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738/JAH.2019.28.2.065

Paljak Roofs and Modern Joseon Architecture in North Korea: Selection and Exclusion  

Park, Dongmin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 v.28, no.2, 2019 , pp. 65-7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Modern Joseon Architecture is North Korea's unique building style that interprets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in a modern way, and its most distinctive design feature is the Paljak roof that decorates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s. This paper argues that continuous attempts at characterizing the nature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in the late 1950s and early 1960s developed the theoretical rationale for the exclusive use of the Paljak roof in Modern Joseon Architecture. It also argues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Pyongyang Grand Theater and the Okryu Restaurant during this period became a decisive moment for the formalization of the Paljak roof. The double roof rafters and gables and the "cheerful yet solemn" roofline were considered as main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Korean roof and the Paljak roof perfectly fits this description. Particularly, in North Korean society where Kim Il Sung became idolized as an impersonalized deity, an anecdote in which Kim Il Sung fixed a prominent gabled roof in the Pyongyang Grand Theater into a Paljak roof has allowed for the roof to gain an exclusive status. Hence, almost all Modern Joseon Architecture since the 1960s accepted the Paljak roof's monopoly position, rather than experimenting with other traditional roof types.
Keywords
North Korea; Modern Joseon Architecture; Tradition; Tiled roof; Paljak roof;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강처한, 대극장 현상 설계 심사 후기, 건축과 건설, 11호, 1958, 58-63쪽
2 개관되는 국립 중앙 력사 박물관, 로동신문, 1954년 7월 15일
3 김경호, 김일성체제와 정치신화에 관한 연구, 한국시민윤리학회보, 18권, 2호, 2005, 27-45쪽
4 김명호, 불멸의 혁명사적기념비 개선문에 적용된 민족건축양식의 표현수법, 조선건축, 2호, 2008, 42-44쪽
5 김수정, 인민대학습당, 로동신문, 2018년 7월 8일
6 김준봉, 북한의 현대한옥설계에 관한 소고, 건축역사연구, 23권, 1호, 2014.2, 70-83쪽
7 남상진, 건축의 형식과 내용에 대하여, 건축과 건설, 4호, 1957, 34-35쪽
8 다시 고쳐주신 조선식지붕, 조선건축, 2호, 2010, 33쪽
9 대한불교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 북한의 전통사찰 5. 개성, 양사재, 서울, 1956
10 동창활, 약동하는 개성, 조선, 1965.9, 14-17쪽
11 리식태.방일선, 력사의 땅 룡전리 건축형성, 조선건축, 2호, 1992, 43-48쪽
12 리여성, 조선 건축의 연구, 국립출판사, 평양, 1956
13 리은아, 현대조선식건축물설계에서 배집지붕형식적용, 조선건축, 2호, 2017, 20쪽
14 리화선, 조선건축사 2,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평양, 1989
15 박동민, 현대 조선식 건축의 탄생: 평양 대극장 건설과 북한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건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34권, 10호, 2018.10, 119-130쪽
16 박성진, 일제강점기 조선왕조 궁궐건축의 이건과 변용,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학위논문, 2007
17 박황식, 민족적 형식의 현대 건축에의 창조적 도입을 위하여, 문화유산, 1호, 1957, 11-22쪽
18 성해룡, 위대한 수령님의 좌우명과 건축, 조선건축, 3호, 1995, 18-21쪽
19 서상호, 민족적 향취 풍기는 평양수예연구소, 조선건축, 4호, 1989, 27-34쪽
20 서효원, 일제강점기 "보물 건조물" 수리공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8
21 소식, 건축과 건설, 11호, 1958, 69-71쪽
22 소식, 건축과 건설, 4호, 1959, 45-46쪽
23 송석화, 조선식건물 지붕의 곡면계산 (1), 조선건축, 4호, 1990, 63-66쪽
24 송석화, 조선식건물 지붕의 곡면계산 (2), 조선건축, 2호, 1991, 59-62쪽
25 송석화, 조선식건물 지붕의 곡면계산 (3), 조선건축, 3호, 1991, 25-28쪽
26 신설되는 견방직 공장, 로동신문, 1955년 3월 11일
27 안창모, 민족을 표방하는 남과 북의 건축, 공간과 사회, 28호, 2007, 152-187쪽
28 오경숙, 5.25 교시와 유일사상체계 확립: 구술자료를 중심으로, 한국동북아논총, 32집, 2004, 325-344쪽
29 오대형.하경호, 당의 령도밑에 창작건립된 대기념비들의 사상예술성, 조선미술출판사, 평양, 1989
30 이왕기, 북한 현대건축의 '민족성' 표현방법론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0권, 7호, 2004, 183-192쪽
31 조선의 문화유물, 국립미술출판사, 평양, 1960
32 위대한 당의 손길아래 2, 금성청년출판사, 평양, 1991
33 조선대백과사전 28권, 과학백과사전출판사, 평양, 2001
34 조선식건물건축설계, 공업출판사, 평양, 1987
35 천리마, 만리마로 달리는 평양시 건설, 선동원수첩 (산업 부문), 13호, 1958년 7월 상반호, 16-17쪽
36 최주혁, 민족건축의 본보기 평양양로원, 조선건축, 1호, 2006, 4쪽
37 평양건설전사 편찬위원회, 평양건설전사 2, 과학백과사전종합출판사, 평양, 1997
38 평양시 도시 설계 연구소 평양 대극장 설계 집단, 중앙 건설 과학 연구소 음향 설계 집단, 평양시 남구 건설 트레스트 시공 집단, 평양 대극장 건설, 국립건설출판사, 평양, 1960
39 평양시를 더 웅장하고 아름다운 도시로 건설할 데관한 내각 결정 채택, 로동신문, 1958년 7월 12일
40 함의연, 현대 조선식 건물의 형태구성방법 (1), 조선건축, 3호, 1989, 71-73, 75쪽
41 함의연, 현대 조선식 건물의 형태구성방법 (2), 조선건축, 4호, 1989, 93-94쪽
42 홍병수, 전민학습의 기지-인민대학습당, 로동신문, 1989년 2월 12일
43 황재평, 주체적건축의 자랑-인민대학습당 (2), 로동신문, 1982년 5월 23일
44 Castillo, Greg, Soviet Orientalism: Socialist Realism and Built Tradition, Traditional Dwellings and Settlements Review, Vol.8, No.2, 1997, pp.33-47
45 Корея, 1945-1960, Издательство Литературы на Иностранных Языках, Пхеньян, 19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