도, 한국건축문화유산 사찰대방건축, 고려, 2007
16 김필동, 한국사회조직사연구: 계조직의 구조적 특성과 역사적 변동, 일조각, 1992
17 박용훈, 朝鮮寺刹史料 上, 고려서림, 1986
18 범해 편, 김윤세 역, 東師列傳: 그림자 없는 나무로 물거품을 태운다, 광제원, 1992
19 이상해, 해인사 건축도집, 한샘, 1994
20 이영선 편저, 금강산건봉사사적, 동산법문, 2003
21 이응묵, 빛깔 있는 책들: 요사채, 대원사, 1991
22 임석진 편저, 조계산 송광사지, 송광사, 2001
23 진옥 편저, 호국의 성지 흥국사, 영취산 흥국사, 1989
24 문화재청, 불영사 대웅보전 실측조사보고서, 2008
25 한용운 편, 조명제 역, 朝鮮佛敎維新論,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4
26 문경시, 문경문화연구총서 6집: 사불산 대승사, 2010
27 문화재청,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현황기록, 2013
28 문화재청, 송광사 중요목조건축물 정밀실측보고서(상), 2007
29 문화재청, 여수 흥국사 대웅전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3
30 문화재청, 운문사 대웅보전 수리실측보고서, 2007
31 문화재청, 위봉사 보광명전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2
32 문화재청, 합천 해인사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4
33 문화재청, 해남 대흥사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3
34 새한 건축 문화연구소, 乾鳳寺址: 地表調査 報告, 고성군, 1990
35 운문사지 간행위원회, 운문사지, 성보문화재연구원, 2018
36 운문사지 간행위원회, 운문사지 자료편, 성보문화재연구원, 2018
37 파주시, 경기도 지정문화재 실측조사보고서, 2010
38 한국문헌연구소, 韓國寺志叢書: 乾鳳寺本末寺蹟 楡岾寺本末寺誌, 亞細亞文化社, 1977
39 乾鳳寺本末事蹟, 亞細亞文化社, 1977
40 梵魚寺誌, 亞細亞文化社, 1998
41 海印寺誌, 伽山文庫,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