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7738/JAH.2018.27.4.007

A Study on Functions and Transcriptions of Anchogongs in Yeonggeonuigwes of Late Joseon Period  

Lee, Woo-Jong (영남대학교 건축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 v.27, no.4, 2018 , pp. 7-16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s focusing on anchogongs(按草工) in yeonggeonuigwes(營建儀軌), which were recorded with few details and in unsettled transcriptions. First, the positions and functions of anchogongs in $18^{th}$ censtury are analyzed by comparing to anchogongs in more detailed early $19^{th}$ century yeonggeonuigwes and those in extant buildings. Second, with the result, the historical significances are presumed in changing transcriptions of anchogong terms in those uigwes. In $18^{th}$ century uigwes, most of anchogongs are functioned as matbo-anchogongs and only four anchogongs in a gate building were used as jongryang-anchogongs. It is mainly because the sorts of buildings in $18^{th}$ century yeonggeonuigwes had only several varieties: most of the buildings belonging royal shrines. Transcriptions of anchogong terms had been changed for reflecting functional developments of anchogongs in $18^{th}$ century. However, reflections were much later than changes of actual functions.
Keywords
Anchogongs; Yeongeonuigwes; Architectural Terms; Functions; Transcriptions;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의소묘영건청의궤
2 수은묘영건청의궤
3 경모궁개건도감의궤
4 문희묘영건청등록
5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한한대사전7,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4
6 화성성역의궤
7 인정전영건도감의궤
8 현사궁별묘영건도감의궤
9 창경궁영건도감의궤
10 창덕궁영건도감의궤
11 인정전중수도감의궤
12 김동욱.김경표.이왕기.박명덕, 조선시대 건축용어 연구-조선후기 영건의궤서에 기록된 부재명칭의 변천에 대하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6권, 3호, 1990
13 김동현, 한국고건축단장 하, 통문관, 1977
14 김연주, 영건의궤류의 차자 표기 어휘 연구, 대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15 김왕직, 한국건축용어사전, 동녘, 2007
16 영건의궤연구회, 영건의궤, 동녘, 2010
17 김재원 편저, 미술고고학용어집: 건축편, 을유문화사, 1955
18 김재웅, 영건의궤의 목부재 용어에 관한 문자학적 연구, 건축역사연구, 18권, 1호, 2009
19 김재웅, 이봉수, 영건의궤에 실린 목부재용어의 용례와 변천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17권, 5호, 2008
20 남광우, 고어사전, 교학사, 1999
21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한한대사전2, 단국대학교 출판부, 1999
22 문화재청, 칠궁의 연혁 및 수리공사보고서, 2000
23 심대섭.주남철, 인정전 의궤에 기록된 공포용어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5권, 6호, 1989
24 경기문화재단, 화성성역의궤 건축용어집, 2007
25 완주군, 완주 화암사 우화루 해체.수리 보고서, 2011
26 이은선, 한국전통건축 공포부재 용어의 어원-자원에 따른 어의 해석,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2005
27 장기인, 건축용어집, 영륜사, 1958
28 장기인, 목조, 보성각, 2005(2)
29 장기인, 한국건축사전, 보성각, 2005(1)
30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한한대사전4,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1
31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한한대사전5,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2
32 의인왕후산릉도감의궤
33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한한대사전11,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7
34 장세경, 이두자료 읽기사전, 한양대학교 출판부, 2001
35 정해권, 17세기 이후 다포계 건축에서 나타나는 안초공의 변천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6 인조장릉산릉도감의궤
37 경운궁중건도감의궤
38 조선왕조실록(http://sillok.history.go.kr)
39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의궤 종합정보 (http://kyujanggak.snu.ac.kr/)
40 중화전영건도감의궤
41 문화재청, 창덕궁 인정문 정밀실측조사보고서, 2010
42 문화재청, 창덕궁 인정전 실측조사보고서, 1998